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산부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감염 2예

        최형민 ( Hyung Min Choi ),김윤진 ( Yun Ji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3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4 No.1

        최근에 한국에서는 수입형 말라리아가 증가하고 있고, 간간이 토착형 말라리아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말라리아에 감염된 산모는 드문 경우로, 본원에서 임신 2분기에 감염되어 산전에 치료 후 건강한 만삭의 신생아를 분만한 한 예와 임신 33주 경에 조기 분만 후 균이 동정되어 치료 후 신생아는 출생 후 6주경에 선천성 말라리아로 치료한 한 예를 경험하였다. 이에 본 저자들은 상기 증례들을 각각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cently, in Korea, the number of malarial infections from endemic countries are in increasing and occasionally domestic infections are reported. But the malarial infection during pregnancy is rare case. We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malarial infected pregnant women. They did not traveling in malaria endemic area and transfusion history. One had been treated during antepartum and delivered a healthy baby at term and her baby did not have any evidence of congenital malarial infection. But another pregnant woman has not been treated antepartum and treated after delivery. Her baby was infected with congenital malaria. Thus, we present these two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