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교양 교육의 융합적 상상력을 위한 고전 활용의 비판적 사고와 말하기 교과 연구

        표정옥 ( Pyo Jung-ok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2 No.-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래 고령화 사회와 4차 산업의 시대에 새로운 직업 전선으로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대학 교양 교육의 점진적인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교양 교육 변화를 살펴보고 한국 대학 신입생 교양교육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대학 교양 교육은 전공 교육에 비해서 질적으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생각해왔던 것이 그동안의 교양 교육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지식이 소수에게 독점되는 시대에나 가질 수 있는 진부한 사유로 보인다. 이미 현대의 지식은 상당 부분집단 지성의 형태로 보편적으로 일상화되어 있고 지식의 접근성은 그 어느 때보다 수월성을 가지고 있다. 대학의 교양 교육은 변화하는 시대에 보조를 맞추어 진보되지 못하는 시대착오적인 고루한 면을 가지고 있다. 현재 대학교양 교육은 단순히 한 영역에 걸쳐 지식을 습득하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지식의 연계와 지식의 재구성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에 새롭게 진입한 신입생들을 위해 지식을 연계시미고 융합시키는 비판적 사유 능력을 배양하도록 융합적 성찰 방법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변화하는 교양교육의 방향 중에서 융합과 연계를 위한 교육적 방법론에 집중해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문화적으로 관련이 깊은 일본 대학의 교양교육사례를 먼저 살피고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융합과 연계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선행 작업을 통해 최근 본 연구자가 진행하고 있는 고전을 활용한 융합적 비판 사유와 토론에 대한 실증적 사례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고전 <삼국유사>를 통해 융합적 사유와 토론의 가능성을 일부분 살펴 보기로 하겠다. This article has the aim to study about an Integrated Writing and Reading Debate beyond Major Boundaries using humanities Classics lImagination, focusing on a multiculural imagination described in Ilyeon’s Samgukyusa. Retrospecting on the proceeding Samgukyusa studies, we need to develop the new educational reading and discussive methods of Samgukyusa.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s to Japanese humanities Classics Education. Through the students’s real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Multiculture of Samgukyusa,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an Integrated Writing and Reading Debate beyond Major Boundaries using humanities Classics Imagination. Humanities reading such as Samgukyusa will lead to a much better writing and discussion.

      • KCI등재후보

        AI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패러다임 탐색

        박남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과 시민 Vol.8 No.-

        챗GPT가 등장하면서 생성 AI가 교육에 가져올 파장이 생각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은 디지털과 AI의 급격한 발달에 적응하며 이를 선도할 수 있는 교양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나아가 활용 가능한 교양교육 교수법 프로그램도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생성 AI가 인간의 생각전개와 글쓰기에 미칠 대전환의 모습을 예측해본다. 이러한 예측을 토대로 교양교육 새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나아가 활용가능한 교양교육 교수법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챗GPT의 등장은 인간의 글쓰기(생각 전개)를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바꾸어놓을것으로 예상된다. 글 쓰는 방법은 글쓰기 과정에서 챗GPT 사용 시기에 따라 선 사용과 후 사용 글쓰기로 나뉠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 AI 시대 교양교육이 해야 할 새로운 역할은 챗GPT를 비롯한 생성 AI를 사고 전개 보조자료로 활용하되, 의존성과 중독성에서는 벗어날 수 있도록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교양교육 새 패러다임인 스말로그교육은 개념 및 목표, 실천을 위한 기본조건, 교육 방법, 교육 내용, 협치구조 등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성 AI 활용 교양교육 교수법 프로그램은 부정행위 예시와 대학의 대응, 그리고 기계와 협업 시 사용할 수칙 등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생성 AI 시대 교양교육의 적응력과 시대 선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미래의 교양 교육 -지적 유연성과 도전을 위한 교양 교육과 전공 교육의 장벽 해체-

        ( Jan M. Osbor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과 시민 Vol.5 No.-

