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티오피아 교육과 경제발전 간 연계

        김영화(Kim, Young-Hwa) 한국아프리카학회 201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2 No.-

        이 논문에서는 에티오피아 교육 현황을 검토하여 교육과 경제발전 간 연계의 관점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한국 산업화의 경험을 기초로 에티오피아의 교육과 경제발전 간 연계 강화를 위한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에티오피아 교육부문에 대한 한국 교육개발협력 의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교육을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에티오피아 정부의 강한 의지와 투자 덕분으로 에티오피아 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각 부문은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산업화 전략과 상당한 괴리를 보이고 있다. 한국 산업화 시기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교육과 경제발전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초교육의 완성률과 성인문해율을 높이고, TVET을 집중 육성하며, 고등교육 확대의 속도 조절과 산업수요와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 수행의 지원 맥락에서 한국 경험의 공과 과를 모두 공유할 수 있는 대(對) 에티오피아 교육개발협력 의제로서 초‧중등 교원 양성 및 재교육, 해방 직후 정부 주도의 성인 비문해 퇴치 사업과 최근의 농촌 지역 문해교육, 1970년대 기능인력 양성 정책,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의 설립․운영, 고등교육정원 정책, 고등교육 발전 과정에서 사학의 역할, 산학협력, 1970년대 공과대학 중심의 고등교육 특성화 정책과 국가연구기관 중심의 연구개발 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Ethiopia and explored its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Further this study discussed tasks for strengthening this link on the basis of Korean experience of industrialization and suggested agenda for Korea-Ethiopia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support these tasks. Ethiopia has achieved remarkable educational growth by virtue of the government’s strong will to use education as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development. Nevertheless, the educational sector has not been congruous with the government’s industrialization strategy in a number of aspects. Ethiopian government needs to raise the completion rate of basic education and the adult literacy level, to intensively develop TVET, and to adjust the pace of higher education expansion and strengthen its link with industrial demand. As major agenda for sharing Korea’s experience of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spect of both merits and demerits, the study suggested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illiteracy elimination policie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after liberation and recent literacy education in rural areas by community centers; policies of TVET implemented during the 1970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universities specialized in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enrollment quota policy; the role of private universities in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university specialization policy during the 1970s that was actually faile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centered R&D policies during the 1970s.

      • KCI등재

        춘천 ‘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기념관’의 전시 분석과 개선 방향

        김도민 ( Kim Do-min ) 강원사학회 2022 江原史學 Vol.- No.39

        본고는 연구자가 2022년 4월부터 5월까지 세 차례 춘천 ‘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기념관’을 방문한 경험을 토대로, 이 기념관의 전시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먼저 기념관이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 전시되고 있는지 분석했다. 특히 에티오피아의 참전기간과 사망자 숫자에 문제가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 기념관에서 냉전기 ‘에티오피아와 한국의 관계사’의 복원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기념관은 이분법적이고 적대적인 냉전적·반공적인 서사에 따라 전시가 구성됐다. 따라서 냉전기 어느 한편에 서지 않았던 비동맹주의를 주도했던 아프리카 국가 중 하나였던 에티오피아의 역사는 전혀 소개되지 않았다. 나아가 냉전기 내내 존재했던 한국과 에티오피아의 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생략됐다. 이로써 참전기념관은 한국사회의 오래된 반공주의적 내러티브를 반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방문객들에게 이를 강화하고 있다. 그런데 냉전기 한국과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관계는 글로벌한 차원에서 반공주의와 비동맹주의가 충돌하던 장소였다. 따라서 이 참전기념관은 냉전기 에티오피아와 한국의 관계사를 제시하고, 이를 포함하여 전시관을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처럼 본고가 제시한 전시 분석과 개선 방향이 반영되어, 춘천 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기념관이 ‘전쟁과 평화’ 관련한 공공역사의 교육현장으로 재탄생하기를 기대한다.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visiting the Ethiopian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in Chuncheon three times from April to May 2022,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is paper analyzed whether the memorial is being exhibited based on historical facts. In particular, it revealed that there were errors in the length of time Ethiopia participated in the war and the number of deaths. Next, the history of the Cold War relationship between Ethiopia and Korea, which was omitted by the Ethiopian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was presented, and the need for re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hall was emphasized. It is expected that the Chuncheon Ethiopia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Hall will be reborn as an educational site for public history related to ‘war and peace’ by reflecting the wartime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s sugges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에티오피아 물 안보의 길

