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리스이용자의 리스회계정보 공시실태 분석

        임인환,이중희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7 會計情報리뷰 Vol.- No.2

        이 논문은 우리 나라의 상장법인들이 리스회계정보를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라 공시하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상장법인의 1995년도 감사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운용리스를 이용하는 기업은 129개, 금응리스를 이용하는 기업은 45개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재무제표의 본문에 나타난 '운용리스료' 관련 계정과목은 10개, '금융리스부채' 관련 계정과목은 7개였다. 이러한 공시는 표현의 충실성과 비교가능성을 저해하게 된다. 한편 주석으로 공시된 내용을 검토한 결과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공시하지 않은 기업이 많았다. 이는 주석공시를 통하여 충분히 공시하려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회계정보이용자를 오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첫째, 증권관리위원회는 리스와 관련된 회계정보를 재무제표의 본문에 공시함에 있어서 어떤 계정과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 결과를 리스회계처리기준에 포함하든지 아니면 예규 등의 수단을 통하여 제시해 주어야 한다. 둘째, 한국공인회계사회는 공인회계사들을 대상으로 리스회계 정보의 공시와 관련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감사보고서에 대한 감리를 할 때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라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석으로 충분히 공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중요성 판단과 결부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한계를 가진다.

      • 知識과 情報社會의 會計學

        鄭基英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7 會計情報리뷰 Vol.- No.2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어려운 것이어서 미래학자들 조차도 예측이라는 단어의 이용을 꺼려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지식과 정보의 양이 엄청나게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이용하여 개발된 컴퓨터를 위시한 과학적 기계장치들이 우리들의 생활에 깊숙히 침투하고 있다. 사회 및 경제적 환경이 급변하고, 기술의 발전속도가 빠르고,사람들의 사고와 행동 변화의 방향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 한 시점에서 소위 미래쇼크를 논의한다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울지 모른다. 우리는 인류문명의 발전을 富의 창출이란 관점에서 농업사회, 산업사회, 초산업사회(지식과 정보사회)로 분류할수 있으며 각 단계의 실상과 특성을 다른단계의 그것들과 비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각 단계의 실상을 Toffler의 미래쇼크, 제3물결 및 권력이동과 Naisbitt의 Megatrends, Drucker의 미래의 결단과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등 거시적 분석문헌을 참고로 요약하고, 지식과 정보사회의 특성을 간추려 본다. 회계란 기업의 언어요, 이해관계자들에게는 정보의 원천이기 때문에 각 문명의 단계에서 어떤 특징적인 회계실무나 회계연구가 존재했으며 이런 사실이나 사건들이 당해 문명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한 결과 각 단계의 문명의 특색과 일치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론은 지식과 정보사회의 특성을 일반화할 수 있다면 지식과 정보사회의 회계연구와 실무가 어떠한 모습을 가질 것인지를 내다볼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변화하고 있는 회계와 관련 있는 경영기법을 살펴보고, 미래사회의 특성을 적시하기 위한 탐색을 기울임과 동시에 이들에 근거하여 미래회계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 한국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방법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오병철,정건영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7 會計情報리뷰 Vol.- No.2

        한국의 기업회계기준은 선택적으로 연구개발비의 이연자산화를 허락하고 있다. 즉, 연구개발비의 자산화 조건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연구개발비의 자산화 혹은 비용화가 경영자의 임의적 선택에 달려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경영자의 연구개발비에 대한 회계선택이 기업의 특성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와 다른점은 표본기업을 상장기업에 국한하지 않고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 기업까지 확장하였으며 확장된 표본으로 실증적 회계이론에서 정치비용과 관련하여 이미 일반화된 규모의 가설이 우리나라에서 기각된 연구결과를 재검증하고 정치적비용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실정에 보다 적절한 변수가 될 수 있는 자본집약도를 사용하여 가설검증하는 것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처분이익잉여금에 대한 배당금 비율이 높은 기업은 연구개발비를 자본화 한다. (2)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은 연구개발비를 자본화 한다. (3) 기업규모와 연구개발비 회계처리방법 선택과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와 경영자의 임의적 판단에 따라비용화 또는 자본화로 그 회계처리가 가능한 연구개발비에 관한 현행 기업회계기준에 비추어 경영자의 자의적인 회계처리방법의 선택으로 인한 이익조작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재무보고의 목적과 재무보고시스템의 정직성에 대한 규제기관의 책임에 비추어 연구개발비에 대한 현행 기업 회계기준의 재 검토가 필요하다.

