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합리적인 시행을 위한 비점오염원관리 개선방안

        이상진(Sang Jin Yi),김영일(Young Il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10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분류, 비점부하량(발생, 배출) 산정, 비점 오염원 관리지역의 선정, 비점오염물질 관리 등을 포함한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먼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정의는 학술적·법률적 관점에 기초하여 명확히 구분·관리하여야 한다. 특히, 사업활동과 사람의 활동에 의해서도 환경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임야, 초지, 하천 등은 별도로 자연배경오염원으로 구분하여야 한다. 비점오염원 발생 및 배출부하량의 원단위는 유역의 실제여건에 맞도록 우선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며, 비점오염원 발생 및 배출부하량의 산정방법은 유역의 강수량 및 강수 지속시간을 고려하도록 수정하여야 한다. 한편,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함에 있어 비점 오염원 관리지역은 강우시 하천의 오염물질 농도가 중권역 목표(관리목표)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유역을 대상으로 하며, 전체 유역 가운데 초지, 임야를 제외한 도시지역, 농경지, 그리고 대지 가운데 비점오염물질의 배출밀도가 높은 지역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최소화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비점오염물질저감시설은 단위면적당 비점오염물질 배출량, 오염물질 초과농도 지속시간, 처리의 실현가능성, 점오염원 대비 처리비용 효과 등을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이 많은 지역과 강우시 수질농도가 중권역 목표를 초과하는 유역에 설치하여야 한다.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this study presented the improving plan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calcul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generated, discharged),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point source pollu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based on the legal and scientific viewpoint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and managed. Especially, the forest, grassland and river without occurrence of environmental damage by activity of business and human should be separately classified natural background pollutants. The unit for generated and discharged non-point source pollution should be preferentially changed according to actual condition of watershed. The calculation methods of generated and discharged non-point source pollution should be corrected consideration on the amount and duration of rainfall. While the TMDL is implemen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should be selected in the watersheds exceed the targeted water quality standards by the rainfall.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should be selected in the minimal regions where have high values of discharged non-point source pollution density in the urban area, farmland and site area except forest, grassland in the whole watershed.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which take into consideration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per unit area, duration of the excess concentration, realizable possibility of treatment, effectiveness of treatment cost versus point source pollutant,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regions with a large genera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and a high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exceed the targeted water quality standards by the rainfall.

      • 식생피도가 식생여과대의 유기물질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

        길경익,심범섭,임지열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수질오염은 부유물질, 유기물질, 영양염류 등이 수계로 유입되어 물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를 말한다. 배출 형태는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이 있으며,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에 비해 오염부하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수계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비점오염원의 관리가 중요해졌으며,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크게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된다.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인 식생여과대는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주로 식생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BOD, COD, TSS 값을 산정하고, 식생여과대의 식생피도 변화에 따른 유기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용인시에 설치된 식생여과대에서 7년간의 모니터링을 통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탁도를 기준으로 유입·유출수의 샘플링을 했으며, 통계학적 방법으로 BOD, COD, TSS의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식생피도는 4계급으로 분류하였고, A계급 : 0 ∼ 25 %, B계급 : 25 ∼ 50 %, C계급 : 50 ∼ 75 %, D계급 : 75 ∼ 100 % 으로 나타내었다. 유기물질과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은 다음과 같다. A계급에서 BOD는 24 %, COD는 5 %, TSS는 60 % 이고, B계급에서 BOD는 17 %, COD는 40 %, TSS는 77 % 이고, C계급에서 BOD는 43 %, COD는 43 %, TSS는 82 % 이고, D계급에서 BOD는 61 %, COD는 53 %, TSS는 92 % 이다. 식생피도가 증가할수록 유기물질인 BOD, COD와 부유물질인 TSS의 제거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비시가화지역에서 비점오염물질과 입자성물질의 유출 상관성

