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cope of Work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for Ultrasound Examinations

        임창선(Chang Seon Lim),진계환(Gye Hwan Jin)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4

        한국에 초음파사 자격제도는 없다. 그러나「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방사선사가 초음파 진단기를 취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사가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데 허용되는 업무 범위와 한계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이에 한국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과 행정심판 재결, 법원의 판결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유권해석에서는 방사선사가 초음파영상검사를 수행할 때 의사가 방사선사의 촬영영상을 동시에 보면서 실시간으로 진단과 구체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입회 또는 기타 의료기술을 활용한 “의사의 실시간 지도하에 방사선사의 초음파검사 및 촬영”은 가능하며, 이 경우 의사의 지도는 방사선사와 1:1로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행정심판에서는 초음파 관련 장비의 취급은 방사선사의 업무라고 재결하였다. 법원에서는 의사의 구체적인 지휘·감독 없이 방사선사가 단독으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고, 방사선사가 초음파검사에 대하여 의학적 판단을 하는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에서는 초음파사(sonographer, 超音波検査士)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독자적으로 환자에 대한 초음파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대한 예비소견을 작성하여 의사에게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도 미국 등과 같이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사가 실시간 지도를 받지 않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초음파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There is no qualification system for sonographers in Korea. But th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ETC. ACT stipulates that radiological technologists can handle ultrasound equipment.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scope of the work allowed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to perform ultrasound examinations. Accordingly,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the adjudication of administrative judgment, and the judgment of the cour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expresses that when a radiological technologist performs an ultrasound examination, a diagnosis and specific guidance should be made in real time while the doctor simultaneously watches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s images. In the adjudication of administrative judgment, it was decided that the handling of ultrasound-related equipment was the work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The court ruled that it was illegal for a radiological technologist to make a medical judgment on ultrasound exa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Canada, etc., the sonographer independently conducts ultrasoun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doctor s prescription, prepares a summary of what they saw and this is passed on to the doctor. Therefore,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so that radiological technologists can perform ultrasound examinations according to doctors prescriptions without real-time guidance.

      • KCI등재

        방사선사의 초음파검사업무 실태조사

        정봉재(Bong-Jae Jeong),지태정(Tae-Jeong Ji)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전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초음파검사업무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측정 도구는 설문지로 2021년 02월01일부터 07월31일까지 전국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서 초음파검사업무에 종사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e-mail, SNS등을 활용하여 연구에 적합한 431부를 SPSS/PC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초음파검사 업무특성 및 직무만족요인을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사의 직무특성을 전체 직무만족도로 분석한 결과, 전체 직무만족도는 3.30 ± 0.56으로 나타났다. 평균 3.0점 보다 높은 수준으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보다 높은 직무만족 수준을 나타내었다. 초음파검사에 대한 보험급여화가 시작된 이후 많은 방사선사들이 초음파검사업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대한방사선사협회와 초음파검사업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는 전문성 강화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 of ultrasound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working across the country. The measuring tool of the study was a questionnaire, and it was targeted to radiological technologist engaged in ultrasound examination at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across the country from February 01 to July 31, 2021.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431 questionnaires suitable for research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Ver 18.0 program using email and SNS in a non-face-to-face mann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ultrasound examin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who perform ultrasound examination as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3.30 ± 0.56.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performing ultrasound examination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3.0 points, indicating a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than the average. Since insurance coverage for ultrasound examinations started, many radiological technologists have been very interested in ultrasound examination work. Therefore,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of Association and radiological technolgists engaged in ultrasound examination more attention and effort should be put into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디지털 이동방사선검사에서의 세균 오염도

