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지다원주의 시대의 한국 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 회복을 위한 진단과 과제

        손의성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2 No.-

        This paper examines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in modern society where welfare state crisis and welfare pluralism are highlighted, and suggests developmental tasks through diagnosis of problem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is to perform roles as a holistic restoration,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recovery of the life-community. Second, the main problems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are the prejudice of social welfare in the point view of the salvation, the church, and the missionary, the weakness of the church’s union, the deficiency of the practical system of Christian social welfare, excessive church leader-centered ministry system, and lack of distinctiveness on Christian social welfare. Third, the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are to recognize social welfare as another evangelistic ministry, to establish functional churches, to organize a christian social welfare associ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and a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to balance the church-centered ministry and church member-centered ministry, and to practice christian social welfare based on quality of service. 기독교는 사회복지 세속화 과정 속에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수립 하지 못하고 복지사회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복지국가위기론과 복지다원주의가 대두된 현대사회 속에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 제시 및 문제점 진단을 통해 기독교사회복지의 발전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은 전인적 회복, 하나님 나라 확장, 생명공동체 회복 등이었다. 둘째,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의 주요 문제점으로 사회복지 관련 구원관, 교회관 및 선교관의 문제, 교회연합의 취약성,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체계 미비, 사회문 제에 대한 교회 관심 부족, 과도한 교회 리더 중심의 사역체계, 기독교사회 복지의 차별성 부족 등이었다. 셋째,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의 발전 과제로는 기독교사회복지를 복음 사역과 한몸으로 인식하는 것, 기능적 교회관 정립, 기독교사회복지 연합체 조직, 기독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 체계 구축, 기 독교사회복지 전문인력 양성, 교회주도형 사역과 교인주도형 사역의 균형적 통합, 서비스의 질에 기반한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등이 제안되었다.

      • 신약성경에 나타난 기독교사회복지의 고찰

        최광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1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7 No.-

        This research is consider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n the view of the New Testament. The core of the New Testament is the Kingdom of God. Jesus has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So I considered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which is seen in the Kingdom of God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e New Testament. We know that when the Kingdom of Heaven comes, true recovery of man is achieved. That means the true social welfare can be done when the Kingdom of god comes. That's why the goal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s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Secondlly. love for the neighbor can be motivation of the practice of the Christian social welfere. We can love our neighbor when we love our God first. Last, the philosophy of diaconia is the basis of 'service and voluntary'. So the rol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worker can be practicing the diaconia.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를 신약 성경 속에서 고찰하였다. 신약성경속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하나님 나라이다.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셨다. 따라서 먼저 신약성경의 핵심 주제라 할 수 있는 하나님 나라에서 나타난 기독교사회복지를 고찰하였다.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 온전한 치유와 회복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진정한 복지는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사회복지의 목표는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게 하는 한다. 두 번째로 신약성경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웃사랑의 실천은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 동기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이웃사랑은 하나님 사랑이 전제된 이웃사랑이다. 하나님의 사랑이 먼저 전제된 이웃사랑이 바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 동기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아코니아 사상은 기독교사회복지에서 다루는 중요한 핵심 개념인 ‘섬김, 봉사’의 정신의 근거가 된다. 따라서 기독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바로 디아코니아를 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사회적 약자를 회복하는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 연구