        박지영(Ji Young Park),배상호(Sang Ho Bae),윤영한(Young H. Yoon),임현만(Hyun Man Lim),박재로(Jae Roh Park),오현제(Hyun Je Oh),김원재(Weon Jae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4 No.11

        강우시 상당 부분의 비점오염물질은 입자성물질에 흡착된 형태로 유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입자성물질과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강우시 오염물질별 유출 특성과 입도분포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사례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특히 도시화가 진전되지 않은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는 보고된 예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논, 밭 및 임야 등으로 구성된 소규모 비시가화지역(유역면적 52.8 ha)을 선정하여 다양한 규모의 강우사상별 유출특성을 조사하고, 오염물질의 유출특성과 입자성물질의 거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입자성물질의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소규모 강우에서도 초기유출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입자성물질이 영양염류 및 중금속의 유출과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OD5와 TOC의 유기물항목, TN과 TP의 영양염류, Al, Cr, Cu, Fe, Hg 및 Zn의 중금속항목 등이 SS (total), VSS, SS (d < 20 μm) 및 SS (20 μm ? d < 80 μm)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 입자성물질과 유사한 유출거동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ODcr, Cd, Mn 및 Pb는 입자성물질의 유출거동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비시가화지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과정은 입자성물질의 거동과 상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처리대상물질에 따라서도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고려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general, nonpoint pollutant of a watershed is drained out in the form of storm water runoff during rainfall events. As the bulk of the nonpoint pollutant is in adsorbed form on particulate matt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nonpoint pollutant it is essential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in rainfall runoff. Though, previous studi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are very rare. In this study, a small non-urbanized area (basin area of 52.8 ha) with various landuse types including paddy, dry fields and forest was selected and investigated in detail for the runoff properties of each pollutant during several rainfall events. The correlation and effects between particulate matters and nonpoint pollutant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the significant first flush was observed on each event and it became clear that fine particulate matters (80 μm or less) has contributed in the runoff process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Organic matters (BOD5, TOC), nutrients (TN, TP) and several heavy metals (Al, Cr, Cu, Fe, Hg and Zn) represented high correlations with SS (total), VSS, SS (d < 20 μm) and SS (20 μm ? d < 80 μm). On the other hand, CODcr, Cd, Mn and Pb did not show clear correlations with the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s. Therefore, we have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mitigation facilities considering the facts that nonpoint pollutant runoff process has high correlation with the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s and is changeable based on the target pollutants.

      •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 등에 대한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박기중 ( Kijung Park ),구혜진 ( Hyejin Ku ),정제호 ( Jeho Jung ),류덕희 ( Deughee Rhew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최근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 내 비점오염원의 주변 수계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환경기초조사사업의 일환으로 4 대강 수계에 대하여 경작지 및 오염원 투입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반면,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 내 비점오염원에서의 배출 특성은 일반 경작지와 다르며, 계절별ㆍ호우사상별ㆍ물관리 방법별 변동성으로 인하여 물질 투입량, 작물 소모량, 토양 잔류량, 자연 감소량, 유출 및 용출 물질량 등의 정량화가 매우 어려워 수계별 일부 관심지역에 대해서 기초적인 조사만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국내ㆍ외 관련 연구 부족은 물론 경작지 및 오염물질 투입 현황에 대한 실태 파악 등의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조차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합리적이며 체계적인 비점오염원의 관리, 오염총량관리제도 지원,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대안 마련 및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 현황 및 오염물질 투입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는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크게 첫째, 지적도, 하천 경계망도, 호소·저수지 경계망도 자료를 수집하여 GIS tool을 이용, 경작지 현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둘째, 농림수산식품부 및 농협 등 관계기관 통계자료 등을 이용하여 지역별, 토지이용별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에서의 오염물질 투입현황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수계를 대상으로 하여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 현황과 오염물질 투입현황을 파악하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하천 제외지 및 댐 홍수조절지의 합리적인 활용방안과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대안 마련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강우 시 식생수로에서 유기물 및 부유물질 저감효율 분석

