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가구 유형 변화와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오지연(Ji Yeon Oh),최옥금(Ok Geum Choi)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노인 가구의 유형 변화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를 활용하여, 1차(2005년)부터 3차(2009년)에 걸친 노인의 가구유형 변화를 살펴보았다. 노인 가구유형의 이동확률을 살펴본 결과 단독가구의 경우 다른 가구유형으로 이동할 확률이 가장 낮았고, 기타가구의 경우 가구유형에서 이동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며 연령대가 높고, 질환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상태의 노인들이 단독가구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단독가구에 속한 노인의 소득보장정책 뿐 아니라 이들의 수발을 도울 수 있는 노인서비스의 확대 및 심리·사회적 서비스가 요구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부가구 역시 단독가구로의 변화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사회서비스의 취약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 이들 가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정책의 확대가 요구되며, 돌봄 손자녀가 있는 경우 성인가구원 동거 가구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 자녀의 필요에 의한 노인들과의 동거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타가구원의 경우 대부분 조손가구일 것으로 추정되며,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기타가구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조손가구의 경제적 상황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living arrangements for elderly in Korea. Using the 1~3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We analysed a transition of elder`s living arrangements, and factors which is affecting to living arrangements. In order to analyze it, we classified type of elderly household into four alternatives: 1) living alone, 2) living with spouse only, 3) living with grown-up children, 4) living with 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living alone least changed their arrangement. On the contrary, living with others changed their arrangement frequently. Furthermore, living alone has very vulnerable characters, they need not only income security, but also social service. And living with grown-up children has grandson who is needed elder`s care, therefore we can suggest that children`s need is affecting living arrangements of elderly. Lastly, living with others is mostly living with grandson, and their economic situation is insecure. Therefore it is needed to expand a income security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