        남희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s a means to help the socially vulnerable population. The principle of the welfare system prescribed in the Bible states that no men who are created in the form of God should be oppressed or neglected. In other words, all men should be treated equally whether they are strong, weak, rich or poor, because we all have a natural right to freedom, equali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Therefore, it preaches that Christians should support those who suffer. The word “diakonia” is a Christian theological term that means service to people who are poor and suffer following the words of Jesus Christ. In the long history of Christianity, Diakonia has been found in spreading the gospel and helping people in need. Although the traditional idea of missiology criticizes social service as it betrays the church’s main task and dismisses it as a byproduct of missionary activity, it is the church’s mission to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save individual souls in the light of its holistic mission.As a consequence, a minister must have the correct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overcome church individualism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in Christian Social Welfare activity.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를 회복하는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하여 규명하였다. 성경에 나타난 복지사상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은 어느 누구도 억압과 소외를 받지 않아야 한다. 즉 모든 인간은 그 가치에 있어서 평등과 자유,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음으로 약자나 강자, 가난한 자나 부유한 자 모두가 평등, 대우를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고난당하는 자와 함께하는 것이 기독교인들의 마땅한 도리이다. 기독교사회복지의 신학적인 봉사의 의미는 예수의 교훈을 따라 가난하며 고난당하는 자들을 위해 봉사하고 섬기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디아코니아는 오랜 기독교 역사 속에서 복음의 핵심인 구원과 그리스도의 교훈에 따라 선한 구제사업을 하였다. 선교신학적 사회봉사에 관하여 전통적 선교관은 사회봉사를 격하시키며 교회의 본문을 저버리고 전도의 부수적인 결과로 치부해 버리고 있지만, 통전적 선교의 개념으로 재조명하여 보면, 선교는 개인 영혼구원 뿐 아니라 사회봉사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교회의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사회복지 활동에 개선방안에 있어 목회지의 의식수준과 개교회주의 인식전환을 위한 목회자의 올바른 신학적 이해와 개교회주의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역사적 이해

        양용희 ( Yang Yong Hee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1 神學과 宣敎 Vol.61 No.-

        역사적으로 기독교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현대적 의미의 사회복지가 일찍이 발달한 영국과 미국에서 기독교는 사회복지제도와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 역시 구한말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유입된 이후 기독교는 사회복지제도와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많은 선교사들과 교회들의 사회복지기관 설립과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은 기독교의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을 설명해주고 있다. 그동안 한국교회나 기독교 관점에서 기독교가 사회복지에 영향을 미쳤음을 주장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 대해 일부학자들은 선교사나 한국교회가 본질적 차원에서 사회복지활동을 실시하기 보다는 선교의 수단으로 심지어는 제국주의 세력의 앞잡이의 역할차원에서 이루어졌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학자들의 역사해석에 따라서는 기독교가 사회복지 제도와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에 대해서 다른 의견이 있다. 따라서 한국기독교가 사회복지제도의 도입과 활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미쳤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을 단순하게 평면적으로 나열하기 보다는 시대적 정치ㆍ경제적 상황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에 따른 실증주의 역사관에 근거한 작업이 요구된다. Historically, Christianity has had a great impact on social welfare. In England and America, where social welfare in the modern sense was developed early, Christianity influenced social welfare systems and activities. In Korea, too, after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to Korean society at late Choson Dynasty and Korean War, Ch ristianity h ad a great influence on social welfare systems and activities.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many missionaries and churches explains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on social welfare.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rguing that Christianity had an impact on social welfa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church or Christianity. However, some scholars criticize these studies that missionaries and Korean churches did not carry out social welfare activities at an essential level, but rather as a means of mission or even as a minion of imperialism. According to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scholars,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claim that Christianity had a direct influence on social welfare systems and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objectively assert that Korean Christianity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introduction and activities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rather than simply listing historical facts, positivism based on scientific data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times and historical facts based on a h istorical v iew i s r equired.