      • 한국의 재무보고를 위한 회계기준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

        鄭建永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5 會計情報리뷰 Vol.- No.1

        회계는 사회·경제적 환경, 즉 회계환경속에서 생성되고, 회계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변천·발전되어 나간다. 한국에 기업회계제도가 하나의 사회제도로서 정착되어 학계와 실무계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58년「기업회계원칙」과 「재무제표규칙」이 성문화 되면서 부터였다. 한국은 1950년 후반기에 경제부흥을 지상의 과업으로 삼고 기업의 합리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당시의 산적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업회계제도를 긴급히 확립하고 정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같은 사회·경제적 필요에 따라 기업회계실무를 지도하는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회계기준이 1958년의 「기업회계원칙」과「재무제표규칙」이다.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한국의 회계제도는 변천·발전을 거듭하여 1981년에 기업회계기준이 통합제정된 이래 6차에 걸쳐 개정된 현행「기업회계기준」과「연결재무제표기준」, 2개의 업종별회계처리기준, 그리고 5개의 준칙과 123개의 예규를 포함하는 재무보고를 위한 회계기준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현행 기업회계기준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 적지 않은데다 기업의 세계화로 인하여 경영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고, 증권시장의 개방 및 규모의 확대로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적정공시의 요구가 증대되어 현행 기업회계기준의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현재 증권관리위원회에서 현행「기업회계기준」에 대한 대폭적인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회계기준의 설정기구와 절차를 살펴본 후에 한국의 재무보고를 위한 회계기준의 과거를 오늘에 비추어 역사적으로 조명하고 현행 기업회계기준의 구성과 체계의 특징을 분석하며 앞으로 기업회계기준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전망과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經營事例 硏究 : H 企業의 IS監査 中心으로

        金榮建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7 會計情報리뷰 Vol.- No.2

        情報시스템 監査制度는 企業의 內部統制 制度의 하나로 21C 情報化 社會를 準備하는 오늘날 企業에 주어진 重要한 課題中 하나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情報시스템 監査制度가 定着되지 못한 時點에서 自發的인 監査 및 指導를 要請한 일이나 事禮硏究를 한 것은 대단히 意味가 있다. 本 事禮硏究는 1985年度에 H事例 企業이 業務의 電算化를 위해 컴퓨터 시스템을 導入하 여 情報시스템을 着實히 構築해 가고 있는 企業의 情報시스템 構築過程에 대한 監査 및 指導를 한 事禮硏究다. 특히 H事例 企業은 全社的인 MIS를 構築해 가는데 있어서 큰 障碍要因으로 MRP의 情報化가 不可라 判斷하고 監査를 要請하였으나 그 監査 結果, 그 障碍要因은 다른데 있었음을 發見하고, 이것을 經營管理者에게 修正·補完하도록 勸告하면서 앞으로 계속하여 情報시스템 監査의 實査가 많이 이루어지고 또 健全한 情報化 社會建設이 定着되어져야 함을 强調하는 바다.

      • 내부통제 관련 한국 회계감사기준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

        崔永坤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7 會計情報리뷰 Vol.- No.2

        우리나라에서 내부통제 관련 규정은 1961년 제정된 회계감사기준에 처음 등장한 이래 1972년 감사준칙제정, 1982년의 기준 및 준칙의 개정 및 1992년의 재개정과정을 거치면서 계속적으로 변화.정제되어 가는 중이다. 이러한 개정과정에서 미국의 회계감사기준(SAS)의 관련 내용이 상당부분 반영된바 있으며 최근 발표된 SAS No. 78은 우리나라 내부통제 관련 규정의 개정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내부통제시스템의 설계와 내부통제 검토·평가를 위한 우리나라 회계감사기준 및 준칙의 시대별 변천배경과 내용을 살펴보고 SAS No. 78의 시행에 따른 우리나라 회계감사기준 및 준칙상의 내부통제 관련 규정의 개정방향과 전망을 다루었다.