        길경익,배원열,임지열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비점오염은 점오염과 달리 불특정 배출경로를 가지며 유출량의 예측 및 정량화가 어렵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이 수계로 유입 될 경우 수질의 악화를 초래한다. 이에 정부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고자 비점오염저감시설 개발, 연구 및 설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경우 충분한 자료를 토대로 설치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 및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수로에서 강우 시 발생되는 부유물질 및 유기물 저감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상지역에서의 강우 모니터링을 통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자연형 장치인 식생수로에서의 EMC를 통계분석하고 ER 방법 및 SOL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산정하였다. EMC 결과 값은 TSS는 유입 27.62 ∼ 98.08mg/L, 유출 13.96 ∼ 220.12mg/L, COD는 유입 13.61mg/L ∼ 31.83mg/L, 유출 5.69 ∼ 11.34mg/L, BOD는 유입 2.58 ∼ 11.70mg/L, 유출 0.59 ∼ 6.65mg/L의 범위를 보였다. 저감효율 산정 값은 ER 방법과 SOL 방법에 대해 각각 TSS는 49%, 83% COD는 72%, 82% BOD는 71%, 76%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유출부의 EMC 범위와 평균 70% 이상의 저감효율 산정 값을 통해 식생수로가 강우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대해 높은 저감효과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 만경강 소양교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오혜진 ( Hye Jin Oh ),손재권 ( Jae Gwon Son ),최진규 ( Jin Kyu Choi ),고남영 ( Nam Young Goh ),김영주 ( Young Ju Kim ),오진휴 ( Jin Hyu Oh ),손태호 ( Tae Ho So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현재 우리나라는 수환경은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으며, 환경시설 확충으로 점오염원의 배출량은 감소하는 것에 비해 비점오염원의 관리는 여전히 미흡하다. 따라서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오염원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점오염원의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일정한 배출구를 갖지 않으므로 비점오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유출특성을 파악하여 오염원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기술적인 대책과 제도적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 물질의 배출특성을 예측하고, 수질개선 및 환경개선을 위한 비점오염부하평가를 실시하고자 만경강에 위치한 제2소양교 지점에서 2010년 10월~2012년 6월까지 수질·수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체계적인 비점오염관리 대책마련을 위해 필요한 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유역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용진면 상운리에 위치한 만경강 제2소양교 유역이다. 총 유역면적은 14,851 ㏊이고, 인구는 61,617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동안 총 강우량은 1956.9 ㎜ 이었으며, 유량은 0.12~21.02 ㎥/s의 범위로 평균 2.28 ㎥/s로 나타났다. 대상유역의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월 1회 채수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Tot-N의 농도는 1.85~5.79㎎/L의 범위로 평균 3.90 ㎎/L로 나타났고, T-P의 농도는 0.01~0.12 ㎎/L의 범위로 평균 0.05 ㎎/L로 나타났다. SS는 29.5~163.5 ㎎/L의 범위로 평균 90.30㎎/L, BOD는 0.7~2.8 ㎎/L의 범위로 평균 1.45㎎/L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중 영양염류의 유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Tot-N은 45.86 ㎏/㏊, Tot-P는 0.35 ㎏/㏊로 각각 산정되었으며, 이중 강우기의 유출부하량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로 볼 때 강우사상과 더불어 유출량이 증가하는 7월과 8월에 집중되는 오염물질의 수계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처리시설 도입과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동 기간 유출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복합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주소희 ( So Hee Ju ),신재영 ( Jae Young Shin ),이수인 ( Su In Lee ),박민지 ( Min Ji Park ),최중대 ( Joong 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강우시 지표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강우특성과 지표수의 수리·수문학적 특성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예측과 정량화 및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워 하천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전지홍 등., 2005). 그러므로 비점오염으로부터 수역의 수질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을 고려한 비점오염원 부하량의 합리적인 조사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토지이용 형태별 장기적인 비점오염물질 유출에 관한 모니터링 조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토지이용형태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지점을 강원도 춘천시 공지천 유역으로 선정하여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의 강우사상에 대한 오염물질별 오염부하 및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였다. 공지천 유역은 전체면적 44.815 ㎢ 중 산림지역 51.4%, 농업지역 31.7% 시가화 건조지역 12.3%, 초지 2.8%, 나지 1.2%, 수역 0.6%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기간 동안 발생된 강우량의 범위는 4.7 ~ 74 mm로 나타났으며, 모니터링 일수는 총 8회이다. 선행무강우일수는 0.8 ~ 19.4일이고, 강우강도는 0.62 ~ 3.82 mm/hr의 범위로 나타났다. 총 유출량은 17362.6 ~ 347652.5 ㎥, 유출률은 0.08 ~ 0.11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모니터링 결과, 유량가중평균농도(EMC)는 SS 1.71 ~ 207.8 mg/L(평균 58.9 mg/L), BOD 1.1 ~ 5.4 mg/L(평균 3.2 mg/L), COD<sub>MN</sub> 1.9 ~ 25.2 mg/L(평균 9.4 mg/L), TOC 2.2 ~ 6.3 mg/L(평균 4.1 mg/L) mg/L, T-N 3.9 ~ 11.4 mg/L (평균 7.8 mg/L), T-P 0.1 ~ 0.7 mg/L(평균 0.4 mg/L)의 범위로 나타났다. 공지천 유역의 말단의 경우 다른 지점에 비해 주거와 상가 그리고 도로가 주변에 밀집이 되어있는 도시지역으로 불투수층 비율이 높아 작은 강우에도 분류식 하수관거로부터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로 인해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공지천 유역의 수질 항목간 Pearson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누적오염부하량비 그래프에서 대부분 강우 사상이 1 이상으로 나타나 초기 유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유출량이 40%일 때 약 50%의 오염부하가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우 초기에 오염물질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강우가 지속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초기유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2015년 1년간의 짧은 연구기간동안의 자료이며, 2015년 강수량은 547.9 mm로 지난 30년간(1985년 ~ 2014년)의 평균 강수량은 1,256.8 mm의 43.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합토지이용형태에 대한 추가적인 장기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다양한 강우형태에 따른 유출특성을 파악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자운지구 유역의 강우계급별 부유물질 저감 효과 분석

