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유산에 대한 법인류학적 접근

        김용구 무형유산학회 2023 무형유산학 Vol.8 No.2

        국가유산체제 전환이 현안이 되고 있다. 무형유산 분야에서 국가유산체제 전환은 무형유산체제 전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체제 전환은 법률과 정책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무형유산은 법률적 체계임과 동시에 법률과 층위를 달리하는 제도적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고, 생활세계에 존재하는 문화적 실제이기도 하다. 문화재보호법과 무형문화재법으로 대변되는 한국의 무형유산체계 내에서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무형문화재와 무형문화유산의 이중적 체계가 존재하여 왔다. 무형유산체제 전환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접근의 관점과 방법을 법인류학이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법철학자 웅거는 법을 관습적 법, 관료적 법, 법체계라는 세 개의 수준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관점은 법인류학에 수용이 가능하고 무형유산을 법체계와 생활세계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데 있어서도 유용하다. 무형유산의 법체계와 구분되는 생활세계 속 무형유산의 존재 및 이것들의 통합적 설명이 법인류학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생활세계 속 무형유산은 관습법이나 강제적 가치에 대한 말리노프스키나 호블의 관점을 통해 설명할 수 있고, 통합적 설명은 토이브너의 ‘성찰적 법’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형유산체계와 관련하여 인류학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과제는 관습규범과 실정법의 관계 규명, 전통지식의 권리 설정, 입법과 사법에서의 언어 분석, 문화다원주의의 도입 타당성 분석 등이 대표적일 것이며, 무형유산체제전환의 의미를 밝히는 작업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ㆍ태지역 무형유산 박물관 네트워크 구축 방안 -무형유산 박물관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활성화를 목표로-

        최종호(Choe, Jong-ho) 무형유산학회 2017 무형유산학 Vol.2 No.2

        이글은 무형유산 박물관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활성화를 목표로, 무형유산 개념과 박물관 추세를 정리하였고, 아ㆍ태무형유산센터 정보와 네트워킹 구축선행 사례를 검토하여 아ㆍ태 지역 무형유산 박물관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고, 또한 무형유산 박물관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활성화 목표를 확립하였다. 아ㆍ태무형유산센터의 네트워킹은 각 국의 지역사무국과 유비쿼터스 체제의 웹기반 서버 컴퓨팅을 기반으로 네트워킹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방식과 아ㆍ태지역 각 국의 지역사무국이 자체적으로 데이터 저장 장비, 소프트웨어 등을 구매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서 서비스를 받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여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칭 아ㆍ태지역 무형유산 박물관정보네트워킹(MINICHAP)은 무형유산 박물관과 관련 NGO, NPO, 공동체, 집단, 개인 등이 자발적으로 적극적으로 아ㆍ태지역 무형유산 박물관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게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 For the aim of sharing information and activating network of the intangible heritage museum, this article clarified the concept of the intangible heritage and the museum trends, suggested the scheme on the intangible heritage museum in the Asia-Pacific Region after surveying the executed cases information and network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er in the Asia-Pacific Region (hereafter ICHCAP), and also established the aims of sharing information and activating network of the intangible heritage museum. The networking systems of the ICHCAP are considered as: one is a method to build and operate the networking based on the ubiquitous Web server computing system between the regional bureaus of the each State Party. The other is a method to build and operate the networking based on the Cloud Comput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service rather purchasing data storage equipments and softwares by each bureau itself of the each State Party. In conclusion, a tentative name, the Museum Information Network for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er in Asia-Pacific Region(MINICHAP) has to support consistently which the intangible heritage museums, the related NGO, NPO, communities, individuals, etc. are able to participate spontaneously and actively in the regional intangible heritage museum network in the Asia-Pacific Region.