      • KCI등재

        오방 최흥종 목사의 토착적 사회복지선교에 관한 연구

        김안식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19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이다. 이러한 때 영적으로 깨어있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교회는 그동안 사회구원보다 개인구원성격을 강조했었다. 수직적인 하나님 사랑에 집착해서 수평적인 이웃사랑에 대한 실천이 부족했다. 선교 중심의 복음화 추구는 인간화에 대한 결여를 가져왔으며, 인적․물적 자원이 교회성장에 집중 투입되었다. 목회자와 성도들의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해 대부분의 교회들이 양적인 성장에 치중을 하고 있어 사회봉사나 구제를 위해서는 낮은 비율의 예산을 지출하고 있으므로 사회의 공신력도 잃어가고 있다. 이것은 교회의 사회봉사활동도 시설을 중심으로 한 시혜적 차원의 봉사활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그 원인으로 들 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전파된 초기 한국의 상황에서도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선교사들의 선교방침과도 일맥상통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독교가 전파된 이래로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정치는 물론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급변하고 있는 데, 교회는 사회의 변화에 둔감하다. 당면해 있는 현실은 외면한 채 가까이 있는 이민족의 아픔을 함께 나누어야 할 곳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개방되어야 할 곳이 오히려 더 문을 닫아 두는 것이 우리 교계의 현실이다. 호남지방에서 최흥종은 제도와 교리에 얽매어 자신만을 위한 교회가 아닌 이웃과 사회의 교회가 되도록 새로운 영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기독교의 신앙이 외형적인 거대주의에 휩싸여 그 실체마저도 위험해져 가는 오늘날의 21세기에 오방 최흥종 목사의 삶은 우리 교회와 신앙인들의 삶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좋은 각성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기독교의 사회에서의 역할을 재조명해 보고, 목회자의 삶을 다시 정립하여 새로운 시대에 도태되는 기독교, 정체되어 오히려 발전이 후퇴되는 기독교가 아닌 이 시대에 맞는 발전하는 기독교상을 세우는 데 재정립 하게 되기를 소망한다. 오방 최흥종 목사의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따르려는 삶은 오늘을 사는 우리 기독인들에게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이에 그의 삶을 살펴보고 한국 기독교의 토착적 사회복지선교와 봉사활동을 통하여 교회의 사회에서 역할을 재조명하고 목회자의 삶을 다시 정립하여 새로운 시대에 도태되고 정채 되지 않는 선교와 기독교 사상을 세우는 한국에 전래된 기독교 사회선교를 오방 최흥종 목사를 중심으로 토착적 사회복지선교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Korea currently has a hard time socially and economically. At this time, spiritual awakening is more needed than anything else. The Church has been emphasizing individual salvation rather than social salvation. Obsessed with vertical love from God, The Churchhas not paid much attention to horizontal love of neighbors. Pursuit of evangelization focusing on mission has led to lack of humanization, and human/material resourc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Church. Due to lack of recognition of social service in pastors and believers, the church is oriented toward quantitative growth so that they spend little budget, which leads to loss of public trust in our society.One of the reasons for this may be because social services of church do not go beyond charity level of service centered on institutes. This phenomenon is not new for these days. It is parallel with the mission policy of most missionaries except only a few in the early times when Christianitywas introduced in Korea. Korea has gone through various changes since Christianity was spread out. While Korea is rapidly changing socially and economically as well as politically, the Church is very insensitive to the changes of society. It is the reality of our Church that disregarding reality, our Church closes the door more tightly where it should open more widely than anywhere else to share sufferings and pains with other peoples. Heung-Jong Choi in Honam region presented a new spirituality for the Church in order to be the Church for neighbors and society, not for its own Church bounded to institutions and creeds. In current 21st century in which Christian faith, even its substantiality is threatened by possession of massive externalism, the life of pastor Heung-Jong Choi will be a good stimulant to make the Church and believers look back on their life of faith. It is wished that this study can reconfigure the role of Korean Christianity in society and reestablish pastor’s life so that it helps Korean Christianity develop and grow toward the direction appropriate for this age instead of being stagnated and even retrogressing Church. The life of pastor O-Bang Heung-Jong Choi to follow Jesus’life has great implication for Christians living in these days. Thus,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his life and examineindigenous social welfare mission focusing on pastor O-Bang Heung-Jong Choi. This study adopted literature review as study method. Based on biblical and theological theories, books on social service and indigenization of Korean Christianity, books published by Gwangju YMCA in memory of pastor O-bang Heung-Jong Choi, Honam Church History Studies, other articles, papers, reports, single volume books, bulletins, and so on, this study conducted extensive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기독교복지와 사회복지의 비교에 관한 연구

