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 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