        신성규(Seonggyu Shin),이효영(HyoYeong Lee) 대한방사선과학회 2017 방사선기술과학 Vol.40 No.1

        본 연구는 일개대학병원의 디지털 이동방사선검사 장비를 대상으로 이동방사선검사 시 검출기와 장비의 세균학 적 오염도를 조사하여 이동방사선검사 장비로 인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고자 실시하였다. 중환자실 감염관리 환자는 검출기 위에 비닐을 씌우고 검사를 실시한 후 비닐 위에서 검체를 채취한 결과 CNS, VRE가 검출되었고 비닐을 제거한 검출기에서는 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일반병실 환자를 연속해서 검사한 결과, 1번 환자에서는 균이 발견되지 않았고, 2번과 3번 환자에서는 CNS, 4번 환자는 CNS, Enterococcus faecalis, 5번 환자는 CNS, Enterococcus casseliflavus, 6번 환자에서는 CNS, Enterococcus casseliflavus, Klebsiella pneumoniae가 검출되었다. 조사야 조절 손잡이에서는 CNS, Enterococcus faecium이 검출되었다. X-선 발생스위치, 검출기 손잡이에서는 CNS가 검출되었다. 검사 후 방사선사의 진료 장갑에서는 CNS, Enterococcus gallinarum, Klebsiella pneumoniae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1회 검사 후 검출기를 소독하고 재검사 하는 방법과 검출기에 1회용 비닐을 씌워 검사한 후 제거하는 방법을 권장하며, 진료장갑은 1회 검사 후 반드시 새로운 장갑으로 교체해야 한다. 또한, 검사 중 많이 조작하는 조사야 조절 손잡이의 철저한 소독과 근무자의 감염교육을 통해 이동방사선검사로 인한 병원감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system and their detectors in a university hospital. CNS and VRE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collected from vinyl cover on detectors used for the infection control patients. On the other hand, no bacteria was detected in the samples collected from detectors with vinyl cover removed. In the series of imaging of patients from general wards, no bacteria was detected from the patient 1. However, CNS was detected from the patients 2 and 3, CNS and Enterococcus faecalis detected from the patient 4, CNS and Enterococcus casseliflavus detected from the patient 5, and CNS, Enterococcus casseliflavus, and Klebsiella pneumoniae all detected from the patient 6. CNS and Enterococcus faecium were detected in the controller handle of collimator. Also, CNS was detected from the handle of detector and exposure switch. In the treatment gloves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after the imaging, CNS, Enterococcus gallinarum,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detecte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DR portable to take images after sterilizing the detector after taking each image and to use disposable vinyl covers on detectors to remove after imaging. And treatment gloves must be changed after each imaging. Also, hospital infection via portables must be prevented by complete sterilization of the controller handles of collimator which are in frequent contact during imaging and infection education of employees.

      • KCI등재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자세의 변화에 따른 방사선량 및 영상평가

        김영천,송종남,최남길,정연,한재복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7

        하지전신계측검사(low extremity teleography)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요장기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검사방법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하지전신계측검사를 시행한 성인남자 10명을 대상하였고 촬영조건은 관전압 73 kVp, 관전류량 32 mAs, SID 180 cm로 설정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란도 팬텀을 이용하여 수정체, 갑상선, 생식선 부위에 유리선량계(glass dosimeter)를 부착한 후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각각 5번씩 시행하여 부위별로 방사선량을 측정한 후 Paired T-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영상평가는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시행한 영상을 blind test를 실시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전후방향자세검사에 비해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수정체 약 6%, 갑상선 약 6%, 생식선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약 27%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영상평가에서도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어,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전후방향자세검사보다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radiation doses of major organs in various postures in lower extremity teleography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test methods. Ten adult males who underwent lower extremity teleography at a tube voltage of 73 kVp, tube current of 32 mAs, and SID of 180 cm. Using rando phantom, glass dosimeter was attached to the eye lens, thyroid gland, and genital gland to measure the radiation dose in each area 5 times in each anteroposterior posture and posteroanterior posture.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The images from the anteroposterior posture and posteroanterior posture were evaluated through the blind test on a scale of 5. As a result, the posteroanterior method could reduce the dose than the anteroposterior posture method: less dose for the eye lens by 6%, thyroid gland by 6%, and genital gland by 26%.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evaluation, the posteroanterior posture is considered better than the anteroposterior posture in lower extremity teleography.

