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과제의 수사적 요소에 대한 필자의 인식 연구

        전인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5 No.-

        By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writer's writing assignment upon rhetorical component, this study assist teacher's writing assignment design for communicative wri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rhetorical components of writing assignment are topic, audience,purpose. Based on rhetorical components, three assignments (① topic, ②topic and audience, ③ topic, audience and purpose) are designed. The writers wrote one of three assignments per a week. After writing, writer's perception of writing assignment upon rhetorical componen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before writing, the writers perceived difficult assignment when rhetorical components were specificity, after writing, they perceived easer than before writing. Upon Assignment①, Audience was teacher. Upon Assignment② and Assignment ③, Audience was graduator,student in Seoul and teacher. writers perceived teacher as audience. The Processes of writing differed to assignments. The more rhetorical components are specificity, the writers required the more planning time. Because the audience and purpose are necessary for communicative writing, the teachers have to design writing assignment by rhetorical components' specification. 이 연구는 수사적 요소를 달리 하여 쓰기 과제를 제시했을 때 학생 필자들이 쓰기과제를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탐색함으로써 교사가 초등학생 필자로 하여금 의사소통적 쓰기를 할 수 있도록 쓰기 과제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과제의 수사적 요소를 주제, 독자, 목적으로 규정하였다. 이에따라 ①주제, ②주제와 독자, ③주제와 독자와 목적이 제시된 쓰기 과제를 설계하였다. 각 과제에 대해 필자들은 일주일마다 한 차례씩 모두 세 차례에 걸쳐 글을 썼다. 글을 쓰고 난 직후 각 과제에 대한 필자의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필자들은 글을 쓰기 전에는 수사적 요소가 구체적인 과제일수록 어려운과제로 인식하였고, 독자 요소가 명시적으로 제시된 과제에서는 과제에 제시된 독자를 인식하고 글을 쓰는 경향을 보였지만 교사를 독자로 인식하는 경우도 상당히 높은비중을 차지하였다.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거친 사고 과정에 대한 질문에서는수사적 요소가 구체적일수록 글을 쓰기 전에 계획하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으며쓰는 도중에서도생각하기 위해 멈추는 횟수가 많아졌다. 필자 수준에 따라서는 상수준 필자는 수사적 요소가 구체적인 과제를 더 선호하는 반면 하 수준 필자는 수사적 요소가 구체적인 과제를 선호하지 않았다. 과제①을 선호한 필자의 경우 그 이유를 쓸 내용이 많거나 쉬워서라고 응답하였고 과제②를 선호하는 필자 대부분은 읽을독자가 있어서라고 응답하였다. 과제③을 선호한 필자는 독자와 글을 쓰는 목적이쓰기 흥미를 자극하였다고 반응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 필자의 경우 쓰기 과제에서 수사적 요소(주제, 독자, 목적)를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이를 인식하고 글을 쓰려고 시도하지만 주제만 제시한 과제에서 필자 스스로 수사적 요소를 구체화하여 글을 쓰는 데 아직 미숙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사적 요소를 스스로 구체화하지 못한다는 것은 독자나 목적을 구체적으로상정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의사소통적 쓰기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교사는초등학생들이 의사소통적 쓰기를 할 수 있도록 쓰기 과제를 설계할 때 쓰기 주제외에 독자와 목적 요소를 구체화하여 제시해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쓰기 평가 과제 내용 분석 연구

        이병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ssignments throughcontent analysis. The objects of this study, writing assignments for assessment, were tasks designed by two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Among various writing assessment item, only essay test item was choose. All writing promp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rhetorical factors, procedural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 rhetorical factors consisted of theme, audience, situation, role of writer, mode of discourse. The procedural factors consisted of planning, drafting and revising. And the other group contain quantity of writing and showing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us writing assignments that indicate audience was most low frequency in rhetorical factors. In procedural, revising was most low f requency. And there were no prompts showing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So, the results mean writing assignments needed to be specified with rhetoric and designed with various procedural task including planning,drafting and revising. We should design writing assignments for similarity to real writing. In that case students will show their real writing abilities. For appropriate designing writing assignments, purpose classified table for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developed. And we should reduce the misunderstanding derived from the gap between test maker and test taker through opening the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이 연구는 내용분석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 평가 과제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대상의 쓰기 평가 과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작한 쓰기 서술형/논술형 쓰기 과제로 하였다. 이 두 기관의 쓰기 평가 과제는 전국 초등학교 및 서울의 각 학교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이유로 선정되었다. 쓰기 과제 분석의 범주는 수사적 요소, 과정적 요소, 기타 요소로 분류하였다. 수사적 요소의 하위 요소로는 주제, 독자, 상황, 필자, 담화 유형으로, 과정적 요소로는 내용 생성, 초고, 고쳐쓰기로 기타 요소로는 쓰기 분량과 평가 기준 제시로 하였다.분석 결과 수사적 요소에서는 독자를 제시한 과제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과정적 요소에서는 고쳐쓰기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조건 요소에서 평가 기준을 제시한 과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쓰기 과제가 수사적 요소를 상세화하지 않고 개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쓰기 과정은 결과 중심에 치우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쓰기 과제는 성취 수준과 글의 소재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하며, 쓰기 과제 이원 목적 분류표 개발을 통해 쓰기 과제를 풍부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쓰기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출제자와 학생 필자 그리고 채점자 사이의 오해를 좁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