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과 한국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학생-교사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Wu Linyan(吳琳焰),오인수(吳仁秀),Li Mingji(李明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 399명과 한국 초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중국과 한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스트레스, 학생-교사의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중국과 한국 간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스트레스, 학생-교사의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와 학생-교사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민주적 양육방식, 권위주의적 양육방식, 스트레스, 주관적 안녕감, 학생-교사 관계는 중국이 한국보다 높았고 허용적 양육방식은 한국이 중국보다 높았다. 둘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한국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생-교사 관계가 유의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 중국과 한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스트레스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생-교사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교사 관계는 증가된 스트레스로 인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이 감소되는 상황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생의 관계적 측면에서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상담 방법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rough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99 Korean and 400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students perceived higher level of democratic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stress, subjective well-being,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students perceived higher level of permissive parenting style. Second,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tress was found for Chinese students between parents"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while perfect mediation effect of stress was found for the Korean student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moderated by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 both countries. Based on these results, effective intervention was discussed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in terms of their stres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