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금속 함량에 의한 하천 퇴적물의 구분과 연대 측정

        홍성조,Pretzsch,Kurt 한국지형학회 1999 한국지형학회지 Vol.6 No.1

        독일 니더직센 남부와 헤센 북부에서 중금속 함량 분석을 이용하여 하천 퇴적물을 구분하거나 연대 측정을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네 계곡의 "Aue"에서 중금속 함량과 베라 계곡과 그 지류에서 중금속 함량이 분석되고 해석되었다. 중금속으로 심하게 오염된 라이네 계곡에 비해 베라 계곡에서는 약 10배 정도 약한 중금속 오염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상이한 하천 퇴적물을 구분할 때에는 보링지점으로서 우선 지류와 본류의 합류 지점이나 선상지 부분이 특히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지점에서는 종종 본류 유역과 지류 유역으로부터 유래하는 상이한 하천 퇴적물의 퇴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틀면 라이네의 하천 퇴적물은 중금속 함량이 많은 하르쯔(Harz) 지류에 의해 대부분 오염되었다. 하르쯔 지역에서는 적어도 1000년 전통의 광산작업이 진행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지류들이 오염되었지만 하류에 있는 지류들은 중금속 함량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중금속 함량에 의한 하천 퇴적물의 구분이 여기서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동일한 유역에서 유래하는, 즉 동일한 지질 조건하에서의 하천 퇴적물도 중금속 함량의 극대치와 극소치에 의해 절대적인 시간을 구분할 수 있었다(홍 1995). 중금속 함량 분석방법과 해석은 연구지역에 있어서 퇴적물 구분과 연대 측정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게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하천 퇴적물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며, 연구 결과의 확인 및 보완을 위하여 화분분석과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AAS분석기가 있을 경우엔 비교적 비용면에서 아주 저렴하여 이 방법을 통한 하천 퇴적물의 구분과 연대 측정을 권장하는 바이며, 이를 통한 최근의 토양 오염 상태를 측정하여 그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홀로세에서의 사면침식과 지형특성의 변화

        홍성조,JOISTEN, H .,PRETZSCH,K . 한국지형학회 1998 한국지형학회지 Vol.5 No.1

        중부유럽의 넓은 뢰스지대인 $quot;Hildesheimer 뢰스평원$quot;에서 약 36 ha 크기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지표면에서의 토양침식과 변화를 연구하였다. 농업적 이용에 의해 야기된 토양침식에 대한 주요변수는 사면경사와 상이한 사면형태였다. 약 140개의 보링과 6개의 발굴, 그리고 보링시 얻은 토양표본에 대한 실험실분석으로부터 이 공간내에서의 토양침식강도와 변화에 대한 개관을 종합할 수 있었다. 횡단면 A는 지속적으로 철형의 사면을 나타내며 하부사면범위에서 요형의 경향을 보인다. 이 단면은 중간사면부분에서 강력한 토양침식현상($gt;100 ㎝)을 나타낸다. 횡단면 B에서는 중간사면 아래에서의 철-요형 사면에서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토양침식(30-40㎝) 현상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횡단면 C는 지속적으로 직선상의 사면인데 미약한 토양침식을 나타내는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보인다. 이런 현상은 특히 횡단면 A, B에 비해 작은 사면경사를 통해서 그 설명이 가능하다. 연구지역에서 수많은 보링에 의해서 년평균 토양침식율은 약 0.4 ㎜/1년으로 계산되었다. Zusammenfassung : Im groessten zusamrnenhaengenden Loessgebiet Mitteleuropas, der Hildesheimer Loessboerde, ist ein 36 ha grosses landwirtschaftlich genutztes Versuchsfeld auf die Variablitaet der Bodenerosion untersucht worden. Ca. 140 durchgefuehrte Bohrungen, 6 Grabungen, sowie zahlreiche laboranalytische Untersuchungen der dabei gewonnenen Bodenproben, koennen als Synthese einen guten Ueberblick ueber die Bodenerosionsvariablitaet und -intensitaet in diesem Raum geben. Das Querprofil A zeigt weitgehend einen konvexen Hang, mit konkaver Tendenz im Unterhangbereich. Es weist im unteren Mittelhang die staerkste Bodenerosion($gt;100 ㎝) auf. Beim Querprofil B handelt es sich um einen konvex-konkaven Hang mit einer im unteren Mittelhang ebenfalls starken Bodenerosion(30-40 ㎝ Bodenverlust). Das Querprofil C stellt hingegen ein weitgehend gestreckten Hang dar, der relativ stabile Verhaeltnisse mit geringer Bodenerosion zu verzeichnen hat. Dies ist wohl ueberwiegend durch die geringere Hangneigung gegenueber Querprofil A und B zu erklaeren. Auf Grund der zahlreichen Bohnungen im Untersuchungsgebiet wurde eine durchschnittliche Bodenerosionsrate von ca 0.4 ㎜/Jahr errechnet.

      • SCISCIESCOPUS

        Positive biodiversity-productivity relationship predominant in global forests

        Liang, Jingjing,Crowther, Thomas W.,Picard, Nicolas,Wiser, Susan,Zhou, Mo,Alberti, Giorgio,Schulze, Ernst-Detlef,McGuire, A. David,Bozzato, Fabio,Pretzsch, Hans,de-Miguel, Sergio,Paquette, Alain,H&ea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 2016 Science Vol.354 No.6309

        <P>The biodiversity-productivity relationship (BPR) is foundational to our understanding of the global extinction crisis and its impacts on ecosystem functioning. Understanding BPR is critical for the accurate valuation and effectiv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Using ground-sourced data from 777,126 permanent plots, spanning 44 countries and most terrestrial biomes, we reveal a globally consistent positive concave-down BPR, showing that continued biodiversity loss would result in an accelerating decline in forest productivity worldwide. The value of biodiversity in maintaining commercial forest productivity alone-US$166 billion to 490 billion per year according to our estimation-is more than twice what it would cost to implement effective global conservation.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 worldwide reassessment of biodiversity values,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nservation prioritie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