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생각하는 나를 생각하는 나 : 나의 홀로서기와 함께서기

        서정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1997 延世哲學 Vol.- No.7

        생각하는 나를 생각하는 나는 생각하는 나를 생각한다. 칸트는 이처럼 생각하는 내가 나만을 생각할 때 나는 끝없이 선험적 주관의 주위를 하염없이 헛되게 빙빙 맴돌게 된다고 고백한다. 이때 생각하는 나는 모든 규정들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이렇게 ‘홀로 선 나’는 그 속에 아무것도 채우지 못한 ‘빈 수레’와 같다. 수레가 자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텅 빈 자리를 채울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이 필요하다. 빈 수레의 쓰임은 항상 무엇을 어디로 운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칸트는 빈 수레로서의 자기의식의 쓰임이 바로 이와 같은 것이라고 한다. 자기의식 혹은 선험적 통각의 통일은 헛되게 자기 주위를 맴도는 공허한 생각함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양한 표상들의 종합을 위해서 필요하며, 주관의 형식인 범주를 다양한 경험에 적용하는 데에 그 쓰임이 있다. 그래서 칸트는 자기의식의 이러한 역할을 강조하여 선험적 통각이나 자기의식 자체를 적극적 활동성과 동일시한다. 이러한 적극적 활동성이 곧 자기의 식이라는 말은 마치 수레가 무엇을 운반하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수레가 아닌 것처럼 이러한 활동성이 없는 자기의식은 자기의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선험적 통각은 그 자체 비어 있으면서도 자신을 채우는 내용과 더불어-지각함이다. 그래서 생각하는 나의 홀로서기는 오직 내가 나의 생각 밖으로 나감으로써만 가능하다. ‘생각하는 나의 홀로서기’는 ‘현상적으로 드러나는 나’에 기대어 있다. 시, 공간적으로 제약되어 있는 내가 다양한 경험에서 나의 인식을 산출하기 위해 생각하는 나를 더불어 불러들인다.

      • KCI등재

        퍼스의 헤겔 비판

        서정혁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4

        퍼스는 자신의 여러 글들에서 헤겔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동시에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퍼스가 어떤 이유에서 헤겔에 대해 이처럼 이중적인 태도를 취했는가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우선, 퍼스는 실재론의 입장에서 데카르트로부터 비롯되는 근대 철학을 유명론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유독 헤겔만을 ‘실재론을 동경한 유명론자’, ‘실재론의 조각을 덮어 쓴 유명론자’라고 표현하면서 헤겔이 실재론을 지지했다고 평가한다. 헤겔에 대한 퍼스의 이 평가는 우선 헤겔이 퍼스처럼 데카르트의 ‘토대주의’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이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둘째, 퍼스가 어떤 이유에서 자신의 범주가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와 유사하다고 주장하는지를 검토해보면, 헤겔과 퍼스의 철학적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 왜냐하면 퍼스는 자신의 보편적 범주, 즉 일차성, 이차성, 삼차성이 각각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에 대응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가 구체적으로 무엇이라고 퍼스 자신이 확정하지 않기 때문에, 퍼스의 범주론과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를 통해 두 사람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는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밖에 없다. 퍼스는 헤겔이 사유의 세 단계를 논하면서 삼차성에만 치중함으로써 일차성과 이차성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즉, 헤겔은 일차성에서 현존성과 직접성을 추상으로만 다루었고, 이차성의 투쟁을 보편 법칙으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런데, 헤겔이 일차성과 이차성을 삼차성으로 지양되는 맥락에서만 이해함으로써 일차성과 이차성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퍼스의 비판이 적절한가를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퍼스는 ‘지양’이라는 개념을 ‘반박’이라는 부정적 의미로만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보다 더 중요한 점은, 결과적으로 삼차성이 유일한 범주라고 간주하는 퍼스 자신의 주장 때문에, 퍼스 자신의 입장이 헤겔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퍼스에게서도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유의미한 경험은 삼차성의 매개를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앞으로 좀 더 다각적인 면에서 헤겔과 퍼스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가 더 활발해질 필요가 있다. In his various articles, Peirce strongly criticizes Hegel and at the same time positively evaluates him. The reason why Peirce take such a dual attitude to Hegel can be confirmed by the following discussion. First, while criticizing modern philosophy stemming from Descartes as nominalism in the viewpoint of realism, Peirce describes Hegel’s philosophy as “a nominalist of realistic yearnings” and “a nominalist with patches of realism” and then evaluates Hegel’s support for realism. Peirce’s assessment of Hegel can be understood in the sense that Hegel, like Peirce, maintained a critical position on Descartes’ fundamentalism. Furthermore, secondly, examining whether Peirce for some reasons suggests that his categories are similar to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we can reveal more specifically the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Hegel and Peirce. Because Peirce mentions that his universal categories,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correspond to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However,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for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irce’s categories and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since Peirce does not define what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are. He criticizes Hegel for not treating adequately Firstness and Secondness by focusing mainly on Thirdness. In other words, he criticizes that Hegel treated presence and immediacy in Firstness only as an abstraction, and has made struggles in Secondness a univeral law.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Peirce’s critique of the fact that Hegel did not properly deal with Firstness and Secondness by understanding Firstness and Secondness only in the context of Thirdness. First of all, Peirce has a problem in that he understands the notion of ‘Aufhebung’ only in the negative meaning of ‘refutation’. More importantly, Peirce may conclude that his own position is not so different from Hegel’s, because he claims that Thirdness is the only category eventually. Because, according to Peirce, the meaningful experience that can be expressed in signs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Thirdness. From this point of view, we need to try to find out mo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egel and Peirce in a more diverse wa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고찰