      • 무형유산의 계승과 확산 방안 모색-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홍태한(Hong Teahan)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이 글은 무형유산의 계승과 확산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라남도의 경우를 사례로 살핀 글이다. 무형유산의 계승은 과거에서 이어진 무형유산을 지금 현재에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것이고, 확산은 무형유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가치를 확산하는 것이다. 계승 방법으로는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에 따라 전수교육 및 연계교육이 달라져야 하고, 생업과 긴밀한 관련을 가진 종목은 생업과의 관련이 드러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아울러 현재 지정된 무형문화재 개별 종목의 실상과 전승 양상을 온전하게 기록한 간행물 작성이 필요하다. 온전한 전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별 종목 공개 행사의 점검 강화 및 내실화도 필요하다. 확산을 위해서는 범위가 넓어진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를 잘 살펴 새로 추가된 영역에 대한 집중 조사가 필요하다.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실시한 무형유산 도시 사업, 농경 어로 조사 사업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조사도 필요하다. 아울러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설정하고 새로운 개념을 정립한 후 아카이브 구축에 나서야 한다. 아카이브를 단순하게 자료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디지털 헤리티지라는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 최근 있었던 곡성죽동농악 아카이브 구축 사례를 제시했는데 이러한 시도가 확산되기를 바란다. 전라남도 무형유산 종합 조사 실시, 전남 무형유산 아카이브 구축 가능 목록 작성이 가장 시급한 일임을 알고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promote succession and disse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focus on Jeollanamdo. The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fers to an act of sustaining and passing dow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hile the dissemination refers to an act of disseminating and spreading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granting new meanings to it. When it comes to the method of succession,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education on succession and the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extent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to seek ways to ha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igned with occupations for a living if applicable.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 document that fully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succession pattern of thos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 effort to facilitate disse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include inspections on the extended scope of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focus on the newly added area as well as new surveys bas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rban project and the agricultural & fishery inspection project led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effort should extend to raising awareness of archives, setting up new concepts, and building the archiv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focus of such archive should be shifted from preparing simple data storage to building a digital heritage. The study has introduced an exemplary case study of building an archive for Gokseong Jukdong nongak (or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ed by farmers), which should disseminate into building more comparable archives. A consistent effort should be made with the highest priority placed on comprehensive surveys on Jeollanam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making a list of items subject to building the Jeollanam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

      • KCI등재

        전통 음식 관광 프로그램을 통해 본 무형유산 관광과 방향성 연구 -전주음식명가 김치 체험을 중심으로-

        오세미나 무형유산학회 2024 무형유산학 Vol.9 No.1

        음식문화유산은 2010년 최초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문화는 프랑스의 미식 문화(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미초아칸의 패러다임(Traditional Mexican cuisine - ancestral, ongoing community culture, the Michoacán paradigm)이다. 이후 음식문화유산이 지속적으로 등재되었으며, 2022년 제17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는 다수의 음식문화유산이 등재되었다. 이는 최근 유네스코가 ‘무형유산과 관광’을 내세운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유네스코 협약의 운영지침(Operational Directives)의 Chapter IV-117은 무형유산 관광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주의를 다루며, Chapter VI-187은 무형유산 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비한 권고안으로, 무형유산 관광과 관련된 모든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윤리 원칙을 제시한다. 또한 최근 유네스코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이하 NGO)는 무형유산과 관광의 주제로 하여 유의미한 연구를 공개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고는 무형유산과 관광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음식문화유산 관광의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무형유산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통음식을 주제로 한 무형유산 관광 사례를 살펴보고, 국제적 흐름 안에서 무형유산 관광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무형유산 관광의 지속가능한 음식문화유산 관광의 방향과 시사점을 찾아본다. The concept of food cultural heritage was first inscribed on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in 2010. The inscribed cultures include the 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Traditional Mexican cuisine—a paradigm of ancestral, enduring community culture in Michoacán. Subsequently, more instances of food cultural heritage were inscribed, and at the 17th session of the UNESCO Intergovernmental Committee in 2022, numerous food cultural heritages were listed. This can be viewed in conjunction with UNESCO's recent policy emphasis on 'Intangible Heritage and Tourism'. The Operational Directives of the UNESCO Convention, particularly Chapter IV-117, address the caution needed in the commercial u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while Chapter VI-187 provides recommendations in anticipation of the impacts on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fering ethic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across all dimension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Moreover, recent publications by UNESCO'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have opened meaningful research on the them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tren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gastronomy based tourism. It examines case studi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based on traditional foods in actual heritage sites and contemplates the signific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ourism within international currents. Based on this, the paper seeks to identify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food cultural heritage tourism. It proposes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should be community-based, facilitated through professional cultural mediators, and that it must support solidarity and social return by the stakeholders involved.