        구자영 ( Jayoung Koo ),이서로 ( Seoro Lee ),최유진 ( Yujin Choi ),양동석 ( Dongseok Yang ),성윤수 ( Yunsoo Sung ),임경재 ( Kyou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우리나라 고랭지 밭의 63.4%를 차지하고 있는 강원도 고랭지 밭은 47.7%가 강우시 다량의 토양과 양분이 유실되기 쉬운 15%이상의 급경사지에 분포되어 있다. 더욱이 하천의 최상류에 위치한 강원도 고랭지 밭에서 유실되는 토양은 하류 하천에 도달하기까지 체류시간이 긴 특성을 지니고 있어 탁수 및 부영양화의 장기화를 야기한다. 환경부에서는 탁수와 유실되는 토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2007년 5월 소양호, 도암호, 임하호 유역에 대해 수질환경보전법에 따라 비점오염관리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이후 소양호 유역은 다양한 탁수저감사업, 흙탕물저감사업 등 다양한 비점오염원 저감사업 기반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2014년 12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에서 해제되었으나, 소양호 상류지역의 흙탕물 발생과 비점오염원의 배출은 기대만큼 저감되지 않아 2015년 10월 소양호 상류지역 중 만대지구, 가아지구, 자운지구에 대하여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재지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소양호 상류지역의 비점오염관리지역 중 하나인 자운지구를 대상으로 비점오염원 저감사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효과가 유역단위에서 어느정도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운지구에 대하여 2010년과 2014년에 모니터링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강수량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완화하고자 10 mm 미만, 10 mm 이상∼30 mm 미만, 30 mm 이상∼50 mm 미만, 50 mm 이상의 강우계급별로 나누어 부유물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운지구 유역의 부유물질 저감 효과는 68.3∼82.4%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원 저감효과는 장기간에 거쳐 서서히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이 어떠한 경향으로 어느 정도까지 줄어들지는 미지수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사업을 통해 최적관리기법 도입에 따른 저감효과를 장기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 BMP 보급에 따른 농민들의 인식변화와 문제점 분석

