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arrier Rate, Serogroup and Vaccination Effect of Neisseria meningitidis on Army Trainees in Korea

        Kim, Sam Hyun,Seo, Pil Won,Choi,tae Youn,Kim, Jeong Ho,Lee, Do Hoon,Park, Hyosoon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5 忠北醫大學術誌 Vol.5 No.1

        1988에서는 1991년까지 4개년간 군 병원에서 발생한 수막구균혈증 환자를 조사하고 이 질병의 예방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막구균 인후 보균율, 분리 균종의 혈청군 분류 및 예방 접종의 효과 판정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개년간 수막구균혈증은 21건이 발생하여 이중 10명이 사망하여 47.6%의 치사율을 보였다. 이들중 2례에서 혈청군 분류를 시행한 결과 대신 2례 모두 C혈청군을 보였다. 2. 인후보균율은 겨울에 가장 높고 훈련기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인근 고등학생을 이용한 대조군의 훈련입소병과의 유의한 보균율 차이는 없었다. 3. 분리 균종의 혈청군 분류 결과는 W135(24.3%), 29E(10.5%), Y(5.2%), B(3.0%), Z(2.0%), C(1.6%), X(1.0%), A(0.3%), D(0.3%)와 미분류(46.6%)였다. W135, 29E와 미분류 혈청군이 전체의 86.6%이다. 4. 예방 접종(Mening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groups A and C combined ??/C from Connaught Laboratories, INC.(Swiftwater, PA, USA)후 시행한 인후보균율 및 혈청군 조사에서 접종군에서는 훈련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보균율의 증가 경향을 관찰할 수 없었다. 혈청군은 W135(24.3%), 29E(20.3%), Y(5.1%), A(4.5%), B(1.7%), X(1.7%), Z(1.7%), C(1.1%), D(1.1%)와 미분류 혈청군이 38.4%여서 W135, 29E와 미분류 혈청군이 전체의 83%이다. 6주후 조사에서는 대조군에는 A가 4명, C가 1명, 접종군에서는 A가 1명, C는 0명이었다. Meningitis caused by Neisseria meningitid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al problems in the military recruits due to its high prevalence and mortality in the clustered living-condition. To solve this, we have done 3-year program consisted of three subjects, which were the carrier rate survey at the first year, their serogrouping at the second year and the evaluation of the vaccination effect at the third year. The carrier rates of Army trainees were 20.34%, 24.43%, and 54.29% in summer, autumn and winter, respectively. The carrier rate had the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training duration. Among the 305 strains isolated from carriers, the frequencies of each serogroup, W135, 29E, Y, B, Z, C, X, A, D, and nongroupable, were 29.5%, 10.5%, 5.2%, 3.0%, 2.0%, 1.6%, 1.0%, 0.3%, 0.3%, and 46.6%,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Neisseria meningitidis vaccine(??, Connaught Laboratories, INC., Swiftwater, PA, USA), the nasopharyngeal culture and serogrouping were done after vaccination of 160 trainees.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the vaccinated group didn't show rising tendency of carrier rate. Serogroups of 177 strains isolated from carriers of both groups were in descending order : W135(24.3%), 29E(20.3%), Y(5.1%), A(4.5%), B(1.7%), X(1.7%), Z(1.7%), C(1.1%), and D(1.1%). And 38.4% of the isolates were nongroupable. Control group showed increased proportion of serogroup A and C.

      • KCI등재

        한국인 임산부에서의 Group B streptococci 감염에 대한 연구

        박이석(Lee Suk Park),서경(Kyung Seo),김세광(Sei Kwang Kim),박용원(Yong Won Park),정현용(Hyun Yong Jung),정윤섭(Yun Sop Chong),이경원(Kyung Wo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분만을 위해 내원한 임신부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B군 연쇄구균의 보균율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1991년 4월부터 1992년 8월까지 신촌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분만을 위해 내원한 단태아 임신부와 이들이 분만한 신생아 153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체는 임신부의 질하부와 자궁경부 및 신생아의 이관과 인후부위에서 채취하여 Todd-Hewitt broth(Difco)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B군 연쇄구균을 동정하였다. 결과: 임신부와 신생아의 B군 연쇄구균 보균율은 각 각 2.61%(4/153)와 0%(0/4)이었으며, 대상 신생아의 B군 연쇄구균 양성결과 1 예에서 패혈증이 의심되었다. 결론: 한국인 임산부의 B군 연쇄구균 감염률은 외국에 비해 낮으며, 그 이유는 인종차이 내지는 사회-경제적 혹은 생활방식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degree of streptococcal colonization in Korean pregnant women. Methods: The study comprised of 153 singleton pregnant women who visited Severance Hospital for delivery, and their neonates. Specimens for GBS culture were collected by a sterile cotton swab from lower vagina and cervix of pregnant women, and from ear canal and throat of neonates. They were first cultured for 48 hours in Todd-Hewitt broth and then subcultured onto Tryptose blood agar plates(Difco). Group B streptococci were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β-hemolysis and a positive reaction with Phadebact group B Streptococci reagent(Karo Biodiagnostics AB, Huddinge, Sweden). Results: The prevalence of positive cultures in pregnant women and neonates were 2.61%(4/153) and 0%(0/4), respectively. In the study population there was a case of suspicious group B streptococcual sepsis in an infant whose mother was colonized.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GBS colonization rate in Korean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may be associated with a racial differences, or social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or a life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