      • KCI등재후보

        무형문화유산 플랫폼 구축의 전략적 접근방향

        엄승용(Uhm, Seungyong) 무형유산학회 2018 무형유산학 Vol.3 No.2

        2003년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은 무형문화유산 분야의 국제적 규범으로서 회원국 정부가 이행하여야 할 다양한 행동지침을 제시한다. 그러나 국가마다 정부와 이해당사자들의 역량이 서로 다르고 관련 주체의 이해관계와 사회적 맥락이 다양하여 이행과정의 진척 속도와 성과에서 나라마다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 글은 이러한 이행과정의 편차와 이행성과의 질적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적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 플랫폼의 운영체계로서 문화 거버넌스를 제도화 하자고 제안한다. 이러한 편차와 질적 차이가 주로 개별국가의 경제와 기술 등 발전수준의 격차에서 오는 것으로 파악하여 무형문화유산 플랫폼 구축 전략을 공적개발원조(ODA) 분야에서 모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지속가능발전의 도구이자 목적으로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주체들이 다양한 전문성과 아이디어를 결집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참여와 협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전쟁과 절대 빈곤의 폐허 속에서 단기간에 선진국 대열로 진입한 발전 경험을 축적하였고, 행정개혁과 전자정부 부문에서 세계적으로 높이 평가 받고 있으며, 무형문화유산 보호분야의 제도화 경험도 모범사례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플랫폼 기반의 전자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vides a variety of guidelines for the actions which the State Parties should undertake for its implementation. Due to difference in the capacity of different government and variation in the context in which stake holders concerned get involved in practice, however, different mode of process and different outcome of the process have been observed, This paper proposes to construct the platform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 institutionalize the cultural governance as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platform. That is to say, based on the understandings that the difference and the variation may be derived from in divides in economies and technologies among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implication of the platform construction in the same line with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arguing for the necessity of such a unified supporting system to mobilize expertise and collect ideas from a veriety of professionals and experts in the course of safeguarding ICH as the goals as well as the instru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its experience of development in economy and electronic government, arguably, Korea only can make an effort to innovate existing methodologies through deploying ICT and taking an initiative for international governance.

      • KCI등재후보

        남북한 무형문화유산 교류의 전망

        윤동환(Yun, Donghwan) 무형유산학회 2018 무형유산학 Vol.3 No.2

        남북한은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현재 남북한은 겨레말큰사전 공동 편찬, 개성 만월대 유적 공동 발굴조사, 남북 언어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우리민족 기록유산 공동 전시 사업 등을 재개할 것이다. 이외에도 일체감과 민족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삶과 연관된 문화에 대한 교류, 즉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교류가 있어야한다. 북한 민속조사보고서는 북한지역 생활풍습을 이해하는 기초자료이다. 이를 통해 북한의 비물질문화유산과 남한의 무형문화유산이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일의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남북 공동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자료 공유와 공동 조사연구가 필요하고, 국내외적으로 시의성이 있고 한민족의 문화 동질성을 알릴 수 있는 분야에 상호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류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남한 내 물적․인적인프라가 조성되어야 하고, 정부·지자체·NGO 등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후 교류협력시스템을 확대하고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하여 무형문화유산 교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등재, 남북한 무형문화유산 공동모니터링 등 다양한 공동협력 사업을 확대해나가야 한다. The two Koreas share the same language and culture. Above all, for inter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should be exchange of culture related to life that can confirm unity and national identity, that is, exchan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accelerate the era of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share data on joi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 conduct joint research, an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fields that are both timely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and can promote cultural identity. To do this, the physical and human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NGO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In the future, we should expand interchange and cooperation system and arrange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to exp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changes, joint registration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joint monitor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oth Koreas.

