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의 효과성 분석 : 학교 및 학생 성별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연(Lee, Jeong Youn),이진권(Lee, Jin Kw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3

        이 연구는 2012년 2학기부터 전국의 중학교에 동시에 시행된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이 학생들의 체력 증진 및 학교폭력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학교성별(남학교, 여학교, 남녀공학)과 학생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정책효과가 존재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EDSS 자료 등을 통해 2011-2018년의 중학교 2,394개교를 대상으로 간여시계열모형과 임의효과모형, 부가가치모형을 적용해 학교스포츠클럽 정책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시행에 따른 여학생들의 유의한 체력 증진 효과가 발견되었으나 정책 시행 이후에는 남학교 남학생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오히려 체력향상도의 감소 추세가 발견되었다. 둘째, 학교 성별은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으로 인한 체력 향상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남녀공학 내에서는 정책 시행 이후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향상도의 추세가 더 낮았다. 셋째, 학교폭력 심의건수에 대한 학교스포츠클럽의 정책효과는 학교 성별에 따라 상이한 추세 및 정책효과를 보였다. 남학교의 경우 정책 시행과 무관하게 특별한 추세나 변동이 발견되지 않은 반면, 남녀공학의 경우 정책 시행에 따른 일시적 증가와 이후 감소를, 여학교의 경우 정책 시행 전까지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넷째, 학교폭력 심의건수에 대한 학교스포츠클럽의 정책효과는 특히 여학교에서 다른 학교에 비해 두드러졌다. 남녀공학과 비교했을 때 여학교의 경우 정책 시행에 따른 즉시적 감소가 눈에 띄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와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하였고,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에의 제언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how the School Sports Club policy (SSC), which was implemented simultaneously in middle schools nationwide in Fall 2012, has been affecting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Exclusively, the research has focused on whether there has been a distinctive effect between school sex (male and female single-sex schools and co-educational schools) and the students’ gender. Using data provided by EduData Service System (EDSS) and other national resources, we have built a 8-year (2011-2018) time-series database of 2,394 middle schools. A mix of interrupted time-series model, fixed-effect model, and value-added model was used in the analysis. Our results have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although an immediate effect was found in the girls’ physical fitness, except for the students in male schools, rather a falling trend was found after the SSC treatment. Secondly, the schools’ sex did not have a correlation with the improvement in students’ physical fitness. However, in the co-educational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of the girls would have fallen greater that the of the boys. Next, the policy showed a different trend on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ases. In particular, in co-educational schools, after an immediate increase, there was a decreasing trend after; in female schools, it rather scaled upwards after the treatment. Lastly, the result implicated that the SSC policy’s effect on school violence protection was particularly higher in female schools. Their prompt cutback of school violence was noticeable compared to co-educational schools. Based on the outcomes, suggestions for policy amendments and follow-up research were pur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