        이예지(Ye ji Lee),이승호(Seung ho Lee),홍일표(Il pyo Ho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3

        본 논문은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나일강 유역국가 간 권력관계의 발전과정을 이집트와 에티오피아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분석 틀로서 하이드로-헤게모니 이론을 적용하여 에티오피아의 대 이집트 헤게모니 대응전술과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전략들을 분석한다. 또한 일련의 국가 간 수자원 협정 평가를 통해 나일강 유역의 권력 비대칭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검토한다.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 사례연구는 에티오피아의 대 이집트 헤게모니 대응전략 중 하나로서 나일강 유역국가의 수자원 재배분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댐건설로 인한 여러 가지 영향을 평가하고 댐 건설이 하류 국가(이집트 및 수단)와의 수자원 갈등을 지속시킬 것이지 또는 협력의 촉매제로 작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power relations in the Nile River Basin have developed over the past decade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two Nile riparian nations, Egypt and Ethiopia. By applying hydro-hegemon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thesis analyzes Ethiopia’s counter-hegemonic tactics and strategies to challenge unequal hydro-configurations under the Egyptian dominance. A variety of factors that have entailed power asymmetry in the Nile River Basin will be addres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a series of transboundary water agreement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The case of the 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 (GERD) will be evaluated to elaborate the strategies of Ethiopian counter-hegemony strategies that will enable Ethiopia to reallocate the Nile water resources for the upstream and downstream countries. The study appraises diverse impacts of the GERD and discusses whether the dam will culminate ensuing conflicts or cooperation.

      • KCI등재

        에티오피아의 토지 보유 체계와 토지 정책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4 No.-

        이 글의 목적은 19세기 후반 이래 에티오피아의 토지 문제를 고찰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이 글은 세 개의 상이한 시대 즉, 황제 시대, 더그 시대,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 시대의 토지 보유 체계를 살펴본 후에, 토지 정책의 주요 쟁점과 문제를 검토하였다. 황제 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토지 보유 체계-예컨대 리스트, 세몬, 마데리아, 게바르 등-가 존재했다. 황제들과 엘리트 집단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고 영속화하기 위해 토지를 통제했다. 지배 계급 구성원들은 토지를 통해 많은 혜택을 누렸으나, 대다수의 민중은 소작인의 삶을 살면서 불안정한 토지권 때문에 고통을 받았다. 1974년에 집권한 더그 정권은 그 이듬해인 1975년에 토지를 국유화하고, ‘토지는 경작자에게로’라는 슬로건 하에 토지 개혁을 단행하여, 수세기 동안 존속했던 봉건 체제를 철폐했다. 1991년에 집권한 현 정부는 국민에게 토지 소유권을 부여함으로써, 구시대의 토지 보유 체계를 청산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현 정부는 더그 정부와 마찬가지로 농촌과 도시의 모든 토지와 천연자원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농촌 주민은 보유권(사용권)을, 그리고 도시 주민은 차지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현상은 현 정권의 토지 정책이 더그 정권의 토지 정책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보여 준다. 그간 에티오피아에서는 토지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논쟁이 발생해 왔다. 주된 논쟁은 토지를 누가 소유하는 것이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느냐 하는 것이었다. 정부의 입장에 따르면 토지는 ‘사회적 평등’과 ‘보유의 안정성’을 위해 국유 재산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정부는 국가의 토지 소유권이야말로 농민을 시장의 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최상의 기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토지 문제를 연구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토지 이용자들이 보유의 불안에 시달리게 되면, 토지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토지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패 문제도 에티오피아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부패 현상은 토지 관련 제도와 정책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것들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land tenure systems and land policies in Ethiopi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present paper explored the issues and problems of land policy, after reviewing the land tenure systems of three different periods, i.e., the imperial, Derg and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periods. During the imperial regime, there were diverse forms of land tenure systems-e.g., rist, semon, maderia and gebar-in Ethiopia. Emperors and the elite controlled land in order to maintain and perpetuate their power. The dominant class members enjoyed a lot of benefits from land, whereas the majority of common people suffered from insecure rights to land while living a life as tenants. It was in 1974 when the military government called the Derg came to power. The Derg regime nationalized all land in Ethiopia and carried out land reform under the slogan of “Land to the Tiller” in 1975 so as to abolish the feudal system which had survived over several centuries. When the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came to power in 1991, it was expected that it will abolish the old land tenure system, by providing ownership of land to people. However, the present government, just like the Derg government, has owned all land in rural and urban areas and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rural people have had only land holding rights and urban people have just leasehold rights. This phenomenon shows that the Derg regime and the present regime are not different essentially in terms of land policy. There have been diverse debates in Ethiopia concerned with land policy. The major debate is related to ownership of land. The government argues that state ownership of land is the best mechanism which enables peasants to protect against market forces. However, many students assert that, if land users suffer from insecurity of tenure, land productivity cannot be expected. In addition, various forms of corruption, which are found in the process of executing land policy, have been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hinder the development of Ethiopian society. It is no doubt that such corruption has been derived from the problem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s well as that of institutions and policies related land.

