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악독주 상령산의 농음 비교연구– 김계선, 이석재의 음원을 중심으로 -

        고수영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Vibrato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t is different from contemporary performance practices of Jeongak. This is particularly notable in the solo Sangryeongsan (the first song in the Yeongsanhoesang suite) by Kim Gye-seon (daegeum) and Lee Seok-jae (piri), both of whom were associated with the Lee Wang-jik Aakbu, the predecessor to the National Gugak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tterns of the vibratos they used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Kim Gye-seon and Lee Seok-ja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Kim and Lee and later performers, each vibrato was analyzed using a voice analysis program. Later musicians were selected among performers in the genealogy from the Lee Wang-jik Aakbu to the National Gugak Cen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subsequent generations. It was found that follow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vibrations of Kim Gye-seon and Lee Seok-jae's solo Sangryeongsan: Namely, the range of vibrato that is used in taeju, hwangjong and cheonghwangjong, which appears in Kim's Sangryeongsan, is more than twice as wide as the range of current performer’s vibratos, and the number of vibrations per second is also nearly double. Whereas. the range of vibrato that is used in taeju, hwangjong and cheonghwangjong in Lee’s solo piri Sangryeongsan is more than twice as wide as the current performer’s vibratos bu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ibrations per second. 농음은 전통음악 연주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김새이다.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아악부 아악수를 지낸 김계선(대금)과 이석재(피리)의 독주 상령산 음원에 나타나는 농음은 현재의 보편적인 정악 농음법과 매우 다르다. 이에 이들이 구사한 농음과 후대 연주자들의 농음 양상을 서로 비교하여, 김계선과 이석재의 농음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김계선, 이석재의 농음과 후대 연주자들의 농음 간에 상이함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음을 구체화 하였다. 비교대상으로 삼은 후대 연주는 이왕직아악부로부터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지는 계보 내의 연주자 음원으로, 악기별로 세대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김계선과 이석재의 독주 상령산 농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김계선의 상령산에 나타나는 태주, 황종, 청황종 농음의 음고 변화 폭은 현재의 보편적인 정악 농음의 음고 변화 폭보다 두 배 이상 넓고, 1초당 농음 횟수 또한 두 배 가까이 많다. 이석재의 피리독주 상령산에 나타나는 태주, 임종, 황종, 배임종 농음의 음고 변화 폭은 현재의 보편적인 정악 농음의 음고 변화 폭보다 두 배 이상 넓고, 1초당 농음 횟수는 현재와 큰 차이가 없다.

      • KCI등재

        영산회상의 음악적 가치

        서한범(Suh Han-bu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1 No.-

        본고에서는 연주곡목의 증대와 함께 연주형태가 다양해 진 영산회상의 음악적 특징과 그 가치에 주목하여 논의해 보았다. 전문연주인들에겐 도전해야 하는 대곡이며, 연구 분야에서는 음악이론이나 역사, 문화전반을 연구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의 제공, 그리고 개인의 수양과 사회의 교화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요점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영산회상은 연주형태의 다양화와 레퍼터리 확충에 결정적 기여를 하고 있는 음악이다. 현재 세 갈래의 영산회상(도드리, 천년만세 포함)에 약 30여곡으로 확대되었고 합주, 독주, 병주 등 연주 형태의 다양화를 이루고 있다 둘째, 독주용의 변주곡을 창작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평조회상〉 ‘상영산’의 독주는 원가락을 재구성해서 변주시킨 곡이다. 다른 악곡에서도 그 가능성이 충분하다. 셋째, 한국음악의 이론적 연구를 위한 자료의 보고(寶庫)가 되고 있다. 음조직, 장단구조, 시김새, 형식, 기타 음악적 제 요소들의 특징 파악, 이외에도 기보체계나 방법, 변천과정, 풍류문화 등 우리음악의 실체나 역사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전문 연주가들이 반드시 넘어야 할 큰 고개라는 점이다. 외양으로는 쉽게 보이지만, 기교보다는 성정에 근본하여 사람의 마음을 강력하게 조절, 움직이는 힘이 있는 곡이다. 다섯째, 영산회상은 개인의 수양음악이며 사회를 교화시키는 음악으로 애호를 받아 온 음악이란 점이다. Yongsanhoisang stands as an archetypal examp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garding musical, technical, and historic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re three significant perspectives that Yongsanhoisang has as an intangible music heritage. First, Yongsanhoisang functions as an abundant resource of Korean music repertories. It was originally composed as one music piece that was called Sangryungsan at that time. Since then, more pieces were gradually added to Sangryungsan, and its name was changed to Yongsanhoisang, one of the well-known music collections. There are about 30 pieces in Yongsanhoisang that has created variations. Yongsanhoisang is performed as a solo, duo, or other forms of ensemble. Second, Yongsanhoisang has great possibility to provide more solo repertories by rearranging. For example, Sangryungsan in Pyungjohuisangk is one of the famous solo pieces which include improvised musical phrases, reinterpreted melodic lines, several bars announced by liberating rhythm pattern, and vivid tunes. Third, Yongsanhoisang has provided researchers with theoretical,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views to understand the big picture of the time when it is composed and commonly played. As a remarkable characteristic piece, Yongsanhoisang serves as a theoretical resourc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research. Yongsanhoisang provides researchers with fundamental answers about forms, Sigimsae, rhythm pattern, irregular beat points, and other musical aspects. Fourth, Yongsanhoisang is a comprehensive and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 which is respectably performed by strictly trained musicians. Although Yongsanhoisang is performed by strictly trained musicians, it is appeared to be difficult to play. Musicians are required to integrate all channels of understanding of this piece when they perform Yongsanhoisang. It demands musicians to perform with dignity and great quality of expression. The ability to interpret various aspects, such as technical, music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should come together. Lastly, Yongsanhoisang is appeared to have unique abilities to positively impact on individuals’ state of mind. Yongsanhoisang is phenomenal in its ability to influence its listeners. By simply listening to Yongsanhoisang individuals can experience increased appreciation of music, improved knowledge about Korean music, understand the beauty of Korean music, promote relaxatio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