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우재욱,변우혁,김학범,박원경,김민수,노슈하다,Woo, Jae-Wook,Byun, Woo-Hyuk,Kim, Hak-Beom,Park, Won-Kyoung,Kim, Min-Su,Norsyuhada, Norsyuhada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converting the graveyards within forests into spaces intended for tree burials by means of planting, given the situation that the graveyards have encroached on land and damaged the environment. For the reason,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width, length, and distance to the nearest tree of 205 graveyards in the capital area.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domestic lands damaged by graveyards amounted to $862km^2$, including the areas that were deforested to manage the graves. This only confirms that land encroachment by graveyards is a serious issue. The methods for making tree burial site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meet public demands given the graveyard's spatial distinc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different methods to establish tree burial si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ansformation and the term of its formation. This study also classified the graveyards into three types, and identified the planting methods that harmonized the safe growth of trees and the scenic beauty of memorial places based on the standard. This is in order to plant trees that are shade-tolerant and suitable to the forest line, along with which other tree line was and also, to plant aesthetic trees around the empty space. Through applying the developed methods, this study established and monitored two exemplary sites in Yongin and Boryeng. Aesthetic trees were planted in Yongin site which was located in an open area, aod the shade-tolerant trees were planted in Boryeong, which was located in a forest area. As a result, the image of a garden appeared at Yongin site and the image of a tree colony harmonized with the near forest emerged at Boryeong sit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planting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tatus of neighboring trees was effective. As a result of monitoring, mulching wood chips were suitable for sites that were small or easy to approach. This is because the weeds were controlled in Yongin site by mulching. Furthermore, by monitoring the growth of 11 species of veget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low and cover-type vegetations were suitable for tree burial sites. In Boryeong site, the wild cherry trees, which were planted as adult trees, all died, and the tilling of snake's beard, which were planted as cover vegetation, was slow.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seedlings were more suitable to plant in forest graveyards than adult trees, which were large and difficult to approach, and it was effective to use the remaining lawn and form a low vegetation after the crown of trees had expanded to such places. 본 논문은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과 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황에서 산지묘지에 수목을 식재하여 수목장지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묘지 훼손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 9개 지역 205기의 묘지를 답사하여 묘지의 평균 가로, 세로 길이와 인접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묘지 관리를 위해, 수목을 제거한 면적을 포함한 전국의 묘지 훼손지 면적이 약 $862km^2$에 달해 묘지로 인한 국토 훼손 문제가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수목장지 조성방법은 국민수요 요인을 묘지 공간의 특수성에서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를 관점으로 고찰하여 전환 정도, 조성 기간에 따른 조성기법을 제시하고, 인접수목 분포에 따라 묘지 유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인접 수목이 있는 면은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고, 인접수목이 없는 면은 경관성 위주의 수종을 식재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수목의 안정적 생장과 추모지 경관을 조화하는 식재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조성방법을 적용하여 용인과 보령에 2개소의 시범지를 조성하였다. 개활지에 위치한 용인 수목장지는 경관성 위주로 수종을 식재하였고, 숲 내부에 있는 보령 수목장지는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여 용인 수목장지는 정원과 같은 이미지를 보이고, 보령 수목장지는 숲과 조화된 수목군의 이미지를 보여 인접수목의 분포에 따른 식재기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시범지에 대한 모니터링에서는 용인 수목장지에서 목재칩 멀칭에 의해 잡초류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모습을 보여, 접근이 용이하고 면적이 작은 묘지는 멀칭을 통해 효과적으로 잡초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재된 11개 초종의 생장과정을 통해 키가 낮고 토양피복도가 높은 종이 수목장지의 지표경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령 수목장지에서는 성목 식재한 산벚나무가 모두 고사하고, 지피식생으로 식재한 맥문동의 분얼도 활발하지 못하여 접근이 어렵고, 면적이 넓은 산지묘지는 성목식재보다는 유묘식재를 하고, 잔디를 존치하고 수관이 확장한 후에 내음성 지피식생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