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 결성과 그 의미

        손숙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revealing action of catholic dealing with youth movement and its’ lower part, women movement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 in early 1920s. Also,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meanings of youth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in history of Catholic movement.This research aims to study meaning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of colonial era by defining organiz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through records descended in Unyang Catholic church. We could identify a purpose and activities of community Catholic women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member who run the organization specifically by this research.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found in 1923 for growth of Catholic, and shared activities wit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A women’s movement developed by groups that characterized by ‘new women’, ‘madam’ in 1920 was co-worked with youth movement, and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also identical with this stream. Organize of Catholic women association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showing intersection of women’s movement and young men movement in 1920s. In late 1920’s to early 1930’s, Korean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separated into middle aged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took charge of guide boys and girls. This shows that Catholic organization corresponded with division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s youth movement to boy movement. The reason why Unyang, which is not a metropolitan, could have organizations like Catholic women association and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was that there were a lot of faith community since early accommodation of Catholic.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re were powerful influences of Chundogyo, which preoccupied women movement and youth movement in Unyang. In this social mood, Catholic also dealt with this mood by organizing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women association.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활동을 언양성당에서 전승되는 기록물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이 시기 언양지역의 가톨릭부인회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가톨릭부인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 및 이것을 운영한 구성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언양천주공교부인회’는 1923년 천주교의 발전을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며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와 연동되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초반 ‘신여성’ ‘신여자’ ‘부인’으로 표상되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운동과 ‘부인’단체의 결성은 당시 청년운동과 연동되어 전개되는데,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도 이러한 흐름과 같이 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은 1920년대 여성운동과 청년운동의 교착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1920년대 말 1930년대 초 즈음 한국 가톨릭부인회는 중년부인회와 여자청년회로 분화되고, 여자청년회 단체는 그 하부에 있던 ‘소년소녀’를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것은 여자청년회의 하부에 소년소녀 단체가 조직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개신교와 천도교 계열의 청년운동에서 소년운동이 분화해 나가는데 대해 적극적으로 조응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도회지가 아닌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청년회와 부인회 등 평신도 조직들이 빨리 결성된 배경에는 언양지역이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후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부인운동과 청년운동을 선점한 천도교의 영향력이 강했던 지역사회 분위기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천주교에서도 청년회, 부인회를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듯 언양의 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이 연구는 1920년대 초반 개신교와 천도교의 청년운동과 이것의 하부운동으로 전개된 부인운동을 의식한 가톨릭의 조응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1920∼30년대 청년운동과 여성운동 나아가 가톨릭 운동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