      • KCI등재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 위험성 평가를 위한 방사선 위해도 지수 모델 주요인자 선정에 관한 연구

        권다영 ( Da Yeong Gwon ),한지영 ( Ji Young Han ),배유정 ( Yu-jung Bae ),김병수 ( Byeong-soo Kim ),김용민 ( Yongmin Kim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4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작업장의 위험성은 주로 피폭선량 값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작업장은 사용하는 방사선 및 작업환경이 상이하다. 특히,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은 작업대상물, 차폐체 사용 가능 유무 등에 따라 작업환경이 다양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사선 방호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전문가 및 조장 방사선작업종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선원, 방사선피폭선량, 작업장관리현황, 판독특이자, 정기검사현황이 주요인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중요도를 바탕으로 1차 가중치(안)을 설정한 후 2차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 내 세부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주요인자를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 위해도 지수 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isk of radiation worker and radiation workplace are being mainly assessed by exposure dose. But, the radiation used in radiation workplace and the work environment are different. Because the nondestructive work environment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subject,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hielding board, and so on. So, we need to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in effective radiation protection aspect. We conducted a survey of radiation workers with over two years` experience in NDT workplace and heared the thoughts of experts. As a result, radiation source, exposure dose, current status of workplace management, workers with personel dosimetry problem and status of periodic regulatory inspection were chosen as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Also, we primarily set weighting factors in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questionnaires. Finally, we determined weighting factor for details of main factors through the professional advice.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the risk of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based on main factors that are selected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risk in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Da Yeong Gwon(권다영),Ji young Han(한지영),Yu-Jung Bae(배유정),Byeong-soo Kim(김병수),Yongmin Kim(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4

        Risk of radiation worker and radiation workplace are being mainly assessed by exposure dose. But, the radiation used in radiation workplace and the work environment are different. Because the nondestructive work environment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subject,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hielding board, and so on. So, we need to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in effective radiation protection aspect. We conducted a survey of radiation workers with over two years` experience in NDT workplace and heared the thoughts of experts. As a result, radiation source, exposure dose, current status of workplace management, workers with personel dosimetry problem and status of periodic regulatory inspection were chosen as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Also, we primarily set weighting factors in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questionnaires. Finally, we determined weighting factor for details of main factors through the professional advice.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the risk of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based on main factors that are selected through this study.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작업장의 위험성은 주로 피폭선량 값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작업장은 사용하는 방사선 및 작업환경이 상이하다. 특히,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은 작업대상물, 차폐체 사용 가능 유무 등에 따라 작업환경이 다양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사선 방호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전문가 및 조장 방사선작업종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선원, 방사선피폭선량, 작업장관리현황, 판독특이자, 정기검사현황이 주요인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중요도를 바탕으로 1차 가중치(안)을 설정한 후 2차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 내 세부 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주요인자를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투과검사작 업장 위해도 지수 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자세의 변화에 따른 방사선량 및 영상평가

        김영천(Yeong cheon Kim),송종남(Jong nam Song),최남길(Nam gil Choi),정연(Yeon Jeong),한재복(Jae bok Han)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7

        하지전신계측검사(low extremity teleography)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요장기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영상을 비교ㆍ분석하여 검사방법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하지전신계측검사를 시행한 성인남자 10명을 대상하였고 촬영조건은 관전압 73 kVp, 관전류량 32 mAs, SID 180 cm로 설정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란도 팬텀을 이용하여 수정체, 갑상선, 생식선 부위에 유리선량계(glass dosimeter)를 부착한 후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각각 5번씩 시행하여 부위별로 방사선량을 측정한 후 Paired T-test로 비교ㆍ분석 하였다. 영상평가는 전후방향자세와 후전 방향자세를 시행한 영상을 blind test를 실시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전후방향자세검사에 비해 후전 방향자세검사가 수정체 약 6%, 갑상선 약 6%, 생식선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약 27%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영상평가에서도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어,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전후방향자세검사보다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radiation doses of major organs in various postures in lower extremity teleography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test methods. Ten adult males who underwent lower extremity teleography at a tube voltage of 73 kVp, tube current of 32 mAs, and SID of 180 cm. Using rando phantom, glass dosimeter was attached to the eye lens, thyroid gland, and genital gland to measure the radiation dose in each area 5 times in each anteroposterior posture and posteroanterior posture.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The images from the anteroposterior posture and posteroanterior posture were evaluated through the blind test on a scale of 5. As a result, the posteroanterior method could reduce the dose than the anteroposterior posture method: less dose for the eye lens by 6%, thyroid gland by 6%, and genital gland by 26%.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evaluation, the posteroanterior posture is considered better than the anteroposterior posture in lower extremity teleography.

