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史記』 寶臧王紀 史論에 보이는 ‘柳公權 小說’ 問題

        金貞培(Kim Jung-bae)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6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8년조 史論에는 중국의 '柳公權 小說'을 인용한 매우 중요한 기록이 있다. 그 내용은 高句麗軍과 靺鞨軍이 安市城을 구하기 위해 가는 도중에 그에 앞서 벌어진 駐?山 전투에서 고구려군과 말갈군대 15만 명이 40리에 뻗친 것을 보고 唐 太宗이 두려워하는 빛이 있었다는 사실을 담고 있다. 물론 이 기록은 『新唐書』 · 『舊唐書』나 『資治通鑑』에는 없는 내용이고 고구려의 對唐戰爭에서 唐 太宗의 당황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김부식이 언급한 '柳公權 小說'은 사실 柳公權(778~865)의 『小說』이 아니고 후대에 柳公權의 이름을 빌려 관련 자료를 출간한 것으로 중국 학계는 보고 있다. 柳公權은 晩唐시기의 대표적인 서예가라는 사실은 우리가 다 아는 일이며 따라서 이 책은 柳公權 본인의 작품이 아니다. 『삼국사기』 보장왕기 史論에서 김부식이 인용한 '柳公權 小說'의 기록 내용은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劉?이 지은 『隋唐嘉話』라는 사서에 똑같은 기록으로 제일 먼저 나타나고 있다. 김부식은 이 책을 보지 못하고 이 기록을 담고 있는 '柳公權 小說'을 참고하여 史論에 인용한 것이다. 劉?은 唐代 제일의 史家로 『史通』을 저술한 劉知幾의 아들이며 그의 『隋唐嘉話』는 『世說新語』類의 책과 유사한 체제를 갖고 있다. 또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安市城의 축성 연대를 알지 못하였으나 성벽에서 얻은 나무편의 자료를 통해 늦어도 A.D. 510년경에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ere is an important account in the historian's comments that quotes from the Liu Gongquan xiaoshuo柳公權小說 after the entry on the eighth year of King Pojang's 寶藏王 reign in the "Koguryo Annals" of the Samguk sagi 三國史記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complied by Kim Pusik in the twelfth century. It states that Tang Taizong 唐太宗 panicked when he saw troop formation of Kogury? 高句麗 and Malgal 靺鞨(Mohe) soldiers that stretched over 40 ri. This interesting account is nowhere to be found in such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as the Jiu Tangshu(Old History of the Tang), Xin Tangshu(New History of the Tang), or Zizhi tongjian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ment). Chinese historians consider the Liu Gongquan xiaoshuo, as quoted by Kim Pusik, not the work of Liu Gongquan (778-865) himself but of an unknown person who merely "borrowed" Liu’s name in the later period. Liu Gongquan was a renowned calligrapher of the late Tang period, and the Liu Gongquan xiaoshuo was not the work of Liu himself. The earliest record of this account regarding Tang Taizong is found in the Sui Tang jiahua 隋唐嘉話 (Elegant conversations of the Sui and Tang period) by Liu Su劉?. Kim Pusik apparently did not have access to this book and instead quoted from the Liu Gongquan xiaoshuo when he wrote the historian's comments in the Samguk sagi. Liu Su was son of Liu Zhiji 劉知幾 (661-721), the foremost historian of the Tang period who had authored the Shitong 史通(Generalities on history). The Sui Tang jiahua was organized in a similar way as the Shishuo xinyu 世說新語 (A new account of tales of the world). Until recently, the exact date of the construction of the Ansi Fortress 安市城 had been unknown, but wooden pieces obtained from the fortress walls now suggest the date of around 510 CE.