        기초 교양 교육을 포함한 인문 교양 교육과 민주주의와의 상호연관성은 21세기 대학 교양 교육 교과의 지속적인 필요성에 대한 근간이 된다. 기초 교양 교육은 기술력뿐만 아니라 전문 교과를 포함하는 모든 전공과 연계되어야 한다. 교양 교육의 목적은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자신의 기술 활용 능력을 통해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수집, 정리, 비판, 문맥화 하여 기후 변화, 빈부격차, 인구이주, 전염병 등 인류가 직면한 주요 문제를 대응할 수 있게 지도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상호 연관된 세계화, 비선형성, 학제성을 주장하며 고등 교육에서의 기초 교양 교육을 재수립하는 것이다. It is on the foundation of the interconnectedness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liberal ar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eral arts and democracy that the continuation of a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program has cogency in the 21<sup>st</sup> century. General education must be linked to and through technology, connected with all majors, including professional programs, created for digital natives who could learn to use their technology skills to gather, organize, critique, and contextualize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them online to address the great human challenges, including climate change, economic inequality, migration, and infectious diseases. Calling for contextualized globalism, non-linearity, and interdisciplinarity, this is a revision of gener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역사문화콘텐츠 강좌 개설의 방향성에 관한 일 제언 -숙명여자대학교 <대중매체와 역사문화의 이해> 강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길 ( Kim Byoung-gill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2 No.-

        최근 역사문화콘텐츠에 반영된 역사의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일이 학계와 대학교육의 당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전문 역사 연구와 교육이 역사학의 내외적인 변화와 함께 일대 전환기를 맞은 결과다. 이른바 포스트모던 역사가들이 근대 역사학의 주요한 이데올로기적 기반이었던 민족주의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촉발된 이 전복적 사고는 과학으로서가 아닌 담론으로서의 역사를 상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과 함께 역사 연구와 교육 방식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역사학과 문화콘텐츠를 결합한 역사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그 구체적인 움직임의 하나다. 숙명여자대학교의 <대중매체와 역사문화의 이해> 역시 같은 맥락에서 개설된 강좌다. 본 논문은 이 강좌를 중심으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역사문화콘텐츠 교과목 개설의 방향을 모색한 연구다. 그 전제로 본 연구는 역사문화콘텐츠 관련 대학 교양교육이 매체적 특성과 예술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상정했다. 역사문화콘텐츠의 매체별 특징과 미학, 생산 및 소비 메커니즘 등에 관한 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와 같은 토대 위에서 토론, 글쓰기, 발표 등의 교수학습이 행해질 때 텍스트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결론이다. Recently, critically reviewing and analyzing historical consciousness reflected 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has emerged as a challenge for academia and university education. Professional history research and education are the result of a turning point wit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history. The subversive thinking, triggered by so-called postmodern historians questioning nationalism, which was the main ideological basis of modern history, led to the introduction of history as discourse, not science. With the advent of such a new paradigm, there is also a change in the way history studies and education are conducted. Interest 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combining historical studies and cultural contents is one of the concrete mov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s < Understanding of Popular Media and History and Culture > is also a course in the same context. This paper is a research that has sought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subject as a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focusing on this course. On the premise of this study, this study assumed that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related to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should consider both the understanding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spects at the same time. They say that education on media-specific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s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needs to be carried out.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ext can be expected when teaching learning such as discussion, writing, presentation, etc. is conducted on such a foundation.

      • 교양 교육에서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김애란의 「물 속 골리앗」을 활용하여-

        김향연 ( Kim Hyang-yeo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1 No.-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 소설을 활용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내용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교양 교육의 제재로 소설을 활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나, 오늘날 교양 교육이 표방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안목을 갖게 하는 심도 깊은 교육’을 실행하기 위하여 소설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초점화된 논의는 적었다. 하나의 텍스트로서 소설을 활용한 교양 교육은 ‘분별 있는 관찰자’를 길러냄으로써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쟁점에 대한 판단력을 갖추는 데 기여한다. 이에 이 연구는 소설을 활용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교양 교육에 도입할 때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하는지 김애란의 「물 속 골리앗」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이는 소설이 특정 영역을 뛰어넘는 인문학적 통찰을 제공하는 장르라는 점에서 글쓰기, 토론 강좌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분야 등과 관련한 대학 교양 강좌에 두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idea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ontent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using novels as university elective courses. Fiction is commonly being used for elective courses education, but there is little focus on how fiction could be used to implement the ‘higher education that provides a holistic view of human nature and the world’ that elective courses represent today. Elective courses, using novels as a text, helps to cultivate a ‘judicious spectator’ and contribute to build judgement on the various sociocultural issues in the world.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using novels and suggest the contents of what should be educated when introducing it into general education, using the book “Goliath under water” as an example. Because fiction provides insights on humanities that goes beyond a specific area, it can be used not only for writing and debating classes but also for university elective courses related to humanities and social fields.