      • KCI등재후보

        실크로드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대화형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

        이정송(Lee, Jungsong),박순철(Park, Sooncheol) 무형유산학회 2018 무형유산학 Vol.3 No.2

        본고에서는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보급하는 방법으로서 실크로드의 무형문화유산 플랫폼을 제안한다. 실크로드는 전 세계의 문화, 인물 및 자료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해 왔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이제 실크로드의 많은 유산이 아직도 지역사람들의 삶에 그대로 녹아 있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유네스코는 2013년에 문화유산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시작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서 보면, 오래된 길 위에는 여전히 다양하면서도 위대한 문명과 관련된 유용한 자원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유네스코 플랫폼에는 세 가지의 문화유산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유형이 다른 문화유산과는 소통이 부재하다. 과거에는 통합적이었던 문화유산의 실체를 다시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실크로드에 있는 수많은 문화 집단과 공동체를 대표하는 대화형 플랫폼의 설립은 궁극적으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것이다. 새로운 무형문화유산 플랫폼은 비영리, 평등, 공유 등의 가치를 존중하면서 실크로드의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ventory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of the Silk Roads as a method of safeguarding and dissemination of ICH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ilk Roads have been highly assessed and recollected because their role in connecting cultures, people and materials across the world. In addition, much of the legacies along the ancient routes remained in the lives of people in these areas. Because of these reasons, UNESCO initiated an on-line platform for the shared heritage in 2013 which provides many useful resources regarding to the diverse great civilizations along with the old routes. However, its focus remains limited to the various information and materials from the UNESCO’s Lists of cultural heritage. We suggest thus that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active platform representing the many cultural groups and communities on the Silk Roads is crucial for safeguarding ICH. The new ICH platform is unauthoritative and egalitarian, forming equitable relationships among the relevant groups and communities by reducing the gaps between both digital networked readiness and the UNESCO lists of cultural heritage on the Silk Roads. Our platform, which is based on an interactive, integrated and free-of-charge model, is suggested for a more effective safeguarding of ICH on the Silk Roads.

      • KCI등재후보

        평양랭면, 바게트, 보르쉬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음식 종목의 특징과 시사점

        함한희,오세미나 무형유산학회 2023 무형유산학 Vol.8 No.1

        2003년 채택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협약(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은 인류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협약은 문화 다양성 및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며,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상호 이해를 장려한다.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국제협약을 이행하기 위해 매년 정부간위원회를 개최한다. 이때 무형유산 보호에 대한 여러 가지 이슈를 다루며, 그 일환으로 긴급보호목록(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모범사례(Register of Good Safeguarding Practices),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을 선정한다. 2010년 프랑스와 멕시코의 전통음식이 등재된 이후 음식문화유산이 지속적으로 등재되었는데, 2022년 모로코에서 개최된 제17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는 이례적으로 음식문화유산이 상당수 등재되었다. 10개국에서 제출한 총 9건(아제르바이잔, 튀르키예의 공동 등재)의 음식문화유산이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및 긴급보호목록으로 선정되었다. 본고는 2022년 등재된 음식문화유산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음식문화의 의미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본다.

