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부 소규모 사업장 국소배기장치 실태조사 Ⅰ : 국소배기장치 관리제도 인식도 조사

        우완기(Wan-Gi Woo),김종서(Jong-Seo Kim),박종태(Jong-Tae Park),김승남(Seung-Nam Kim) 한국환경관리학회 2009 環境管理學會誌 Vol.15 No.2

        본 연구는 시화ㆍ반월공단의 일부 영세소규모 사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국소배기장치와 관련된 대기환경관련법규와 산업안전보건관련법규의 규제에 대하여 사업주 또는 관리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 조사 대상 업체에서 국소배기장치의 전담 관리자를 고용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으로 전문성이 부족한 인력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소배기장치와 관련된 환경관련 지도ㆍ단속은 84.7%인데 반하여 노동부는 15.3%에 불과 하였으며 지도ㆍ단속 시 현장위주의 기술감사보다는 서류감사에 치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와같은 지도ㆍ단속이 형식적이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에 대해 지적하였다. 3. 따라서, 노동부보다 환경관련단체의 지도ㆍ단속이 높은 강도와 많은 횟수 때문에 55.7%가 ‘공기정화기 배출구의 배출농도에만 관심을 갖게 되고 작업장 내에서 근로자에게 폭로되는 유해물질 농도에는 등한시 하게 된다’고 지적하였다. 4. 제도개선 방안으로 국소배기장치의 운영관리를 전문기관에 위탁관리 하거나 관리자를 전문 교육기관의 양성교육을 통하여 적절히 관리하도록 하고, 지도ㆍ단속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관련법규의 일원화가 필요하며, 전문기관을 통한 기술지원 및 자금지원을 확대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research business owners' or managers' awareness of small business entities on rules and regulations of atmosphere environment and industry safety and health in relation to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installed in Shihwa and Banwoul industrial complex.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have not so specialized resources to manage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fo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hire an expert as a designated manager for the local exhaust. 2.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s' guidance and regulation on local exhaust ventilation take up 84.7% while those of Ministry of Labor take up 15.3%. It demonstrates that guidance or regulation on local exhaust ventilation was focused not on technical field audit but on paper work. It was an ineffective formality. 3. Environmental organizations conduct their guidance and regulation more strictly and more often than the Ministry of Labor. Consequently, companies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emission concentration of air cleaner outlet (55.7%) and relatively, less attentive of density of harmful substances at the work place. 4. In an effort to improve the existing systems, it is necessary to give a third party agency charge of management of local exhaust ventilation. In addition, people in charge should be provided a 'basic training course' in the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 For more effective guidance or regulation, consistent rules and regulations should be enforced and more intensive and extensive 'technology service' and 'finance service' from specialized organizations should be provided.

      • 폐기물 적정 관리를 위한 분류번호 설정에 관한 연구

        민달기(Dal-Ki Min),권오상(Oh-Shang Kwon),석광설(Kwang-Seol Seok),강준구(Jun-Gu Kang),김영란(Young-Lan Kim) 한국환경관리학회 2007 環境管理學會誌 Vol.13 No.3

        본 연구는 폐기물통계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시키고, 폐기물 통계의 체계적ㆍ전문적 관리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로써, 폐기물통계의 전단계인 폐기물 분류체계를 정비하고 폐기물 분류번호를 지정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폐기물에 관한 DB를 구축한다는 것은 전반적인 폐기물관리의 초석이 되는 작업으로써, 폐기물관리의 최종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발생시점에서 조성별로 폐기물을 구분할 것이 아니라, 최종처리에 목표를 둔 분류기준이 더 적합할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국내 각 단체들이 임의로 사용하고 있는 폐기물 분류번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폐기물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혹은 폐기물 유통업무를 전산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배출원별로 대분류(생활계/사업장계) 및 중분류(가정계/사업장계/건설계)로 구분하여 국가가 관리하는 다양한 통계 수요에 부응하도록 하였으며, 처리방법(가연성/불연성/재활용성)에 따라 3자리의 소분류 체계를 도입하였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consolidation of the waste classification and settlement of the waste code in order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waste statistics. The construction of waste data-base is a indispensable work for the optimal waste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final goals of the waste management, the waste is classified by the treatment method finally, not by the waste composition. And to consolidate the waste code which used by the various civilian organization arbitrarily, to manage the waste optimally, to computerize the waste flux automatically, we designed the waste coded by the six-order number.

