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on Cell Proliferation in the Fetal Cerebellum of the Guinea Pig

        young-Sig Hyun(현영식),Yoon-Young Chung(정윤영),Sandra Rees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3

        자궁속성장지연은 유아의 신경학적 결함 및 행동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와 관련한 생물학적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또한 뇌발생시 출생전 손상에 영향 받기 쉬운 소뇌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자궁속성장지연의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자궁속성장지연이 태생기 소뇌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세포증식의 변화와 소뇌 성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임신 30일 된 기니픽의 한쪽 자궁동맥을 묶어 만성적인 태반 부전으로 인한 성장지연 기니픽 태자를 만들였으며 태생 60일에 희생시켜 태자의 체중과 뇌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Ki67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태생 60일의 소뇌 바깥과립층의 폭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바깥과립층의 전체 세포 수에 대한 중식세포의 비율의 차이는 정상군과 성장지연군 간에 통계학척 의의는 없었으나 바깥과립층의 폭은 성장지연군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자궁속성장지연이 발생 중인 기니픽 태자의 소뇌 성장을 감소시키지만 이는 태생기 소뇌의 세포 종식과는 연관성이 없음을 나타내 주었다. 또한 태생 60일에 정상문과 성장지연군 간에 바깥과립층 전체 세포 수에 대한 증식세포 수의 비율의 차이는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지연군의 바깥과립층의 폭은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었는데 이는 세포 발생 및 이동 과정의 지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is a risk factor for neurological and behavioral deficits in children although the precise underlying biological mechanisms are unclear. It is also unclear whether IUGR affects cell proliferation in the cerebellum, which is vulnerable to prenatal insults during brain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IUGR affects the altera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the fetal cerebellum and whether this change correlate with reduction in the growth of cerebellum. IUGR was induced via unilateral ligation of the uterine artery in pregnant guinea pigs at 30 days of gestation (dg; term - 67 dg) to produce growth restricted (GR) fetuses. Fetal (control, n=7 and GR, n=7) body and organ weights at 60 dg were measured and Ki67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to detect cell proliferation. The width of the external granular layer (EGL) was also measured at 60 dg. The mean body and organ weights of GR fetuses at 60 dg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portion of proliferating cells to the total cell number in the EGL was not different in GR compared with control animals but the width of the EG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 anima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growth of the cerebellum do not have a well-defined relationship to cell proliferation in IUGR guinea pig fetuses. In addition, despit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roliferating to post-mitotic cells between control and GR fetuses in the EGL at 60 dg, the width of the EGL was in¬creased in GR fetuses compared to controls.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delay in the process of cell production or mi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