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憲康王과 義明王后, 그리고 ‘野合’과 孝恭王 : 특히 신라말 ‘非眞骨王’의 등장과 관련하여

        김창겸(金昌謙)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은 신라 헌강왕과 그의 여인들, 그리고 효공왕의 즉위가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전하는 자료에서 확인되는 헌강왕의 여인으로는 의명왕후, 수원 권씨, 요(효공왕)를 낳은 생모 김씨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효공왕의 생모는 왕족도 진골귀족도 아니었고, 게다가 헌강왕과 야합으로 아들 요를 낳았으나 궁궐 밖에서 키워야만 하였다. 또 효공왕은 즉위 후 자신의 생모가 아니라 헌강왕의 정식 왕비인 의명왕후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다. 신라 골품제의 원리에서 진골이 아닌 생모가 낳은 효공왕도 진골이 아니었다. 효공왕이 즉위한 것은 골법의 특이성이라는 왕실 혈통, 즉 오로지 왕족이라는 신성성만을 내세워 비상조치로써 이루어진 왕위계승이었다. 이것은 신라 왕위계승에서 오직 왕의 아들이라는 혈통의 신성성만 강조되고, 골품제 규정은 기능을 상실하고 소멸되었음을 의미한다. 결국 헌강왕과 비진골 김씨녀의 야합으로 출생한 효공왕의 즉위는 신라왕위계승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던 요인 중의 하나인 골품제 규정을 소멸시키는 중요한 분기점이었으며, 이는 골품제의 바탕 위에 존립하였던 김씨 신라왕조의 종말이었다.

      • KCI등재

        신라 憲康王과 義明王后, 그리고 ‘野合’과 孝恭王-특히 신라말 ‘非眞骨王’의 등장과 관련하여-

        김창겸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은 신라 헌강왕과 그의 여인들, 그리고 효공왕의 즉위가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전하는 자료에서 확인되는 헌강왕의 여인으로는 의명왕후, 수원 권씨, 요(효공왕)를 낳은 생모 김씨 등이 있었다. 이 중에서 효공왕의 생모는 왕족도 진골귀족도 아니었고, 게다가 헌강왕과 야합으로 아들 요를 낳았으나 궁궐 밖에서 키워야만 하였다. 또 효공왕은 즉위 후 자신의 생모가 아니라 헌강왕의 정식 왕비인 의명왕후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다. 신라 골품제의 원리에서 진골이 아닌 생모가 낳은 효공왕도 진골이 아니었다. 효공왕이 즉위한 것은 골법의 특이성이라는 왕실 혈통, 즉 오로지 왕족이라는 신성성만을 내세워 비상조치로써 이루어진 왕위계승이었다. 이것은 신라 왕위계승에서 오직 왕의 아들이라는 혈통의 신성성만 강조되고, 골품제 규정은 기능을 상실하고 소멸되었음을 의미한다. 결국 헌강왕과 비진골 김씨녀의 야합으로 출생한 효공왕의 즉위는 신라 왕위계승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던 요인 중의 하나인 골품제 규정을 소멸시키는 중요한 분기점이었으며, 이는 골품제의 바탕 위에 존립하였던 김씨 신라왕조의 종말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