      • 인천지역의 효과적인 악취관리지역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박찬진(Chan-Jin Park) 한국환경관리학회 2006 環境管理學會誌 Vol.12 No.2

        인천지역은 수도권의 관문이면서 공업도시로 우리나라의 산업발달을 주도하여 왔으나 최근 도심내의 점증하는 주거지역으로 산업단지와 인접한 주거지역 사이에 악취물질로 인하여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악취는 지역적이고 발생원에 따라 취기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최근 악취민원이 자주 발생되는 지역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특성에 적합한 대기질관리 정책을 실시하도록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기질 개선을 위한 악취관리지역의 관리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Incheon city has been the gate way & industrial city which has taken the lead in industrial development of our country, but the odor from the industrial complex caused frequent civil appeals about the odor in the increasing neighboring regions of citizen. The effective policy of air quality management suitable for the regions having many civil appeals about odors in Incheon area which named as the odor controlled area is proceeded because the odor is locally affected & the kind of odors is various studied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policy for air quality management. The more effective policy for air quality improvement was suggested by investigation of the odor controlled regions in Incheon area.

      • 어린이 환경교육에 대한 평가

        김미경(Mi-Kyung Kim) 한국환경관리학회 2006 環境管理學會誌 Vol.12 No.2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어린이의 환경보전의 생활화 및 친환경적인 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노력에 대한 평가를 어린이들의 설문조사로부터 얻고자 하였다. 2001년 5월에 3개의 초등학교의 6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린이 환경교육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위하여 환경교육 경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우리를 가장 위태롭게 하는 것, 어린이가 할 수 있는 환경보호활동, 환경교육 프로그램, 환경오염, 환경과 관련된 단어, 희망 내용 등 8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초등학교 학생중 46%는 환경교육을 한 번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1회 환경교육을 받은 학생이 44%이며, 2회 이상 환경교육을 받은 학생이 10%이었다. 13%의 학생은 ‘항상 관심이 있었다’. 30%의 학생은 ‘별로 관심이 없다’. 27%의 학생은 환경교육을 받은 뒤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30%의 학생은 무응답이었다. 무엇이 우리를 가장 위태롭게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27%는 공기, 12%는 물, 61%는 쓰레기라고 답하였다. 어린이가 할 수 있는 환경보호 활동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결과로는 56%의 어린이가 쓰레기 버리지 않기, 51%의 어린이가 쓰레기 줍기, 31%의 어린이가 분리수거하기를 답하였다. In May 2001, survey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children had been carried out for the 6th grade of 3 elementary schools children (108 boys and girls) in Geyang-gu, Incheon city. For the purpose of correct evaluation, the survey was composed of 8 categories, which are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s, the interest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most harmful things for them,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which are able to be done by children, the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environmentally related words, and hopes. 46% of 3 elementary school children had not been taught any environmental education. 44% had the lesson only one time and 10% of school children had the lesson two times. After they learned environmental education, 13 % of them answered that they alway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30% answered that they were never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blems. 30% of them didn't say anything. The answers for the most dangerous things for them were the air(27%), the water(12%), and the wastes(61%). The answers for what the school children can do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were not to dump the wastes(56%), not to dump the garbage(51%), and to collect garbage separately(31%).

      • 논문집 초록 : 학술발표일정 ; 3. 포스터발표 : 다중 공중이용시설의 실내환경 관리 수준과 영향요인의 분석

        박정균,윤재웅 한국환경관리학회 2003 하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03 No.-