      • 文化的 要因과 會計

        鄭基英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5 會計情報리뷰 Vol.- No.1

        회계는 언어와 법률과 마찬가지로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여 가는 제도적 산물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치·경제·법률·문화 등 환경적인 요인과 회계시스템의 개발에 관련된 이론 또는 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Hofstede 이후 몇몇 학자들에 의하여 논의되고 있는 중에 있다. 본 연구는 문화적 가치차원으로서 지적된 개인주의, 권력간격, 남성미와 서양에 독특한 불확실성 회피, 동양에 스며있는 장기적 관점(시간적 지향성) 등을 이용하여 회계가치차원 즉 전문가주의, 통일성, 보수주의, 비밀주의에 관련시키고 나아가 공중이해관계를 회계가치차원의 요인으로 첨가하여 논의를 확장 시켰다. 논의결과 요약된 정리들은 일부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사항도 있지만 위에서 지적한대로 본 연구는 상당한 부분 확장되고 분리된 것이기 때문에 미래 경험적 검증의 대상이 되는 탐색적 연구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Accounting, like language and law, is institutional product of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a theory or model has not been developed until recently which relate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olitics, economics, law, and culture to the development of accounting system. It is certain that several studies has been done after Hofstede's seminal research. This study used 3 cultural factors as common world-wide which are individualism, power distance, masculinity and uncertainty avoidance as a specific facotor to the Western world and long-term orientation as the one to the Oriental side(e.g. China, Japan, HongKong, Korea). And also 4 accounting sub-culture (values) factors are discussed which is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ed by the culture factors. In addition to those 4 accounting sub-culture items, this study extended the discussion with using one more item, i.e., public interests. Some of the propositions given in this paper has been empirically proved, however, this study extended the previous studies and one cultural factor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specific regional area. The level of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one and the propositions resulted by the examination of cultural factors and sub-values of accounting given in this study remain to be empirically tested.

      • EVA의 本質과 회계학적 含意

        申洪哲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5 會計情報리뷰 Vol.- No.1

        1990년대 마이클 해머 교수가 비지니스 리엔지니어링 개념을 소개한 이후 경제적 부가가치(EVA)개념이 산업계 전반에 강타하고 있음을 본다. EVA는 1993년 포츈지가 특집으로 소개한 이후 주로 컨설팅회사의 주도하에 미국내 유수기업의 새로운 성과평가 측정치로서 활용되고 있다. EVA는 법인세전 순이익에서 자본비용을 차감하여 계산되며 사업단위별 영업활동의 진정한 수익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미국 우량기업들은 경영자의 인센티브 계획에 EVA를 도입하고 있으며 기업의 실질 성과개선에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들을 사례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EVA 효과와 관련된 실증연구도 요약하고 있다. 그러나 EVA도 종전의 잔여이익과 다를 바 없고 EVA 역시 경영자를 과거지향적으로 만든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본 연구는 EVA와의 유사한 개념으로 시장부가가치(MVA), 주주가치증가(SVA), 현금흐름투자수익율(CFROI)등을 비교하고 있다. 나아가 회계규정의 한계를 인식해야 하고 불비한 규제는 과감히 포기해야 하며 자기자본 비용의 인식등의 관점에서 EVA의 회계학적 함의를 논의하고 있다. An introduction of the business reengineering concept was given by professor M. Hammer in the first half of 1990, then the concept of economic value added (EVA) hit all the industries throughout the U.S. The EVA, introduced by the Fortune as its special edition in 1993, has been used as a new performance evaluation estimate of the US leading firms mainly initiated by the consulting firms. The EVA is calculated as a difference of the net income before taxes and capital cost, and defined as a method to evaluate a real return of each department operating activities. Almost all of the US leading firms have introduced the EVA in their management incentive plan and they also have used in their improvement of the real performances. This study discussed these facts through using several cases and summarized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related to the effects of the EVA.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EVA and the similar concepts such as the market value added (MVA), shareholder value analysis (SVA), and cash flow return on investment (CFROI). However, the EVA has no big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ior residual income(RI) and it also makes managements as past-oriented agents. The study emphasized the limitations of accounting standards, and discussed a recognition of the capital cost as accounting implications of the EVA.