      • KCI등재

        아프리카 대학과의 공동 연구개발 전략

        한유진(Han, Yoo-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3 No.-

        현재까지 아프리카 대학와의 공동 연구개발은 기관에 따라 매우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논문의 서지정보를 활용해 아프리카 대학이 축적해 온 연구개발 역량을 측정하고, 우리나라와의 협력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 예로 아프리카 국가들 가운데 이공계 분야의 협력 의지가 가장 강한 에티오피아를 선정하였으며, 2000년부터 가장 최근까지 게재한 논문의 서지정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6,378건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농업, 의약/약학 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핵심적인 연구기관으로는 아디스아바바대학, 지마대학, 하와사대학, 곤다대학 등이 있었으며, 아디스아바바대학이 거의 1/3을 차지하는 등 매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울러 에티오피아의 과학기술 개발 측면에 있어 선진국들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특히 미국의 연구기관은 전체 연구의 1/6 정도를 에티오피아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공동 연구개발 활동은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보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에 취할 수 있는 2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전략은 인바운드 전략(inbound strategy)으로 에티오피아 대학들이 어느 정도 연구 역량을 구축하고 있는 농업, 의약/약학 분야에서 우리나라 연구기관들이 자율적으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아웃바운드 전략(outbound strategy)으로 에티오피아 대학에서 독자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섬유공학, 식품공학, 재료공학 분야를 단기적으로 지원하고, 추후 기계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등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지금까지 큰 방향성없이 진행되어 오던 아프리카 대학과 보다 효과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o far, R&D collaboration between African and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sporadical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variable purposes of the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propose how Korean research institutes should cooperate with African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ir bibliographic data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As an illustration, Ethiopia is selected because it has indicated strong interests in terms of R&D collaboration with Korea. To grasp the research activities of Ethiopia, 6,378 scientific articles included in the Web of Science database from 2000 to June of 2014 a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griculture and medicine/pharmac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research. In addition, the University of Addis Ababa, followed by Jimma University, Hawassa University, and Gondar University, played the most pivotal roles among all Ethiopian universities in conducting research. Advanced countries have also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scientific research projects of Ethiopia. For instance, US research institutes have constructed the closest ties with Ethiopian research institutes, and have jointly written one sixth of the total number of the research articles. By contrast,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Ethiopian and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rarely observed, and thus,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future collaborative R&D strategies, i.e., inbound and outbound strategies. An inbound strategy implies that Korean universities should voluntarily cooperate with Ethiopian universities in agriculture and medicine/pharmacy research. Meanwhile, an outbound strategy emphasizes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to fields where Ethiopian universities cannot conduct research on their own, such as textile, food, and materials engineering (short-term period), and mechanical,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long-term period). Implementing these two strategies will result in building more effective R&D collaboration networks between African and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베사다나츄베케레 ( Dagnachew Bekele Besha ),박덕병 ( Duk Byeong Park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1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교하여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접근방법과 모델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농촌지도사업 시슨템은 사업영역, 커뮤니케이션, 제도적인 다원성 측면에서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농촌지도사업의 초점은 시험연구사업 결과에 대한기술이전, 국가식량안보와 수출증가를 위한 농업생산성 증대에 있다. 최근 농촌지도사업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관점을 통하여보다 지도사업 시스템이 엄밀성을 더해 가고 있다. 최근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은 공공부문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district 단위에서 분권화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제한된 수준이지만 NGO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1950년대에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 외국의 새로운 기술도입을 위하여 시작되었다. 초기에 농촌지도사업은 시험장 위주로 이루어졌다. 이후에 에티오피아 농촌지도사업은 다섯 가지 단계로 추진되었다. 대학학장시스템(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패키지 프로그램, 최소 팩키지 프로젝트, 농민 농업개발 프로그램, 참여민주주의와 훈련시스템(PADETS). 패키지 지도사업 프로그램은 시범지역에 최초로 수행되었으며, 15-20년 내에 농촌지역의 90%까지 확대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개발기구에 의하여 관리되는 시범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화된 농민들을 훈련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특정한 조그마한 지역에서 운영되어 다른 지역까지 확대되지 못하였다. 참여민주주의와 훈련시스템을 통하여 에티오피아의 농촌지도사업은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많은 논의가 있었으며, 외부의 관점들이 더 정교하게 만들었다.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제도적인 다원주의적인 측면, 분권화 측면에서 걸음마 단계이다.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was started in early 1950s with mandate of transferring local research outputs and technologies to farmers, and importing technologies and improved practices from abroad. Extension service provided in this early time was limited to areas surrounding the experiment stations. Since then, Ethiopia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has passed through hat least five stages: the land grant extension system, the Comprehensive Package Programs, the Minimum Package Projects, the Peasant Agricultural Development Program, and the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PADETS). The comprehensive package extension program was initially implemented in selected pilot areas and eventually to be scaled up to cover about 90% of the farming community within 15-20 years time. The program used demonstration plots managed by development agents and used to train farmers organized through various field days. However, since all of these programs were operational in only small areas, the vast majority of the country was out of their reach. Through Participatory Demonstration and Training Extension System, the extension service in Ethiopia has come under the spotlight and government debates and external reviews are putting additional scrutiny on the system. Despite this long history, the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in terms of coverage, communication and institutional pluralism. Currently in Ethiopia the Agricultural extension is provided primarily by the public sector, operating in a decentralized manner through which extension is implemented at the district level.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Ethiopia.