        서정혁,김진승,이광찬,고진철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1

        Background/Aims: Many physicians agree that colonoscopy is the best modality for either the diagnostic evaluation or use in therapy for colorectal disease. Although the incidence of perforations that occur after colonoscopy is low, the increasing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may pose a relevant health problem with including the often lethal consequenc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erforation and th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Modern Korean society has adopted westernized dietary habits, and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colorectal disease such as colorectal cancer, polyps and diverticulosi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all the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complicated by colon perfora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patients’ demographics, the purpose of colonoscopy, the location of the perforation, the management and the outcome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5254 patients underwent either a diagnostic or therapeutic colonoscopy procedure during four consecutive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s (0.2%) were diagnosed in 11 patients (seven males and four females). Perforations occurred in six patients during a diagnostic colonoscopy and these occurred in five patients during a therapeutic colonoscopy. Free air in the peritoneum or retroperitoneum was seen in all the patients, as depicted on plain X-ray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and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One of the 11 patients with a perforation expired on postoperative day 47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Conclusions: The rate of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 is still very low. Although perforation is a very serious complication and it can be a lethal malady,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are very critical factors to optimize the patient outcome. Although a gold standard therapeutic moda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atients who present with the signs and symptoms of generalized peritonitis are recommended to undergo early surgical intervention. 목적: 최근 한국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악성종양, 용종, 게실염 등 대장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다. 대장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대장내시경의 시행 횟수의 증가로 불가피하게 늘고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 소화내시경 센터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 대장천공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통해 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내에 총 5,254예의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으며 11예(0.2%)에서 대장천공이 발생하였다. 남녀비는 7:4이며 진단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이 6예(0.13%)이며 치료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은 5예(0.82%)이다. 11예 모두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복막 또는 후복막 자유공기가 관찰되었으며 천공의 위치는 에스결장이 8예로 가장 많았다. 7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였으며, 4예에서 내과적인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천공 크기의 평균은 수술적 치료군에서 10.71±4.03 mm, 보존적 치료군에서 7.75±3.30 mm이다. 진단까지 소요된 시간의 정중치는 수술적 치료군에서 6시간, 보존적 치료군에서 11시간이다. 진단 직후 11예 모두 금식 및 병합항생제 요법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군의 수술 방법으로 일차봉합술이 5예, 분획절제술이 1예 그리고 하트만 술식이 1예이다. 진단적 내시경 후 발생한 천공을 수술적으로 치료를 시행한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발생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요 합병증이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전반적인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있으며 천공 부위가 큰 경우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면 보존적 치료실패 후 발생되는 수술의 어려움 및 합병증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겠으며,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경미하거나 천공의 크기가 작고 장정결상태가 양호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수술로 인한 합병증 및 이환율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