      • KCI등재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료장비 및 방사선사 인력 현황 연구 : 2020-2021년 자료를 기준으로

        장현철(Hyon-Chol Jang)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5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하면서 방사선 의료 기술 개발의 혁신 및 고도화에 따라 방사선사의 업무 범위는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장비 및 방사선사 인력 현황을 파악하여 4차 산업 혁명시대 변화에 있어 방사선 의료기술분야 인재 양성 계획, 진로 및 취업 상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2020년부터 2분기 자료와 2021년 2분기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20년 대비 2021년 종별 의료장비 현황 비교 결과 C-Arm X-선 검사 장비가 6,638대로 5.83%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며, 다음 순으로 MRI 검사 장비 1,811대 5.29%, 혈관조영 검사 장비 725대 5.22%, 일반 X-선 검사 장비 21,557대 3.99%, CT 검사 장비 2,136대 3.03%, 유방 검사 장비 3,425대 3.00% 증가하였다. 2020년 대비 2021년 전체 방사선사 인력 현황 비교 결과 29,038명으로 2.73% 증가하였다. 지역별 방사선사 인력 현황 비교 결과 경기 지역에서 5.96%로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며, 다음순으로 강원 지역 5.66%, 충남 지역 3.81% 증가하였다. 의료장비 및 방사선사 인력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대학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의료 방사선 기술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에 관한 이해 및 활용과 관련된 교과목 개발을 통한 전문적 지식과 실무역량을 갖춘 방사선사 양성이 필요하며, 협회 차원에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취업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we ente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judged that the scope of work of radiologists will be further expanded according to the innovation and advancement of radiation 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equipment and radiology technicians was identified, and basic data were provided for the plan for nurturing talents in the field of radiation medical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career and employment counseling. Data from the second quarter of 2020 and the second quarter of 2021 were analyzed us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tus of medical equipment by type in 2021 compared to 2020, C-Arm X-ray examination equipment increased by 5.83% to 6,638 units, followed by MRI examination equipment 1,811 units 5.29%, and angiography equipment 725 units 5.22% , general X-ray examination equipment 21,557 units increased 3.99%, CT examination equipment 2,136 units 3.03%, and breast examination equipment 3,425 units increased 3.00%.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the total number of radiologists in 2021 compared to 2020, the number was 29,038, an increase of 2.7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tus of radiographers by region, the increase was highest in the Gyeonggi region with 5.96%, followed by the Gangwon region with a 5.66% increase and the Chungnam region with a 3.81% increase.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medical equipment and radiologist manpower is increasing, universities are developing specialized knowledge and practical competency through subject development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customiz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hat can be applied in the medical radiation technology fiel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nurture qualified radiographers, and at the level of the association, it is thought that active policies are needed to create new jobs and improve employ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adiation Safety in Opened-Ceiling-Facilities for Radiography Testing

        허성회(Sung-Hoe Heo),박원석(Won-Seok Park),허승욱(Seung-Uk Heo),민병인(Byung-In Min)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6