      • 에티오피아 일개 지역 보건지소 건강관리요원에 대한 직무교육의 효과

        방경숙 ( Kyung Sook Bang ),이인숙 ( In Sook Lee ),채선미 ( Sun Mi Chae ),강현주 ( Hyun Ju Kang ),유주연 ( Ju Youn Yu ),박지선 ( Ji Sun Park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전 세계적으로 건강형평성의 확보가 인류의 기본권으로 간주되고 저개발국의 빈곤과 건강문제 해결을 전 세계가 공통으로 해결해야 할 목표로 설정하는 새천년 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 [MDG])가 채택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제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보건을 위한 에티오피아 모자보건 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하면서 저개발국의모자보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HEW를 대상으로 모자보건 관련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HEW는 1년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단기간의 훈련만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는 경우도 많아 체계적인 직무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의 자질이나 역할이행에 대한 평가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Medhanyie et al., 2012). 현재 HEW는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교육과정에 대해 3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2003년 교육과정이 처음 개발된 이후 아직까지도 현실에 적합하도록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교육을 위한 설비가 부족하고 교육자에 대한 계속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많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Damtew et al., 2011). Admassie, Abebaw와 Woldemichael (2009)는 HEW에 의한 Health services extension program을 실시한 지역에서는 실시하지 않은 지역보다 예방접종률과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모기장 보급률이 유의하게 높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예방적인 모성건강관리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아서 임신 시 산전관리를 위해 HEW를 처음 방문하는 시기는 더 빨랐지만 그 외의 산전 산후관리에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5세 미만 아동의 설사와 기침 질환 감소에도 기여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아직은 그 효과가 부분적으로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oblinsky 등(2010)의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HEW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이며 프로그램 적용 이후 모자보건 관련 지표가 향상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Karim 등(2010)도 HEW의 활동이 주민의 산전 산후관리와 상관성을 보이며 모자보건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하였으나 모성사망률 감소에는 아직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Tsegay 등(2013)은 HEW 활동으로 산전관리를 받는 주민이 많아졌으며 산전관리 시 시설분만을 권고를 받은 임부들에서 그렇지 않은 임부들보다 시설분만률 비율이 더 높기는 하였지만 시설분만률 자체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여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에티오피아 북부 지역에서 5년 이내 출산경험이 있는 산모 725명을 대상으로 한 Medhanyie 등(2012)의 연구에서도 HEW가 주민들의 가족계획, 산전간호, 그리고 HIV 검사율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분만률과 산후관리에 대한 기여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시골 지역에서는 HEW를 대신할 지역사회 사례관리(community case management) 자원자를 모집하여 교육 후 설사, 말라리아, 폐렴 등의 아동 건강관리에 투입하여 효과를 거둔 경우도 보고되었다(Degefie et al., 2009). 이와 같이 HEW 제도 도입 후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이용률에서의 효과를 보는 연구는 상당 수 이루어졌으며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나 HEW의 지식 수준을 평가하거나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HEW의 지식이나 수행능력의 향상 여부를 확인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Dynes 등(2013)이 HEW 대상으로 산전, 산후 관리에 대한 교육 후 사전 조사에 비해 교육 후의 사후 조사에서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보고한 연구가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주 KilteAwlero지역의 HEW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대부분 사전에 비해 교육 후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강의만을 포함하였는데 실제 모자보건 업무를 수행하는 HEW 들은 술기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들에게 보건소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직접 관찰, 수행하도록 하고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교정해주는 피드백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평가에서도 나타난 부분으로, 향후에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좀 더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 후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Ethiopia is one of the sub-Saharan countries most affected by high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The government has trained health extension workers (HEWs), the community health workers, to deliver preventive and basic curative health services to community residents in Ethiopia.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n-the-job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MCH).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effects for HEWs in one health center in Tigray, Ethiopia on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in MCH. Methods: Twelve HEWs from 6 health po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ealth center officer provided a total of 5 educational sessions on antenatal and postnatal care, family planning, and newborn care from August, 2012 to April, 2013. Ten to 12 items regarding the topic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each education.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ll the HEWs were female with average 4-year working experience. Their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ducation, except the first session. Their satisfaction on education was greater than 45 points out of 5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focused education for HEWs should continue to improve their capacity on MCH.

      • KCI등재후보

        에티오피아의 경제개혁과 빈곤완화전략

        김판석,Firehiwot G. Araya,백인립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1 地域發展硏究 Vol.20 No.2

        이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경제개발과 개혁 프로그램 그리고 빈곤완화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에티오피아는 그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기본 서비스의 확장 등을 통하여 다른 아프리카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국가경제가 지나치게 농업에 의존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에 기반시설의 확장, 호텔과 관광산업 등의 발전으로 인하여 서비스분야가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는 여전히 최빈국 중의 하나이고 경제구조도 지나치게 대외원조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자원동원과 인적자원개발이 에티오피아의 정책영역에서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것은 접근성과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중요하다. 그리고 급증하는 인구증가를 통제하는 것이 에티오피아의 국가발전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므로 여러 정책과제들을 분야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 KCI등재