        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다중공중이용시설은 정기적인 위생검사를 통하여 기본적인 건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중공중이용시설은 이용자 및 재실자의 편익을 위해 대부분 밀폐도가 높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환경관리 측면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454개소의 다중공중이용시설에 대하여 건물의 용도와 규모, 관리형태(공조설비, 업장분포 등)를 중심으로 실내환경관리 권장기준이 제시되어 있는 환경관리 항목(온도, 습도, 조도, 기류, 분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을 측정한 후 측정조건(측정위치, 날씨, 계절)에 따른 영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실내 상대습도가 전반적으로 권장기준에 미달하였고, 분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업장의 특성과 시설관리 상태에 따라서 권장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다중공중이용시설의 이용자들에게 불쾌감은 물론 장시간 거주시 생리적 안전성이 상실될 뿐 아니라 건강상의 악영향까지 미칠 수 있으므로 다중공중이용시설에 대한 위생관리 검사제도의 활성화와 공기질 관리 체계를 표준화하여 건강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것이 필요한 상태이다. Indoor air contamination has a number of important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of healthy buildings. It accurs through smoking, combustion of fuel and activity of residents in building. Its extent depends on the design and condition of the building enclosure, air make-up system, characteristic of stores, weather and seasonal variation. The Results obtained for the analysis of hygienic measurements in 454 stores showed that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ost subjects was unsuitable, and also the concenturation of dust,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in the few subjects were higher than the recommended limits. Comparing with level of the indoor air qualitiy by building size, bussiness type, sampling point, seasonal vari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each groups.

      • 상수처리과정에서 국내 생활계 유해폐기물 발생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관리학회 2007 環境管理學會誌 Vol.13 No.2

        <P>생활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생활계 내에서 배출된 각종 유해폐기불이나 폐기물 용기들은 별도의 관리없이 종량제 봉투에 담겨져 배출되고 있으나, 정작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한 정의나 관리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 생활활동 내에서 손쉽게 발생하는 페인트류, 광택제류, 수은함유 폐기물, 농약류, 세제용기류, 약품용기류 등의 6대 제품군에 대한 관리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발생특성 및 장래 배출량 예측, 관리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현행 폐기물관련 법규에서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해서 폐페인트와 농약류는 지정폐기물로, 살충제, 유독물제품은 폐기물부담금으로, 살충제 및 유독물용기, 세제용기, 약품용기 등 용기류와 전지, 형광등은 EPR 품목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광택제류에 대한 관리 규정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한 관리방안의 개선책으로는 기존의 폐기물관련 법률 체계하에서 생활계 유해폐기물의 관리를 보완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들 품목을 (가칭) 생활계 유해폐기불로 규정하여 단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P>

      • 상수처리과정에서 국내 생활계 유해폐기물 발생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閔達基(Dal-Ki Min) 한국환경관리학회 2007 環境管理學會誌 Vol.13 No.2

        생활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생활계 내에서 배출된 각종 유해폐기불이나 폐기물 용기들은 별도의 관리없이 종량제 봉투에 담겨져 배출되고 있으나, 정작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한 정의나 관리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 생활활동 내에서 손쉽게 발생하는 페인트류, 광택제류, 수은함유 폐기물, 농약류, 세제용기류, 약품용기류 등의 6대 제품군에 대한 관리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발생특성 및 장래 배출량 예측, 관리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현행 폐기물관련 법규에서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해서 폐페인트와 농약류는 지정폐기물로, 살충제, 유독물제품은 폐기물부담금으로, 살충제 및 유독물용기, 세제용기, 약품용기 등 용기류와 전지, 형광등은 EPR 품목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광택제류에 대한 관리 규정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한 관리방안의 개선책으로는 기존의 폐기물관련 법률 체계하에서 생활계 유해폐기물의 관리를 보완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들 품목을 (가칭) 생활계 유해폐기불로 규정하여 단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household hazardous wastes (HHW). According as life pattern changes rapidly, various HHWs have been discharged in the refuse bag without adequate management. But the definition of HHWs and administration system is not exist in Waste Management Law. In order to devise a proper management of six sorts of HHWs such as paints, solvents, mercury contained wastes, pesticides, surfactants and drug cases, we suggest a wasted amount in present and future estimate of HHWs. In present Law, paint and pesticide are managed as a specified waste, toxic chemical is managed as a waste burden item, container of toxic chemical, surfactant and drug, and battery and fluorescent light are managed as a EPR item, but solvent is not managed in present. Althought can supplement administration way under existent waste management legislation system, integrated management of HHWs do way to understand need.