        산업체에서 용접구조물을 파괴 없이 품질을 검증하는 방사선투과검사는 압도적으로 많이 이용되지만, 방사선을 이용함에 따라 많은 안전사항이 요구된다. 방사선투과검사 작업종사자는 검사부재의 이동유무에 따라 감마선조사기인 운반용기에 내장된 Iridium-192 방사선원을 사용시설 내 혹은 사용시설 외의 장소에서 이동시켜 작업을 수행 한다. 일반적인 사용시설은 두꺼운 콘크리트로 외부와 방사선을 전면 차단한 시설이지만, 검사부재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사유로 천장이 개방된 사용시설이 있다. 일반적인 사용시설은 외부가 모두 차단되어 이론적인 선량 평가 방법을 통하여 건설하여도 무방하지만, 천장이 개방된 경우 스카이샤인효과로 인하여 단순 이론적인 계산 방법으로 방사선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해당 시설의 방사선 안전성을 이온챔버형 방사선측정기와 누적선량계형인 OSLD를 통하여 평가하고, 실제 평가 환경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코드인 플루카를 이용하여 모델링 및 평가를 하였다. 해당 시설에서 조사방향에 따라 시설 경계의 방사선량은 규제기관에서 정하는 기준을 만족하기 어려웠고, 추가의 방법을 통하여 방사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Iridium-192 선원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실제 측정값과 유효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diography-Testing that verify the quality of welding structures without destruction are overwhelmingly used in industries, but many safety precautions are required as radiation is used. The workers for Radiography-Testing perform the inspection by moving the Iridium-192 radiation source embedded in the transport container of the gamma-ray irradiator within or outside the facility. The general facility is completely blocked about radiation from the outside with thick concrete, but if it is difficult for worker to handle object of inspection, facilities ceiling can be opened. A general facility may be constructed using a theoretical dose evaluation method because all exterior facilities are blocked, but if the ceiling is open, it is not appropriate to evaluate radiation safety with a simple theoretical calculation method due to the skyshine effec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adiation safety of the facility was evaluated in the actual field through an ion chamber survey-meter and an accumulated dose-meter called as OSLD, and the actual evaluation environment was modeled and evaluated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code as FLUKA.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rradiation, the radiation dose at the facility boundary was difficult to meet the standards set by the regulatory authority, and radiation safety could be secured through additional method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e Iridium-192 source were valid evaluation with the actual measured results.

      • KCI등재후보

        전ㆍ의경의 방사선 검사를 통한 근골격계 질환 현황 조사

        조재환(Jaehwan Cho),강맹진(Maengjin Kang),석종민(Jongmin Seok),전성준(Sungjoon Jeun),임윤식(Younshik Lim),정재교(Jaekyo Jeong),김현주(Hyeonju Kim),주명식(Myeongshik Ju),동경래(KyungRae Dong),박철수(Cheolsoo Park),이진(Jin Lee),이해각(H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6

        본 연구는 전ㆍ의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의 성격을 갖는다. 우선 전ㆍ의경과 경찰관을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 중 단순 X-선검사, CT 검사,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환별 분류에 있어서는 신체부위별로 일반 질환과 근 골격계 질환으로 분류하였다. 근 골격계 질환은 다시 검사 부위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경찰관과 전 의경의 정량적 비교에 있어서는 단순 X-선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술, 자기공명영상검사의 부위별 평균 인원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 의경은 단순 X선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세 검사 모두 Lower extremity 검사가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Lower extremity 검사 중에서 특히 Knee 검사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s basic data for the is systematic and efficient facility inventory of policeman and the riot police, conscripted policeman. First,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patient implementing the simple x-ray, CT, and MRI examination to the policeman and the riot police, conscripted policeman within the radiologic examination. As to the classification by disease, it classified into the partial body as the common disease and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 As to the fixed quantity comparison of the policeman and the riot police, conscripted policeman the basic X-ray, CT, MRI examination by part average personnel was compared. As to the research result the riot police, conscripted policeman, the Lower extremity examination occupies the simple X-ray, CT, and MRI examination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art altogether much and particularly, the Knee examination ratio occupies much among the Lower extremity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