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CROSS-CULTURAL MENTORING

        Paek Jee-Yon(백지연),Hong Se-Hee(홍세희)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이문화간 벤토링이 멘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5개의 멘토링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한국인 비서 멘티와 외국인 멘토의 이문화간 멘토링이 비서에게 미치는 유익과 도전요소를 파악하였다.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은 동문화간 멘토링과 이문화간 멘토링 모두 이점을 지니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멘토링을 통해 얻는 장점들 외에 이문화간 멘토링을 통해서 얻는 장점들에 대해 큰 만족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말하는 만족의 근거는 외국인과 친분을 쌓으면서 외국인의 시각으로 생각하게 되어 국제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다는 것, 도전적인 업무수행을 통해 직무만족도가 향상되고 경력의 폭이 넓어진다는 것, 언어실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외국인 상사를 보좌하고 있는 현직 비서들과 앞으로 외국인 상사를 모시게 될 예비 비서들은 이 논문의 연구결과에 나타난 이문화간 멘토링 사례들을 통해 외국인 상사와 한국인 비서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국제화된 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에게 외국인과의 멘토링 관계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 그 효능을 알릴 수 있으며, 앞으로의 이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oss-cultural mentoring on proteges. Based on twenty five mentoring cases, this study identifies and analyzed proteges' benefits and challenges from cross-cultural mentoring between Korean secretary proteges and non-Korean mentor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besides the common benefits obtained from both non-cross-cultural mentoring and cross-cultural mentoring, they experienced more satisfaction from being mentored by non-Koreans. Factors of satisfaction include: broadened perspective by thinking in the shoes of a different culture, being able to broaden their career by handling challenging projects, and increased foreign language skills. This study can aid current secretaries and secretaries in training to form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non-Korean bosses and to develop their cross-cultural sensitivity. This paper also contributes to mentoring research by broadening the scope of mentoring practice to meet the needs of the current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more psychosocial aspects including culture.

      • KCI등재

        비서의 창의적 업무수행에 관한 기초연구

        김유리(Kim, Yu-Ri),백지연(Paek, Jee-Yon),조현정(Cho, Hyun-Jung)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비서의 창의적 업무수행에 관한 기초연구로써 현직에 있는 비서들이 실제로 창의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구체적인 창의적 업무수행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계기를 통해 비서가 업무수행에서 창의성을 발휘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따른 비서의 창의적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포함하여 비서직무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요인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는 창의적 업무수행을 하는가? 한다면, 어떤 업무를 창의적으로 수행하는가? 둘째, 비서의 창의적 업무수행의 계기는 무엇인가? 현직 비서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명의 현직 기업 비서들을 인터뷰한 결과, 비서들은 많은 업무를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서가 수행하는 창의적 업무는 개인적 수준에서, 일상적 수준에서 그리고 전문적 수준에서의 창의적 업무수행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비서가 창의적 업무수행을 하게 되는 계기로는 크게 개인요인과 외부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의 하위요소로는 인지적 능력, 내재적 동기부여, 개인성격, 개인의 환경변화가 도출되었고, 외부요인의 하위요소로는 상사요인, 업무요인, 그 외 조직요인이 도출되었다. 상사요인에는 상사의 성향과 LMX, 업무요인에는 자율성과 직무특성, 조직요인에는 조직문화, 교육, 정보교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서의 창의적 업무수행과 관련한 기초 연구로, 추후 후속 양적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비서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창의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reliminary study on the creative performance of secretaries examined whether secretaries perform tasks creatively and, if yes, what those performing tasks are. In addition, the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e performance of secretaries were analyzed.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creative performance of secret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ose previously proven influencing factors and any other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job characteristics of secretaries. This study conducted a critical incident technique interview on 11 incumbent secretarie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ll participants agreed that they perform creative tasks. The creative tasks performed by the secretary were classified mainly as individual level, routine level, and professional level. In addition, the motivation of the creative performance of secretaries was defined by personal and external factors. The personal factors included cognitive ability, intrinsic motivation, personality, and changes surrounding the individual"s environmen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subsequent quantitative research and developing an environment in which secretaries can perform creative tasks more actively, recognizing that secretaries are influenced by personal and external factors.

      • KCI등재

        법률비서 초기 경력자의 경력전환에 대한 연구

        허진(Hur, Jin),김민아(Kim, Min-A),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3

        안정적인 근무환경과 조직의 근로기준법 준수 등 법률비서의 장점이 알려지면서 법률비서로 취업하고자 하는 구직자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입사 초기 이직이나 경력전환을 위해 법률비서직을 그만두는 현상 또한 증가하고 있다. 초기 경력자의 경력전환에 대한 원인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함에도 아직 초기 법률비서의 경력전환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법률비서 초기 경력자의 경력전환의 동기 및 과정과 그 경험이 주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형 법률회사에서 법률비서로 5년 이내 근무 후 경력전환을 경험한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4개의 범주와 10개의 주제묶음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업무상의 한계와 직장 내 관계 및 구조적 어려움, 개인적 요인의 동기에 따라 경력전환을 선택했다. 둘째, 경력전환의 과정에서 현재 경력의 선택 과정은 법률비서를 발판으로 준비된 기회를 잡거나, 법률비서와 다른 분야로 새로운 경력에 도전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법률비서의 경험은 연구참여자들의 경력개발에 다양한 역량을 키울 수 있었음을 확인했다. 셋째, 법률비서 초기 경력자가 경험한 경력전환 경험의 의미와 일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경력개발 관점에서의 경력전환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법률비서직 종사자들의 경력전환 경험 중심으로 경력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Job seekers seeking employment as legal secretaries is increasing due to its stabl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s compliance with the Labor Standards Act. However, increasing number of legal secretaries leave to change jobs during their beginning careers. Despite the active research on early career transitions, research on career transition of legal secretaries is nonexistent.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motivation and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of legal secretaries in their early careers and unveile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former legal secretaries who experienced career transition within five years after working at a large law firm in Seou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and a total of four categories and ten cluster of themes were found. First, participants made career transitions owing to work limitations, relationship and structural difficulties, and personal factors. During transition, legal secretary career was used as a stepping stone to current careers, or were challenged to initiate a new career. Legal secretaries confirmed that they developed various competencies via such work experience. Lastly, career transition was discussed in the career development perspective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work and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legal secretaries. This study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areer development on career transition experiences of legal secret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