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치의 용감함과 덕의 통일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에 기초한 덕 윤리의 해명

        장동익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6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for a way to maintain the unity of virtue without compromis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e. Section 2, while discussing the issue of whether the bravery of a Nazi soldier can be a virtue, will explain what difficulties could arise in asserting the unity of virtue. Section 3 will suggest the conditions for the unity of virtu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y of virtue. Besides, it will also present three viewpoints of the unity of virtue: an ontological, a semantic, and a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of the three viewpoints, the condition for the unity of virtue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is the most reasonable in virtue ethics. In section 4,this paper will show that Aristotle’s unity of virtue has a special relation to practical wisdom, and thus corresponds to a theoretical view of the unity of virtue. In section 5, as a conclusion,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unity of virtue can be resolved by distinguishing the ‘natural virtue’ and ‘virtue in the strict sense’. 덕의 통일성을 견지하면서도 덕의 특성을 훼손하지 않는 하나의 방안을 찾아볼 것이다. Ⅱ장에서는. 나치 병사의 용감함이 덕일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통해 덕의 통일성을 주장하는 것이 어떤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덕의 통일성의 조건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덕의 통일성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덕의 통일성에 대한 존재론적 관점, 의미론적 관점, 그리고 이론적 관점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 세 관점 중 이론적 관점의 덕의 통일성 조건이 가장 합당하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Ⅳ장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덕의 통일성이 실천적 지혜와 특별한 관련이 있으며, 그래서 덕의 통일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Ⅴ장에서는, 결론으로, 덕의 통일성에서 생겨나는 혼란과 어려움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자연적 덕’과 ‘엄밀한 의미의 덕’을 구분하지 못한 것에서 생겨나는 문제라는 것을 논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