      • 소사육 축산시설에서의 암모니아 플럭스 배출 특성

        노기환(Gi-Hwan Roh),사재환(Jae-Hwan Sa) 한국환경관리학회 2013 環境管理學會誌 Vol.19 No.1

        암모니아는 대기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오염물질이며, 악취 유발 및 동물과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스상 물질이다. 우리나라의 암모니아 주요 배출원은 축산과 농업부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사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플럭스를 평가하기 위하여 열린 챔버를 적용하여 가을철과 겨울철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암모니아 영향인자인 기온, pH, 암모늄이온을 측정하였다. 가을철 낮시간대와 밤시간대의 암모니아 평균 플럭스는 1.360(±0.667), 0.932(±0.686) ㎎ m<SUP>-2</SUP>min<SUP>-1</SUP> 이며, 겨울철에는 각각 1.189(±0.501), 0.649(±0.410) ㎎ m<SUP>-2</SUP> min<SUP>-1</SUP>으로 산정되었다. 가을철과 겨울철의 암모니아 플럭스는 각각 1.146(±0.662), 0.919(±0.456) ㎎ m<SUP>-2</SUP>min<SUP>-1</SUP>으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암모니아 플럭스와 암모늄이온과의 상관성은 분뇨의 pH와의 상관성에 비해 다소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Ammonia(NH3) is an important pollutant that plays a key role in several air pollution problems. It can create odors and have negative impacts on animal and human health. The largest source contributing to ammonia emission is the agricultural production, in particular animal operation, in Korea. This study evaluated flux profiles of ammonia emitted from the cattle housing using a dynamic flux chamber. Ammonia flux variation was made with respect to manure surface temperature, pH, and ammonium concentration. Ammonia flux have been measured from at cattle housing in Fall to Winter season. In the fall season, ammonia flux day time and night time from cattle housing was estimated 1.360(±0.667), 0.932(±0.656) ㎎ m<SUP>-2</SUP> min<SUP>-1</SUP>, respectively. and In the winter, ammonia flux day time and night time from cattle housing was estimated 1.189(±0.501), 0.649(±0.410) ㎎ /㎡/min¹, respectively. And ammonia flux of fall and winter season was estimated 1.146(±0.662), 0.919(±0.456) mg m<SUP>-2</SUP> min<SUP>-1</SUP>,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mmonia flux and manure surface ammonium concentration showed a stronger relationship than surface pH of manure .

      • 학교시설 실내공기중에 존재하는 총부유세균의 계절 분포

        김미경(Mi-Kyung Kim) 한국환경관리학회 2016 環境管理學會誌 Vol.22 No.1

        학교 일부 건물 실내공기 중 총부유세균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4년 3월~4월(봄), 7월 24일~31일 (여름), 11월 25일~30일(가을), 2015년 1월 28일~2월 3일(겨울)에 걸쳐 학교 시설의 화장실, 연구실, 실험실, 지하주차장, 인터넷카페, 사무실, 식당 등을 임의로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실내공기질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측정대상시설 모두 환경부 실내공기질 오염 유지기준치인 8.0×10²CFU/m³를 초과하지는 않았다. 화장실은 여학생용으로 다른 시설에 비해 봄철에 훨씬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다른 시설과는 달리 준공한 지 얼마되지 않은 지하주차장은 여름철 빼고는 모두 낮은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여름철은 방중이라 사무실이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제일 낮은 측정값은 실험실이었다. 가을철에는 화장실이 제일 높은 측정값을 나타낸 반면에 지하주차장이 낮은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실내 총부유세균의 유지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ulturable bacteria at the spaces of the university such as toilet, laboratory, professor’s office, underground parking lot, internet cafe, department office, and cafeteria were investigated in spring(March 2014 to April 2014), summer(July 24 to 31, 2014), autumn(November 25 to 30, 2014), and winter(January 28 to February 3, 2015) using standard method of indoor air analysis. All results are under the maintaining certification value(8.0×10²CFU/m³).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ulturable bacteria at the student’s toilet are higher than any other places especially in the spring season and the newly built underground parking lot shows the lowest concentrations except summer season. Because of the summer vacation, the department office shows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the laboratory shows the lowest. In autumn, toilet shows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the underground parking lot shows the lowest. All results are under the maintaining certification value, but systematic air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these are the most common space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faculties everyday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