      • KCI등재

        儒州(始寧 · 文化)柳氏의 사례를 통해 본 高麗社會의 一斷面 : ‘嘉靖譜’를 참고로 하여

        朴龍雲(Park Yong-woon)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4

        고려시기 유주유씨 구성원들에 관하여, 『고려사』 열전과 세가 志 및 『고려사절요』 등의 기록과 각종 문집에 전하는 기사, 묘지명 등을 『문화유씨 가정보』의 내용과 비교 검토했다. 그리하여 이들의 신상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유주유씨 가문의 위상을 헤아려 봄으로써 고려사회의 한 단면을 살피고자 했다. 유주유씨는 고려시기 정치적 사회적 지배신분층의 다수가 그랬듯이, 선조가 태조의 후삼국 통일전쟁에 조력하여 官階를 받고 공신에 책봉된 것을 계기로 기틀을 마련하고, 그 얼마 뒤에 후손들이 上京 從仕하여 兩班家의 일원이 되었다. 하급양반에 머물던 유씨는 武臣亂 시기에 中始祖라고 할 柳公權이 재상에까지 올랐다. 이어서 그의 두 아들이 각각 재상과 추밀을 지내면서 가문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손자 柳璥이 무신정권 붕괴에 주도적 역할을 하며 정계의 핵심인물이 된 이후 유주유씨는 대를 이어 고위직자를 배출하고 여러 세족과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권문 · 세족의 하나로 자리잡는다. 여기서 참고한 가정보는 유공권의 장자와 차자의 서열이 뒤바뀌어 있는 점, 晋州 유씨와 뒤섞인 부분이 있는 점 등의 중대한 오류를 비롯해 자녀나 직위의 誤記 등도 눈에 띤다. 족보 자료의 이용에 철저한 비판과 검증이 필요함을 확인케 한다. In this work, we compared and cross-referenced entries in the Genealogy of Yuju Liu clan. Records from Treatises, Hereditary Houses, and Biographies of Koryosa, Korysa-jolyou and various literary collections, and tomb inscriptions wer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entries in Munhua Liu Genealogy of Jiajing Era. It was our intention to grasp the true nature of Yuju Liu clan, and at the same time, to seek our own interpretation for the aspect of Koryo society through our findings. Lius, like most other clans with powerful political and social status, established a foothold in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by when their ancestors helped Taejo(太祖) with the reunification of the Later Tri-Kingdoms(後三國). Soon afterwards, clan members landed positions in the royal court to join the governing class. They eventually upgraded themselves from the status of the entry-level gentry to the top level when Liu Gongkwon(柳公權), who can be considered the de-facto progenitor of this clan, was appointed to the post of prime minister. Two of his sons, Liu Taek(柳澤) and Liu Eonchim(柳彦琛), also served the royal court as a prime minister and a Military Affairs Commissioner(樞密), raising the fame of the clan even higher. After his grandson Liu Kyoung(柳璥) played the key role in the expulsion of the military regime, the Liu clan established themselves as one of the powerful families, establishing marital connections with a multitude of powerful families. It was noted that Jiajing Era Genealogy contained serious mistakes such as the order of siblings was reversed, some of Jinju Lius were listed as members as well as minor ones including offspring recording and position titles. These erroneous entries reinforces the general precaution that one should be extra careful when using the genealogy as a historical material.

      • KCI등재

        『어의촬요』로 본 고려시대의 의료

        윤성재(Yoon SungJae)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0

        『어의촬요(御醫撮要)』은 1226년(고종 13)에 최종준(崔宗峻)이 왕실에서 비전(祕傳)되어 왔던 어의들의 처방 중 다방(茶房)에서 전해오던 방문을 2권으로 간행한 고려시대 의서이다. 이 책은 유실되어 전해지지 않으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과 『의방유취(醫方類聚)』 등에 인용되어 일부 내용을 알 수 있다. 『어의촬요』의 인쇄 배포를 통해, 종래 어의로 대표되는 왕실이 독점한 의료지식이 좀 더 널리 퍼지게 되었다. 하지만 의학 지식의 증가와는 별개로 약물을 구하는 것이 더욱 큰 문제였다. 왕으로부터 약을 받은 유공권의 사례나 용뇌를 권력자에게 받은 이규보의 사례는 약물의 확보 여부가 권력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흐름은 단오의 옥추단(玉樞丹)이나 납일(臘日)의 전약(煎藥)과 같이 의례화된 세시 풍속을 통해 권력 과시를 보여주는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이런 의학적 혜택에서 배제되었던일반 민중들은 향약이라는 대체재를 마련하면서 의료생활을 발전시켰다. Eouichwaryo(御醫撮要) was published by Choi jongjun(崔宗峻) in 1226. He compiled two volumes of the royal family s prescription, which had been handed down by the Tea Office(茶房). This book is not handed down due to its loss, but it is cited in Euibangyoochui(醫方類聚) and Hyangyakjipsungbang(鄕藥集成方) to reveal some of its contents. Through the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this book, the royal family s proprietary medical knowledge, represented by the royal physician, has become more widespread. However, apart from the increase in medical knowledge, finding drugs was a bigger problem. The case of Yu Gongkwon(柳公權), who received medicine from the king and the other case of Lee Gyubo(李奎報), who received the borneol(龍腦) from the powerful man, shows that securing drugs is power. This trend was maintained in the form of showing power through ritualized seasonal customs, such as the Okchudan of Dano(端午) and the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of Nabil(臘日). However,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these medical benefits developed their medical lives by preparing alternative medic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