      • 교양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김순녀 ( Jin Shunnv ),맹강 ( Meng Gang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3 No.-

        본고는 중국에서 교양 과목 한국어 운영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조사연구로 교양한국어 과목의 교육 목표, 교육 과정, 교육 내용, 교재, 교수자 요구를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교양한국어 교육은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이고 제2외국어 한국어 과목과 공공한국어 과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교양한국어 교육은 주로 어휘, 문법, 듣기, 말하기, 한국 문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재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어휘와 내용이 많고 흥미도가 낮다는 것이 주요한 문제로 나타났다. 담당 교수는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교양한국어 수업을 실시하는데 수업 시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교양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공공한국어 교재의 체계를 달리 해야 하고 교육 내용을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실제성을 지녀야 한다는 제안을 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xtbooks as a liberal art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for liberal arts subjects in China. To this end, the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s, textbooks, and teachers’ demands of the Korean as a liberal arts subject were examined by a research study. Liberal Korean education in China is general 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s divided into second foreign language Korean language courses and public Korean language courses. Liberal Korean education mainly consists of vocabulary, grammar, listening, speaking, and Korean culture, and currently used textbooks are very divers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too many vocabulary and contents, and the interest is low. The instructor insisted that the liberal arts Korea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cusing on listening and speaking, and the number of class hours should be increased. In view of this, we proposed that when developing a teaching material for liberal arts Korean speaking, the system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Korean and public Korean textbooks should be different, a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focu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 중국 대학 교양 교육에서의 한국어 교육

        정혜 ( Zheng Hui ),교우박 ( Qiao Yu-bo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3 No.-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어 교육의 위상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방향에 초점을 두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원생 대상의 교양 한국어 교육은 제외한, 4년제 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양 한국어 교육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진행할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중국 대학의 교육과정 체계를 살펴보고 복단대학교와 상해해양학교의 통식교육 체계를 살펴보면서 교양 과목으로서의 한국어의 위상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중국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어 교육의 상황을 학기당 학습자 규모, 학습 기간, 학기당 수업 시수, 교재 등을 살펴보면서 교양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를 바탕으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중국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어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결론을 짓는다. The status, existing problems and future improvement of Korean teaching as gener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major concern falls upon Korean teaching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for students from four-year undergraduate colleges in China rather than graduate students. After examining the curriculum system of Korean in Chinese universities, it explores the status of Korea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taking the general curriculum system of Fudan University and Shanghai Ocean University as examples. Then it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tatus quo of Korean teaching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in terms of the size of the students per semester, learning periods, the number of class hours per semester and the teaching materials etc.. Finally, the paper puts forward the improvement measures of Korean teaching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in Chinese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대학의 교양 교육과 탈능력주의

        서정혁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과 시민 Vol.8 No.-

        대학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으며, 대학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는 위기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이들은 대학이 실용 기술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주장하며, 소프트웨어 교육 확대가 그 대표적 사례로 언급된다. 그러나 대학 교육은 무엇보다 대학의 목표와 방향을 재설정하는 문제에서부터 새롭게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목표 설정에서 대학의 기초 교양 교육이 능력주의를 뛰어넘어 ‘탈능력주의’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며,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 교양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능력주의와 달리 ‘탈능력주의’는 시험 경쟁이 교육에 필수적인지 의문을 제기하며, 협력적인 관계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사회 구성원간 상호 존중과 연대를 강조한다. 특히, 이 글은 미래 사회에서 과학기술의 발달이 초래할 인간 능력 향상이 능력주의와 결탁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들을 우려하며, 새로운 인간 향상 기술을 어떻게 민주적으로 통제할 것인지를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고민하면서 공동선 및 공동체적 연대성에 입각한 ‘좋은 삶’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 일본 내 대학 교양교육의 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고찰 -도쿄외국어대학 글쓰기 교과목(기초 연습)의 현황과 과제-

        다카하시아즈사 ( Azusa Takahashi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3 No.-