        지역민의 구술을 통해 본 부패와 빈곤 현상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7 No.-

        이 글의 목적은 필자가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주의 데라, 메키 및 즈와이에서 수집한 현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부패가 지역민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에티오피아의 부패 현상은 역사적 과정 속에서 배태된 정치 · 경제적 요인 및 사회 · 문화적 요인에 의해 구조화되었다. 지난 20여 년간 집권했던 멜레스 정권은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무시한 채 정치적 부패를 일삼고, ‘정실 자본주의’ 틀 내에서 국부를 나누어 먹었다. 이러한 정치 · 경제적 부패의 핵심 세력은 티그레이 인민해방전선이다. 현재 에티오피아 사회에서는 부패로 인한 ‘국가 포획’ 현상이 광범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 포획 과정에서는 극소수의 이익을 위해 절대다수가 피해를 입게 된다. 최대 피해자는 가난한 사람들이다. 지역 수준에서의 부패는 주로 관리들에 의해 자행된다. 그들의 부패는 지역 공동체를 총체적으로 피폐하게 만든다. 부패는 공동체의 발전과 교육 환경 개선을 저해하는 장애물이다. 지역민은 부패를 ‘질병’ 혹은 ‘그릇된 규범’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대개의 지역민은 부패 근절의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다. 부패로 인해 절대다수의 지역민은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그들은 최소한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를 받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부패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그들의 고단한 삶은 개선의 여지가 거의 없어 보인다. 에티오피아의 부패와 빈곤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그 해결책도 총체적이어야 한다. 즉, 에티오피아가 부패와 빈곤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전반에 걸쳐 ‘국가 개조’ 수준의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corruption has affected local people’s lives, based upon the primary data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my fieldwork in Dera, Meki and Zway, Oromia Region, Ethiopia. The phenomenon of corruption in Ethiopia has been structured by politico-economic and sociocultural factors which have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process.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Meles regime had indulged in political corruption and shared national wealth within the frame of crony capitalism, disregarding the people’s aspirations for democracy. The core force, which commits such political and economic corruption, is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TPLF). At present, the phenomenon of state capture resulted from corruption is widely found in Ethiopian society. In the process of state capture, an absolute majority of people suffer serious damage for few people’s interests. The biggest victims are poor people. Corruption at the local level is committed by public officials. Their corruption totally devastates local communities. Local people regard corruption as a disease or wrong norm. It seems that the majority of local people are very skeptical of the possibility of rooting out corruption. Almost all local people are suffering from poverty due to corruption. They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prepar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getting basic public services such as education and health. As long as the problem of corruption is not solved, their hard lives will never be improved. Since corruption and poverty in Ethiopia are the result of a complex combination of diverse factors, their solutions should be also holistic. That is, it is required for Ethiopia to carry out extensive reforms at the national level, so as to escape from the snares of corruption and poverty.

      • KCI등재

        The Fallacies of the Ethiopian Agricultural Sector : Can Ethiopia Solve Food Insecurity?

        Lee Jin-Sang(이진상) 한국아프리카학회 201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4 No.-

        에티오피아의 농업생산량은 날씨에 영향에 따라 좌우되고 있으며, 지난 수십년간 식량부족의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으면서, 다양한 정부정책과 노력, 외국원조기관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량해결의 실마리는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토지개혁이나 복잡한 토지제도는 개혁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식량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농업문제해결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level of Ethiopian agricultural output has been fluctuating, and causing food shortage problems during the last few decades. Ethiopia has a vast arable land, and could overcome the food shortage problems. However, there are many obstacles that inhibit agricultural output. The land tenure system in Ethiopia is one of the key factors inducing the low level of agricultural outpu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urrent problems of food shortages in Ethiopia, and look at how the Ethiopian government has been working for the agricultural sector.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overcome the food shortage problems in Ethiop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