      • KCI등재후보

        이북5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목 현황과 과제

        홍태한 무형유산학회 2021 무형유산학 Vol.6 No.2

        이 글은 이북5도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제시한 글이다. 현재 북한 지역 무형문화재 지정과 관련한 법률로는 <무형문화재 진흥 및 보전에 관한 법률>과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있어 규정 항목이 있지만 대단히 포괄적이다. 현재 이북5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은 총13종목으로, 공연예술 8종목, 사회의식 4종목, 전통기술 1종목으로 종목의 편중이 보이고,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에 쏠림 현상이 나타난다. 이북5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여러 종목은 주로 무대에서 열리는 공연예술로 지역성이나, 공동체성 없이 전승될 수 있다. 개별 종목을 지정할 때 전승 지역과의 관련성, 전승 공동체의 실상, 과거부터 지속된 해당 종목의 실체 파악 등이 이뤄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지정된 종목이 실제로 이북5도와 연관이 있는지를 명칭 중심으로만 살필 것이 아니라 내용까지 살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 이북5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은 남쪽에서 지정된 것으로 북한지역과의 지명, 명칭, 형식에서의 관계성은 인정되지만 북한 지역의 실제 전승 여부는 파악되지 않았다. 몇몇 종목은 국가나 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려 애썼지만 결국 지정받지 못해 이북5도로 지정받아, 이북5도 지정 무형문화재 종목의 정체성에 상당한 의문을 제기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책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북5도 무형문화재는 이북5도를 기반으로 했지만 지금은 남쪽의 문화가 되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북한의 문화를 포용적으로 받아들인다. 별도의 무형문화재로 존재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남쪽의 무형문화재 제도에 포함하면 된다. 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면서 세부 종목명칭에 이북5도 관련을 표기한다거나, 아니면 표기없이 그 가치를 그대로 인정하여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면 된다. 국토는 미수복이지만 문화는 이미 수복한 것으로 본다. 국토는 남북으로 분단되었지만 문화는 한민족의 문화가 되어 하나의 흐름을 가지고 있다. 이를 굳이 시도 무형문화재와 이북5도 무형문화재로 나누는 것은 의미가 없을뿐더러 오히려 남북의 이질화를 더 가져올 뿐이다.

      • KCI등재후보

        유네스코 등재 이후 제주 해녀공동체의 도전과 과제 -‘유산화 (heritization)’ 과정을 중심으로-

        함한희(Hahm, Hanhee) 무형유산학회 2017 무형유산학 Vol.2 No.2

        국내에서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는 종목이 점차 증가하면서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판단아래서 본 논문이 작성되었다.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에 대한 성찰이 국제적인 학술 영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해녀문화가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전후해서 ‘유산화’ 과정을 겪었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해녀문화의 유산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보았다. 하나는 해녀공동체의 성격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마을단위의 공동체에서 제주도 전체에 산재해 있는 여러 해녀공동체를 하나로 묶은 새로운 상상의 유산공동체가 탄생한 것이다. 유네스코 협약체제의 영향이 국가의 헤게모니를 강화시킨 것은 명백하지만, 개별 공동체 중심의 보호에는 힘을 미치고 있지 못한 점이다. 마을단위 해녀공동체의 실제 운용력, 상군의 지도력 등이 정부의 상명하달식 정책으로 대체될지도 모른다. 자발적이고 자체적인 운용의 힘 대신 정책적 의존도가 높아질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등재 이후 해녀와 공동체에게 새로운 임무와 과제가 부여된다는 점이다. 그것은 ‘유산만들기’에 많은 시간과 힘을 기우려야 해서 과거와는 다른 국면을 경험하게 된다. 해녀문화가 제주도 전체의 문화적 상징과 정체성으로 부상하면서 해녀들은 홍보, 관광, 교육, 공연 등 생업 이외의 대외 활동에 나서야 하는 일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This article is prepared under the judgment that the issue of increasing elements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Korea should be addressed. The reflective studi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afeguarding policy of UNESCO which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international scholarship has affected my study to a great extent. In this article, it is noted that the culture of women divers in Jeju has undergone the heritization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inscription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in 2016. Two problems are indicated in the process of heritization of the culture of women divers. One is that the character of the women divers’ community has changed. A new imaginative heritage community has been created by tying together various women divers village communities scattered throughout Jeju Island. It is clear that the influence of the UNESCO Convention strengthens the hegemony of the state, but it may not have the policies to protect individual village communities. Actual operating engin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leadership of the superior haenyeo may be replaced by the government"s top-down policy. It is concerned that policy dependence will increase instead of voluntary and self-management power. Secondly, new duties and assignments are given to the women divers in Jeju after the inscription. It has to spend a lot of time and energy in making ‘heritage’, so it experiences a different phase from the past. As the culture of women divers emerged as the cultural symbol and identity of Jeju Island as a whole, it became more and more necessary for them to engage in outside activities other than livelihood, such as publicity, tourism, education and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