      • 製造間接費 配賦 및 原價動因에 관한 事例硏究 : 製造業體 中間管理層의 原價마인드에 대한 認識水準 分析

        金六德,朴武鉉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5 會計情報리뷰 Vol.- No.1

        전통적인 관리회계실무는 현재의 제조환경에 비효과적이고 진부하다는 주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와 더불어 구미에 소재하고 있는 G전자회사 L사업부를 대상으로 제조간접비 배부 및 원가동인에 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사업부의 경우 가공비 배부기준으로서 표준시간 (ST:Standard Time) 단일기준에 의해 제품별 가공비 배부가 이루어진 결과로 인해 제품원가가 왜곡되고 있었으며, 자동삽입부서의 공정별 원가에 의하면 同 部署의 原價動因은 표준시간이 아니라 자동삽입회수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함께 同 事例에 대하여 관리회계부서, 경리부서, 기획부서, 상품기획부서, 마케팅부서, 생산부서 관리자 및 담당자들과의 인터뷰에 의하면 소위 스텝부서인 경리부서, 관리회계부서, 기획부서의 관리자 및 담당자들이 관리회계 시스템의 변화에 가장 저항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aditional management accounting practices have come under increasing criticism for being ineffective and obsolete in today's manufacturing environment. After we studied prior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allocation of overhead and cost driver selection, also interviewed management accounting department manager, manufacturing department manager and oversea's sales manager in Gumi G Gorporation L division. Through this case study we can identify new cost driver and distortion due to mis-allocation of overhead. Im addition, we can also observe the severe resistance of cost accounting department managers toward the changes of existing cost accounting system.

      • 원가시스템이 製造環境의 變化에 適應하고 있는가?: : A Cas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한국제조기업의 경우

        이찬호,안태식 啓明大學校 會計情報硏究所 1995 會計情報리뷰 Vol.- No.1

        제조환경의 변화에 따라 원가/관리회계시스템이 변화하여야 한다는 것은 국내외의 여러문헌에서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주장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과연 원가시스템이 제조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제조공정의 자동화, 생산제품의 다양화, 제품수명주기의 단축 등으로 대표되는 제조환경의 변화와 한국제조기업의 원가시스템의 설계변수와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되 표본수를 확대하고 분석에 포함되는 변수의 종류를 확대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한국제조기업이 제조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원가시스템을 새롭게 재설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우며, 이것은 신원가시스템에로의 전환시 예상되는 조직의 저항에 대한 관리와 대규모의 투자재원의 조달등과 최고경영층의 강력한 의지가 없이는 신원가시스템으로의 변화가 불가능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Many researchers in cost/management accounting have addressed that cost/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must adapt to the recent changes in manufactur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firms' costing systems are adjust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esign of costing system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and the recent changes in manufacturing environment that are represented by factory automation, product variety, and short product life 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irms' cost structures are adjusting to their factory automation and companies with highly automated production processes use more machine-hour-related allocation bases. It was expected that product variety would facilitate the adoption of more sophisticated costing systems to prevent cost distortions, and the shortening of product life cycle would decrease the usefulness of standard cost system and de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w cost as a key success factor.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did not support those expect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orean manufacturing firms appear to not revising their costing systems commensurate to the changes in their operating environment. This finding implies that firms are not likely to adopt a new costing system unless there are top management's strong commitment to the transfer to the new system, financial sources for the transfer, and adequat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resistance against the transfer. The Effect of Accounting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Managemen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