        박창우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사회복지란 인간의 사회적 욕구 및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려는 조직적․체계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천되어왔다. 하지만 행복해지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그 토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가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하여 기존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한계를 지적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독교복지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신학관련 교수, 그리스도인 사회복지학 교수,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실천경험이 있는 목회자 등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독교적 관점에서 기존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왜곡된 욕구 추구, 인간의 힘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 하나님 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실패, 제한적이고 선택적인 복지, 영적 욕구에 대한 간과 및 잘못된 영성 추구를 지적하였다. 또한 기존의 사회복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독교복지의 특징으로 전문가들은 인간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원조, 하나님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해야 함, 하나님 형상의 회복, 하나님 나라의 확장, 기독교 영성 추구를 지적하였다. 향후 기독교복지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복지 실천 시 기독교의 기본 전제 적용, 신학과 사회복지학의 학제 간 연구, 기독교적 가치와 사회복지 전문성을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 기독교복지 교육 및 실천현장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Social welfare can be defined as an organized, systematic endeavor to increase human happiness by resolving man’s social desire and problems. Historically, social welfare has been practiced through diverse methods. Despite man’s incessant efforts to become happy, however, his life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So what is the reason that social welfare has failed to make man happy after so many efforts directed so far in this regard? Based on a Christian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indicat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and then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welfare that can solve them. To the end,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method on the subject of theology-based professors, Christian professors of social welfare, Christian social workers, pastors experienced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etc. as well as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a Christian viewpoint, specialis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indicat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such as distorted pursuit of desire, tendency to solve matters by human capacity alone, failure to recover the God’s image, limited and elective welfare, neglect of spiritual desire, and misguided pursuit of spirituality. They also pointed out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welfar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assistance in pursuing man’s true happiness, accepting God and seeking His help, recovery of image of God, expansion of Kingdom of God, and pursuit of Christian spirituality. For development of Christian welfare in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d applying the Christian prerequisite in executing Christian welfare,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theology and social welfare, providing Christian welfare education and practice fields that can unite Christian values and expertise in social welfare harmoniously.

      • KCI등재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의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박창우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는 사명감 제고, 직무만족도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본인 의 업무에 대한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직업과 신앙은 분리되어야 하며, 사회 복지실천에 있어 종교 적용을 금기시하는 경향 때문에 실천현장의 그리스도인 사회복 지사들은 기독교사회복지를 실천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결 국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 본인의 삶은 물론 궁극적으로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의 질 저 하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의 기독교사회복지 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느낌, 태도, 신념, 인식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고 찰과 면접을 통해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Q표본을 선정한 후,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 24명을 대상으로 Q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들의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신앙적 복지실천형은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하여 세계와 인간을 이해하고, 이에 기반하여 기독교사회복지 실천을 주장하는 유형이다. 둘째, 이원론적 복지추구형은 신앙과 직업을 이원론적으로 바라보고,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유형이다. 셋째, 현실적 지원필요형은 기독교사회복지 실천을 고민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워하고, 현실적인 도움이 필요한 유형이다. 넷째, 독립적 선별복지형은 그리스도인을 통해 독립된 재원을 마련하고, 재 원을 제공한 사람들의 요구에 따른 선별적 복지를 실천하는 유형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그리스도인 사 회복지사들이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비기독교적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 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기독교 세계관을 삶의 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기독교사회복지를 실천하는데 있어 그리스도인 사회복지사에 게 현실적인 도움을 주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Christian social workers need to have a sense of mission or positive consciousness about their work to improve a sense of missi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However, because of the tendency which is faith and profession must be separated and the taboo the application of relig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Christian social workers in practice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and practicing Christian social welfare. This study explored the subjective recognition typ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y Christian social work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that is useful in identifying the feelings, attitudes, beliefs, perceptions of the people. Specifically, after selecting Q sample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Q survey was conducted on 24 Christian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ere four subjective recognition Type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y Christian Social Workers. First, the religious welfare practices type is type that understands the world and human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and insists on the practic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ased on it. Second, the dualistic welfare pursuits type is type that considers faith and occupation dualistic way and does not understand Christian social welfare correctly. Third, realistic support needs type, is a type that strives to practice Christian social welfare, but is difficult to apply in reality and needs practical help. Fourth, independent selective welfare type, is a type that is provided independent funds by Christians and practices selective welfare according to the needs of Christi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at: First, efforts are needed to change the non-Christian perception that Christian social workers have about Christian social welfare. Second,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eded to apply the Christian worldview to all areas of lif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that helps Christian social workers practice Christian social welfare.

