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1년 춘계 황해 목시조사에 의한 밍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의 풍도 추정

        손호선,김장근,Tomio Miyashita 한국수산자원학회 2001 한국수산자원학회지 Vol.4 No.-

        직선횡단법에 의한 황해의 춘계 밍크고래 목시조사는 2000년 52차 국제포경위원회 과학위원회에서 승인된 조사계획에 따라, 2001년 4월 18일부터 5월 17일까지 30일간 국립수산진흥원 조사선 탐구3호(360 G/T, 선미트롤형)를 이용하여 경도 123˚-126˚ E와 위도 34˚ 18'-37˚ 18' N사이의 수역을 조사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조사는 짙은 안개와 기상등 목시조건의 악화로 계획된 직선항로의 56.9%인 총 810.5 n.m.을 조사할 수 있었으며, 1차 목시노력으로 연안에서 20군 21두, 외해에서 8군 8두로서 총 28군 29두를 발견하였다. 조사거리(L)당 발견율은 0.035 pod/n.m., 조사시간에 대한 발견율은 0.414 pod/hour였다. 발견 밍크고래의 분포는 위도 35˚N이북에 분포하였으며 위도 35˚50' 이북 수역의 연안과 외해에서는 밀집 분포하였다. 2. 관측 위치별 발견은 총 28회의 목시중 13회는 망통에서, 14회는 상갑판에서 1회는 망통과 상갑판에서 동시에 발견되어, 발견의 77.7%가 4명의 관측자 중 2명의 관측자에 의해 이루어져 목시관측자의 개인적 능력에 따라 발견율은 크게 좌우되었다. 3. 총 28회의 밍크고래 목시별 풍력계급은 보퍼트풍력계급 2에서 7.1%, 3에서 67.9%, 4에서 25.0%로 나타났다. 4. 발견고래의 직선항로로부터의 수직거리 빈도분포는 직관으로 대략적인 half-normal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최대 수직거리는 0.9 n.m으로 나타났으며, 고래발견 수직거리의 어림오차에 대한 발견각도와 거리의 보정치는 각각 13.220과 0.2000이었다. 빈도 분포의 절사는 세가지 주요 모델 (Uniform, Half-Normal and Hazard-Rate models)과 세가지 보정방법(Cosine, Simple polynomial and Hermite polynomial methods)으로 계산한 결과, Half-Normal 모델이 가장 낮은 AIC 값을 나타내었다. 5. 추정된 풍도는 가장 낮은 AIC 값을 나타낸 Half-Normal 모델에서 1,685두(변동계수 23.89%, 95% 신뢰구간 1,042-2,726)이었다. 고래류의 풍도 추정에 가장 좋은 적합도를 보이는 Hazard-Rate 모델에서는 1.267두(변동계수 23.46%, 신뢰구간 789-2,034)이었다.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and to estimate the abundance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Yellow Sea, we conducted a whale sighting survey onboard the R/V Tamgu 3 (360 G/T), from mid-April to mid-May 2001. The survey area was bounded on the longitude by 123˚-126˚ E and on the latitude by 34˚ 18'-37˚ 18' N, which was 15.7% of the whole area of the Yellow Sea. The whale sightings were made in naked eyes, where closing mode was us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the pod size estimation. The total distance surveyed was 810.3 n.m., which was 56.9% of the plan (1423.5 n.m.) due to the inadequate sighting conditions, strong northwest wind and heavy fog. 28 schools (29 animals) of minke whales were observed in primary sightings and 1 school (1 animal) on off-effort, of which 20 schools (21 animals) in the coastal area and 8 schools (8 animals) in offshore. Sighting rate per distance and hours were 0.035 pod/n.m and 0.414 pod/hour, respectively. Sightings of minke whales were made north of 35˚ N and showed aggregation north of 35˚ 50' N both in the coastal and offshore areas. Sighting allocation between top barrel and upper bridge was almost equal but that by observer was highly biased to 2 observers who made 77.7% of the sightings. Perpendicular distance sampled showed quasi half-normal distribution with 0.9 n.m. of extreme right tails. Rounding errors of distances and angles made by observers were smeared 13.220 and 0.200, respectively. Of the models examined for accuracy and precision in terms of AIC and CV, we adopted Half-Normal model, which estimated 1,685 animals (CV=23.89%, 95% C.I.(1,042-2,726)) in the survey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