        이수인 ( Su In Lee ),신재영 ( Jae Young Shin ),장정렬 ( Jung Ryeol Jang ),주소희 ( So Hee Ju ),최중대 ( Joong 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우리나라의 하천 및 호소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약 30% 이상이 농업활동 등에 의한 비점오염원이며, 농업수자원 수질문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업비점오염원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및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농업비점오염은 강우뿐만 아니라 관개, 시비, 물관리 등 영농방법에 기초한 인위적인 활동이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논의 경우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농업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해서는 유역 내 농민들을 비롯한 주민들의 수질관리에 대한 이해와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반구축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 저감효과 검증이 이루어진 다양한 BMP 중 실제 현장에 맞는 농민 맞춤형 BMP를 새만금 유역 내 연구대상 지구에 보급하고, 농민 교육과 설문 조사를 통해 보급 및 실행에 따른 효과 검증 및 보급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등에 조사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구는 새만금 지역에 위치한 전라북도 부안군 용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벼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였다. 논에 보급된 BMP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BMP 참여 농가를 선정하여 물관리기술(물고)과 시비관리기술(완효성 비료사용, 토양검정시비)을 보급하고, BMP 보급 및 농민교육 전/후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농민들의 인식변화 및 문제점,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BMP 보급 및 농민교육 전/후로 비점오염원이란 용어의 인지도가 33.3%에서 47.7%로 향상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2차 연도 설문조사에서 동일한 질문에 대하여 76.5%가 비점오염원이란 용어를 인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급된 BMP의 지속적인 적용 유무에 대해서는 1차 연도에는 52.6%가 지속적으로 적용한다고 답하였으며, 2차 연도에는 100%가 지속적으로 적용할 의사가 있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교육 및 홍보를 통한 지역주민 계몽의식 고취가 4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지역주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 개선(26.3%), 친환경농법의 기술지원 및 보급(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해 BMP 보급 이후 농민들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지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하여 물꼬 장치 유지관리 등 BMP 이행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농민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문제에 대한 인식은 향상되었으나, 물꼬 조절장치 유지관리 및 토양검정시비 등 BMP 적용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은 아직 많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농민 교육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보조금 지급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도시지역 물순환 및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식생체류지 개발 및 평가

        유기경,최지연,홍정선,문소연,김이형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도시화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는 도시 내의 강우유출수를 아무런 처리 없이 직접 도시 내에 유출되어 홍수, 첨두유량 증가 등의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 우리나라 등 많은 국가에서 개발 전 자연이 가지고 있던 수문학적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개발 후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저영향 개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물순환 관리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기여하고자 저류와 침투가 가능한 식생체류지를 개발 및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식생체류지의 물순환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주대학교 내 주차장에 설치된 식생체류지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한 수질시료는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준하여 입자상물질, 유기물, 영양물질 및 중금속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첨두유량 발생시간 및 지체시간, 첨두유량 저감 및 물수지를 산정하여 물순환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생체류지 시설의 모니터링은 2013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총 11회가 수행되었으며 모니터링 결과, 강우유출수의 발생시간은 식생체류지를 적용하기 전에 비하여 약 40min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첨두유량의 발생 시간은 시설 적용 전에 비하여 약 80min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첨두유량은 약 0.3m3/min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수지 산정 결과, 시설 내 저류 및 침투되는 양은 90%로 높은 물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 되었다. 비점오염물질 저감효율을 산정한 결과, 모든 오염물질에서 90% 이상으로 높은 저감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재부에서 일어나는 오염물질 저감 기작이 효과적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