        본고에서는 2012년 도쿄외국어대학(東京外國語大學) 외국어학부 개편 이후 “세계 교양 프로그램”으로 설치된 글쓰기 교과목(기초 연습) 사례를 통해 일본 내 대학 교양교육의 글쓰기 교과목 현황과 과제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빠른 시기부터 글쓰기 교육을 실시해 왔던 도쿄대학(東京大學)과 간사이국제대학(關西國際大學)의 사례를 연구했다. 도쿄외국어대학 사례에 있어 “기초 연습”을 담당하는 교수자와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분석하여 도쿄외국어대학의 글쓰기 과목이 가지는 의미와 과제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이하의 세 가지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는 도쿄외국어 대학에서의 “기초 연습” 수업은 도쿄대학 “초년차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자료의 수집, 분석을 토대로 한 리포트 작성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교수자마다 여러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질문을 구성하는 법 등, 리포트를 쓸 때 필요한 아카데믹 스킬을 수업에서 가르치고 있다는 점이 공통된다는 점이다. 셋째로 교수자들은 문헌에 관해 논의하는 등 논문의 내용에 관한 부분이 수업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점을 문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도쿄외국어대학 “기초 연습”은 학생들이 리포트를 쓰는 능력을 어느 정도 향상하는 데 유익하며 다른 수업을 수강할 때도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인원수나 수업 시간의 부족, 충분히 실시되지 못하는 피드백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수업 시간에 연구서의 강독이나 검토 등 논문의 내용에 관한 부분까지 다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남아 있었다. “기초 연습”의 역할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전공을 살리는 수업 설계, 인원수의 감축, 글쓰기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의 설치 등을 통해 논문의 내용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UFS) offers the Education for New Students (First-Year Experience) course (basic seminar) as part of its Global Liberal Arts Program, which was established in 2012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Faculty of Foreign Studies. Through the case of the basic seminar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cademic writing courses and their teaching materials in Japanese universities. First, as a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cases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Kansai University of International Studies, two of the first institutions to implement first-year education. Next,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data from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in charge of the TUFS basic seminar, this research discusses the essence and issues of academic writing courses at TUFS. As a result, this study clarified three points. First, the basic seminar at TUFS, like the First-Year Seminar at the University of Tokyo, focuses on writing reports based on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Second, despite differences in the teachers’ instruction methods, they all shared the same approach, which was teaching the necessary academic skills for writing reports, such as how to formulate questions. Third, the faculty members were concerned that they could not sufficiently address their students’ written content. Thus, to some extent, the basic seminar at TUFS can be considered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bility to write reports. On the other hand, several factors, such as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per lecturer, the lack of class time, and the lack of sufficient feedback, have sometimes limited paper content coverage, including reading and reviewing research papers, during class time. To clarify the basic seminar’s role as a liberal arts subject, it i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that utilize the specialties of relevant faculty members, implement small classes, and establish a specific department for first-year education to guide thesis content.

      • KCI등재후보

        평생 교양 교육 심화를 위한 교육 방법 고찰 -서울시민대학 수강과 50+캠퍼스 강의를 중심으로-

        유영희 ( Yu Young-Hee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과 시민 Vol.5 No.-

        대학의 교양 교육이 글로벌 리더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데 비해, 평생 교육 차원의 교양 교육은 시민성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성 함양은 자기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 공감 능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세 가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참여자가 직접 텍스트에 질문하며 읽고, 대상을 관찰하고 묘사하는 글쓰기가 효과적이다. 시민성 함양을 위한 읽기 쓰기 교육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참여자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동안 평생 교양 교육은 일방적 강의 중심으로 진행되어 교양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어려웠다.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서 잘 훈련된 전문가가 이끄는 소규모 학습공동체 방식이 필요하다. Whil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ims to nurture global leaders, liberal arts education for lifelong education aims to cultivate citizenship. Cultivation of citizenship is achieved through self-understand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se three skills, a writing practice in which the participant directly asks questions to the text, and observes and describes the object is effective. In order for this education to have a practical effect on cultivating citizenship, the participants should be able to be involved more actively. In the meantime, lifelong liberal arts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one-sided lectures, making it difficult to realize the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mall-scale learning communities led by well-trained professionals in accessible pl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