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Kimchi and Spaghetti

        Thomas Russell(토마스 러셀)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씨네포럼 Vol.0 No.14

        웨스턴영화의 종말은 지금까지 여러 번 반복되어 언급되었지만, 계속해서 이 장르의 회기를 도모하기도 한다. 토마스 샤츠는 그의 저서 『할리우드 장르: 형식, 제작, 스튜디오』에서 “웨스턴영화는 문화적 자료와 내러티브와 주제적 모티프의 근원으로 존재한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의 경우를 예로 들면, 이 영화는 미국 재건시대의 탄광, 마을, 사막이라는 배경을 1930년대 만주로 부활시켰다. 이 영화는 최근 한국영화에서 첫 웨스턴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K-오터(한국형 웨스턴)”라는 타이틀도 얻게 되었다. 그리고 이 영화는 웨스턴과 하위 장르로서 “스파게티 웨스턴”의 장르적 요소를 잘 그리고 있다. 특히 세르지오 레오네의 〈석양의 무법자〉(1966)와 스타일적으로 많은 유사점이 존재한다. 장르로서 웨스턴은 즉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아이콘과 주제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총 싸움, 막판대결, 술집, 총, 개척자, 마을, 기차, 사냥꾼, 악당, 신비한 독불장군 등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샤츠에 따르면 웨스턴은 미국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서 중요한 마스터 키로 여겨질 수 있다. 특히, 웨스턴의 장르적 개념으로 기억된 개척자 정신의 신화는 미국의 국가 정체성과 특성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웨스턴은 미국의 국내외 정치를 비판하는데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 이 장르는 스파게티 웨스턴의 형식과 관련해서 질문을 받기도 한다. 스파게티 웨스턴은 웨스턴의 논쟁적인 부분을 점하고 있는데, 스파게티 웨스턴은 시각적이고 음악적인 스타일과 리얼리즘적이라는 부분에서 할리우드 웨스턴의 열등적 모방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프레일링에 따르면, 스파게티 웨스턴은 미국과 유럽 문화의 특이하고 잠재적인 교차수정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교차수정 시각을 스파게티 웨스턴과 김치 웨스턴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리메이크와 장르적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김지운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과 세르지오 레오네의 〈석양의 무법자〉에 대한 비교연구라고 할 수 있다. 레오네 영화의 내러티브와 주제적 모티프를 조사함으로써 김지운의 영화가 어떻게 한국의 역사적, 문화적, 국가적 정체성을 리메이크를 통해서 제시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The western’s obituary has been written time and time again yet somehow it always manages to rise from the dead in one form or another. In his influential book Hollywood Genres : Formulas, Filmmaking, and the Studio System, Thomas Schatz points out “…the Western lives on both as point of cultural reference and as a source of narrative and thematic motifs…” (Schatz 74). In the case of Kim Jee Woon’s The Good, the Bad and the Weird (Kim 2008), the Western has been resurrected and transported from the mining camps, boomtowns and deserts of Reconstruction era America to 1930s Manchuria. The film is South Korea’s first entry in the Western genre and is credited with launching a new genre, the “K-oater” (Elley 35). The film draws heavily on generic elements of the Western and the sub-genre the “Spaghetti Western”, especially the works of Sergio Leone, particularly Leone’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As a genre, the Western has been especially noted for its immediately recognizable iconic and thematic elements: gunfights and showdowns, saloons and sixguns, the frontier and the town, trains, bounty hunters, bandits and mysterious loners who drift into town and ride off into the sunset. The Western has been considered a “master key to unlocking and understanding the most basic elements of American identity” (Schatz 54). In particular, the myth of the frontier, encoded within the generic tropes of the Western has been “assigned a central, even defining, place in the foundation of American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character” (Schatz 55). The Western has also been used to comment on or criticize American domestic and foreign policy, and to interrogate concepts of social and gender identity. The genre has itself been interrogated in the form of the Spaghetti Western. The Spaghetti Western occupies a controversial place within the genre. It has been described as “an inferior imitation of the American Western, a revitalization of the same in terms of visuals and music, or in terms of added realism” (Fridlund 3). For Frayling, it “represented an extraordinary and potent cross-fertilization of American and European cultures” (Frayling vi). It is this idea of cross-fertilization that I wish to examine in regards to the latest incarnation of the “Spaghetti Western”, the so-called “Kimchi Western”. My essay will undertake a close examination of Kim’s The Good, The Bad, and The Weird and Leone’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n order to expose the operations of genre and culture in cross-cultural remakes. By examining the “narrative and thematic motifs” that dovetail with and differentiate the film from Leone’s film, I will show how Kim uses the remake to investigate Korean historical, cultural and national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