      •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의 활동과 과제

        전광현(Kwang-Hyeon Ju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7 종교문화학보 Vol.4 No.-

        기독교는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 속에서 그 존재의미를 확인하며 활동을 계속하여 왔던 것이다. 물론 여러 가지 정황과 환경 속에서 변질과 변화의 반복의 역사 속에 있지만 기독교의 신앙의 본질 즉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은 동일 선상에 있다는 개념 사상은 기독교가 이 땅에 존재하는 날 까지는 버릴 수 없는 사실인 것이다. 한편 이러한 진리 속에 있는 이것이 우리나라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지도자의 생각과 활동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우리나라 기독교의 기독교사회복지 본질은 일반적인 성격과 유사한 기반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독특한 바탕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자원봉사철학이라는 바탕과 함께 기독교의 신앙이라는 독특성이 그 본질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독교사회복지의 본질적인 내용은 성서 속에서 지지를 받는 것으로 구약과 신약 속에서 그 명확한 활동과 사상이 드러나고 있다. 기독교사회복지활동은 그 형태와 의의에 있어 일반적인 사회봉사와는 공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편으론 구별되는 부분이 있다. 한국 기독교의 활동과 그 과제를 살펴보면 한국교회의 대 사회봉사의 역할이 초기에 긍정적인 평가와 아울러 선도적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기와 후기로 이전되면서 한국 사회의 여러 정황과 맞물려 그 실천적인 평가가 후퇴하게 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그 시대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 기독교의 활동에 대한 역사적인 점검과 아울러 중요한 몇 가지 조사들을 통해 한국기독교의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밀도 있는 추적을 하여보았는데, 그 결과 여러 가지 개선점과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의 고찰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의 기독교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독교사회복지활동의 저해요인으로 지적받는 개교회주의, 개인구원주의, 수직적 신앙주의의 점검을 지적했고, 또 기독교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했다. 또 기독교사회복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전략들과 내용들에 대한 점검 또한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시적인 면에서의 접근을 위한 점검을 보다 밀도있게 수행해야 할 것과 교회의 사회화 필요성을 말했으며, 교회들 간의 연합과 협동의 필요도 제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바른 신앙에 입각한 기독교사회복지활동이 되도록 격려할 수 있는 크리스챤들의 정기모임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is verified through the command of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w”, and it has been practiced continuously. In the past, belief of Christianity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nd negatively. However, the fact that love of God and loving others are equally important in Christianity can never be dismiss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principle is implied in the notion and activity of church leaders in our country’s Christian social work. In other words, social work and Christian social work based on the principle of Christianity sha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imilar found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Christian social work has its own uniquenes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social work is supported by the Bible, and the movements and notion of that principal is appeared in the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The activity of Christian social work has similar quality in the form and meaning of general social work, but it has distinctiveness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volunteering by Korean Christian’s activity was positively evaluated, and it was most influential movement in the beginning. However, its active movement was weakened due to the circumstances of Korean society during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This degeneration can be caused by that periodical situation. The historical analysis and other evaluations of Korean Christianity’s activity are performed. Korean church’s Christian social work is pursued based on these assessments. Several improvements and suggestions are discovered from this. Based on the examination, several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active involvement of Christian church of Christian social work. It is been known that the hindrances of its active participation are individualism, self-salvation, and vertical belief. First, these hindrances should be evaluat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pproach for the involvement in the Christian social work. The review of its specific approach should be conducted more precisely, and church’s socialization is needed. The assoc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hurches are also necessary. Lastly, regular meetings and education to support Christian social work with right belief are suggested.

      • 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과 한국교회의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

