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flections on a digital photograph of a painting by Lee Ufan

        Simon Morley 서양미술사학회 2023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9 No.-

        A popular abbreviation online these days is ‘IRL’ – ‘In Real Life’ –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relationship we have in the digital realm and one in the analogue, ‘off-line’, world. As more and more people spend time online or on smartphones, it is becoming an increasingly significant task to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Because of this, recognizing the role of painting as a material and transformational medium is more important than ever. We are culturally conditioned, indeed, obliged, to accept digital images of paintings as credibly accurate reproductions of the works they document. But it is obvious that these protocols are radically circumscribed. I argue that while an encounter with a real painting is to a significant degree empirical - based on, concerned with, or verifiable by observation or experience – an encounter with its digital document will be overwhelmingly nonempirical, abstract, or theoretical. To focus my analysis, I consider the digital reproduction of one painting in particular: Lee Ufan’s Dialogue (2014). I argue that a normative digital reproduction of Lee’s painting exposes a specific cultural bias towards the visual that is going unnoticed and is therefore all the more insidious.

      • KCI등재

        ‘역사화’ - 동시대 한국미술과 한국전쟁

        사이먼 몰리(Simon Morley),박미주(번역자),이예은(외),박소현(감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이 글은 국립현대미술관이 개최한 《낯선 전쟁(Unflattening)》전(2020)을 간략히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 전시에 대한 나의 관심은 주로 한국전쟁의 유산에 대한 동시대 한국 예술가들의 반응을 다룬 섹션에 있었으나, 이런 관심을 좀 더 확장하여 동시대 미술과 전쟁에 관한 보다 보편적인 주제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나는 전쟁을 인지적 ‘평면화(flattening)’의 패러다임으로 간주하고, 어떻게 이미지나 이미지-언어의 혼합물이 전쟁을 덜 ‘평면화된’ 시점에서 인식하게끔 할 수 있는지를 질문하고자 한다. 전쟁의 재현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서 나는 먼저 역사서술과 미술사가 어떻게 역사의식을 반영하는지를 살펴봤다. 그리고 ‘역사화’라는 장르를 논하되, 전쟁을 포함한 최근의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모든 예술에까지 그 의미를 확장시켰다. 그리고 나서 다시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로 돌아와 동시대 한국 예술가들의 작품이 한국 전쟁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나의 주장은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한국전쟁에 관한 전시는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불가피한 곤경에 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동시대 미술의 일반적인 양식적 관행이 전쟁과 같은 트라우마적 사건을 당대의 징후들 속에서 다룰 때 특히 문제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I first present an abbreviated overview of the exhibition Unflattening which was recently at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y interest in this essay is primarily on the sections of the exhibition that involves Korean contemporary artists responding to the legacy of Korean War, but I extend this remit to consider some more general issues concerning contemporary art and war. I consider war as a paradigm of cognitive ‘flattening’, and ask how images and image-word hybrids can help us perceive war in general from a less ‘flattened’ vantage point. I make a short detour into historiography and art history in order to discuss representations of war and how they reflect historical consciousness. I discuss the genre of ‘History painting’, and extend its meaning to include all art that engages with recent historical events, including war. I then return to the exhibition at the MMCA to consider how the works by the contemporary Korean artists can aid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I argue that inevitably an exhibition about the Korean War in the Republic of Korea today is hobbled by the fact that the conflict continues, albeit it at a now diffuse level. I also argue that the stylistic conventions of contemporary art in general can prove problematic when dealing with an event as traumatic as war, especially in its contemporary manife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