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開城, 朝鮮後期 實學思想의 搖籃

        元裕漢 東國歷史敎育會 1996 동국역사교육 Vol.4 No.-

        그렇다면, 학계가 개성지방을 실학사상의 요람 내지 발생지로 보는 시각에서 오늘날까지 이렇다 할 만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아마도, 그 중요한 이유는 사대부 후손을 포함한 개성지방의 고려 유민들이 조선왕조에 不服, 상공업에 종사하고 과거시험을 위한 학문연구를 기피하고 경향이랄까. 풍조 때문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하여 일찍부터 개성지방의 생활의식 내지 社會思潮化한 실학사상이 文字로, 아니 학문적으로 정리ㆍ체계화되어 이렇다 하게 오늘날까지 전승되는 것이, 과문한 탓인지 모르겠으나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개성지방에서는 조선왕조 초기부터 실학사상 지향적 생활의식내지 사회의식이 그 당시의 생활의식화 내지 사회사조화되고 있었으면서도, 학문적으로 정리ㆍ체계회되어 오늘에 전승되는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로써, 실학사상이 주로 학자들이 남긴 個人文集을 중심으로 고찰되고 있는 학계의 연구풍토에서, 개성지방이 실학사상의 요람 내지 발생지와 관련해서 주목받지 못하고있었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끝으로 개성지방을 조선 후기 실학사상의 요람으로 보는 시각과 관련해서 한 가지 덧붙여 두고 싶은 점이 있다. 그러니까, 한국역사가 봉건왕조의『經國大典』적 사회질서를 극복하고 근대사회를 지향하는 과정에 있어,『經國大典』적 사회질서와 親和的 관계에 있는 지역이었느냐, 아니면 대립ㆍ갈등 관계에 있는 지역이었느냐는, 그 지역이 한국역사의 근대화 과정에 기억했는지 여부를 헤아리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봉건 조선왕조의『經國大典』적 사회질서를 극복하고 근대사회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회사조로 대두된 실학사상이나 開化思想은 성리학적 통치이념에 기반을 둔『經國大典』적 제반 사회질서로부터 소외된 주변지역 내지 변방지대에서 생성ㆍ발전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立論이 설득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어찌 보면 '아놀드 토인비'의 '挑戰과 應戰의 논리' 역시 위와 같은 입론의 설득력을 보강해 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 1865~90년간 미국내의 對外膨脹論에 대한 小考

        姜宅求 東國歷史敎育會 1991 동국역사교육 Vol.3 No.-

        1865~90년간에 논의되던 해외팽창론의 동기는 몇 가지로 나타난다. 이는 미국의 내적 팽창(Westward Movement)의 종결에 따른 새로운 영토에 대한 동경심, 잉여농산물의 판로에 대한 우려를 종식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팽창론의 대두, 그리고 미국대륙이 태평양과 대서양을 이어주는 정치, 경제 중심지로서의 세계사적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대륙주의론(Continentalism) 및 우월한 미국문화의 전파라는 측면 등이다. 그러나 팽창론에 대한 전반적인 국민적 동의는 1880년대 들어서며 보다 구체화되는 징후가 보이고 있다. 이는 1870년대의 경제공황을 벗어나는 데 미국의 농업생산력이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국내외적 재평가와 이러한 미국농업의 저력에 대한 유럽국가들의 강력한 견제가 그 시발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당시 미국의 많은 정치인, 여론들은 미래의 라이벌 국가들과의 통상전쟁에 대한 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결국 이러한 움직임은 종전까지 해외시장 개척론 및 팽창에 대해 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던 보수세력과의 극적인 타협을 낳게 하였고, 이의 결과는 극단적 膨脹論者들의 요구에는 미치지 못하였을지라도 미국역사에 있어서 처음으로 본격화되는 해군의 군비확장이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국면에서 평가할 때 이 시기의 미국 외교의 주류가 적극적인 膨脹主義(Aggresive Expansionism)였다고 주장하기에는 큰 무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차후 1898년을 전후하여 유럽열강들이 본격적을로 아시아 진출을 시도하였다는 점과, 또 이에 자극받은 미국이 미-스페인전쟁을 일으켜 태평양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했음을 고려할 때 이 시기의 膨脹主義論은 아직까지는 분명히 소극적 혹은 觀望的 膨脹論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바꾸어 말해 이 시기의 다수 일반 여론과 정치인들은 대외 팽창에 대해서 아직은 조심스러운 保守的 입장을 견지하였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