        최광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본 논문은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일반사회복지와 기독교사회복지가 그 차이점을 발견하면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기독교사회복지가 실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기독교가 사회복지활동에 참여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사회복지가 기독교 신앙과 다른 입장에 놓여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가치 충돌이 기독교사회복지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가 무엇인지를 밝혀내기 위해서 포커스그룹 인터뷰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사상(이념), 가치, 주체, 대상, 동기, 목표, 영역(범위), 방법, 재원 등 9가지 차원에서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상(이념)’ 차원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을 소중히 여기는 하나님 중심의 사상인 ‘신본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고, ‘가치’ 차원에서 ‘진리가 주는 자유’,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평등’,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정의’를 그 가치로 여겨 결국 성경이 제시하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고 밝혀졌다. ‘주체’ 차원에서 교회, 기독교기관, 기독교관련단체, 기독교공동체, 그리고 기독교신자개인이 주체가 되었다. ‘동기’ 차원에서 ‘이웃사랑’이 실천의 동기가 되었고, ‘목표’ 차원에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목표가 된다는 것이 그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범위)’ 차원에서 영적 차원도 포함시키는 영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법’ 차원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총체적 회개’가 중요한 방법으로 등장하고, 사회복지학과 인접학문의 이론과 실천 기술에 대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적용이란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원’ 차원에서는 일반사회복지의 재원 모두와 특별히 교회 지원금 및 성도의 후원금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에 입각하여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to hav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 found between the general social welfare and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ried to make sur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I analyzed whether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have been practised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Because many churches of christianity participate in social welfare works nowadays, and the position of general social welfare is different from i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Furthermore the Conflict of values can happen in field of christian social welfare. My purpose to find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s in here. In this research, I selected a method of interview with focus group to find what is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As a result, the fact that 9 categories are different have been founded. Those are thought(or Idea), value, agent, object, motive, scope(or sphere), method, financial resources. In a category of thought, It have been founded that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ake the position of God-centered which regard human preciously as a image of God. And it have been founded that in a category of value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ursue a freedom through the truth, equality as a image of God, and consider a righteousness of kingdom of God as a value of itself. Ultimately, this values agree to it of the Bible. In a category of agent, churches,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groups connected with christianity, christian community, and christian individuals are main leaders. In a category of motive, to love neighbor is the practical inducement, and in a category of object, the kingdom of God is a goal. In a category of scope, spiritual parts was included partially. In a category of method, overall repentance to change lifestyle made an appearance as a important way, and turned out to select a way to apply the theory and practice skill of related sciences on a basis of a christian view of world. In a category offinancial resources, a whole fund of the general social welfare and both donation of churches and christian individuals is included in. Finally, In analysis of a practice rea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t turned out that christian social welfare have been worked on a basis of the identity of it.

      • KCI등재

        이슬람교의 복지사상 및 제도가 기독교사회복지에 갖는 함의

        정지웅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슬람교의 복지사상과 제도가 기독교사회복지와 어떠한 차이점 과 유사점이 있는지, 또 그러한 사항들은 기독교사회복지에 어떠한 함의가 있는지 고 찰해 보는 것이다. 이슬람사회복지와 기독교사회복지의 유사점은 사회정의와 평등을 강조하고, 부(富)와 경제행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이슬 람사회복지는 자선을 제도화된 의무로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기독교사회복지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슬람사회복지의 강제적인 집행은 이슬람 사회가 정교일치의 사회이기 때문과 관련이 있다. 이는 대부분의 기독교국가가 정교분리가 이루어지는 것과 차이 가 있다. 다음으로 이슬람사회복지는 자카트(zakāt)라고 하는 공공부조제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사회복지는 다양한 사회서비스, 옹호활동 등을 포함하고 있 다. 이슬람사회복지가 기독교사회복지에 갖는 함의로는, 첫째, 이슬람사회복지를 통해, 계몽주의와 합리주의라는 서구 중심 세계관에 의해 경도된 기독교사회복지에 새로운 성찰과 반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슬람사회복지가 여성억압 등의 문제에 소 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의 현대 기독교사회복지가 후기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사회서비스의 확충 등이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에, 이슬람교 사회복지가 주는 함의는 거시적이고 이념적인 측면 에서는 클지 모르지만, 미시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함의를 도출하기가 매우 어 려운 측면 또한 존재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Islamic Christian thought and social welfare and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o study such matters have any implications for Christian Social Welfare. The similarities between Islamic and Christian social welfare emphasizes social justice, equality, wealth and they perceive economic activities ac positive things. In contrast, Islaminc social welfare is different from Christian social welfare in terms of Islamic social welfare provision as a duty, Islamic social welfare is a institutionalized charity and such coercive enforcement is related that the fact that the Muslim communities are theocracy communities. This is different than most Christian countries made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he other fiffernce between Islamic Christian social welfare is that the Muslim community is made up of a central public welfare assistance scheme called Zakāt however Christian social welfare has a variety of social services, and advocacy. The implications of Islamic social welfare for Chrstian social welfare are like these, first, Islam social welfare through will be able to give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to Christian welfare which havs been biased toward the western world view such as the Enlightenment and rationalism. Second, we have to recognize and respond critically that the Islamic social welfare havs been dealt with passively on the issue such as women's oppression. and while South Korea's modern Christian social work enters the post-industrial society, and is evolved to social services state, it is har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Islamic social welfare for the micro and professional social work practi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