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Structural Constraints on Neoliberal Economic Reforms in the Philippines

        Kwanok Kim(김관옥)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3 No.1

        1980년대 민주화를 성취한 동아시아 신생 민주국가들은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공고화를 이루기 위해 신자유주의 경제개혁을 실시하고 있다. 이렇듯 많은 신생 민주국가에서 신자유주의 경제개혁을 실시하는 이유는 시장중심의 경제개혁이 경제성장을 견인하여 중산층을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민주주의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시민사회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필리핀의 경우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경제개혁의 속도가 매우 점층적이었으며 그 개혁의 대상 범위도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일부 비교정치학자들은 경제개혁 실행의 어려움을 비토세력의 역할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필리핀의 경제개혁 사례를 연구하여 어떤 요인들에 의해서 필리핀의 경제개혁의 과정과 결과가 결정되는지를 파악하여 신자유주의론자들의 주장과 비토세력의 역할을 강조하는 주장을 검증한다. 사례연구 결과 필리핀의 제도 및 사회적 구조가 필리핀의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통적 지배세력(oligarchy)이 경제개혁에 대한 비토세력으로서 이런 사회적 및 제도적 구조를 주도하고 이들의 이익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경제개혁의 시행을 저해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필리핀정부가 일정 부분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을 실천했지만 신자유주의론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경제개혁이 아직 민주주의 공고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 KCI등재
      • KCI등재

        Presidentialism and Prospects for Democratic Consolidation

        Kim Kwanok(김관옥)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5 No.1

        최근의 민주주의 공고화에 대한 대부분의 문헌들은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의 상대적 장점 규명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더욱이 이런 연구의 대부분은 내각책임제의 정부형태가 민주주의 공고화에 더욱 생산적이며 적합한 권력구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주장들은 중요한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각국의 대통령제를 모두 하나의 동일한 대통령제로 간주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토세력(veto points)의 존재유무와 정책의 휘발성(volatility)의 수준 등의 요인을 중심으로 대통령제를 비교, 분석하여 대통령제의 변이성이 민주주의 공고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대통령제 내에서의 변이성을 파악하기 위해 페루, 필리핀, 그리고 한국의 대통령제, 특히 정책결정의 환경을 규정하는 각 국가의 헌법을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필리핀에서의 다양한 비토세력의 존재는 정책적 안정성을 유지하게 하였고 이런 환경은 대통령으로 하여금 민주체제를 유지하게 하는 동기를 제공하여 민주주의 공고화에 기여하는 면을 확인하였다. 반면, 페루에서와 같이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비토세력이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정책의 휘발성이 매우 높았으며 대통령도 민주체제를 유지하려는 동기가 약화되어 민주주의 공고화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국제협상에서의 국내적 제약의 역할

        김관옥(Kim, Kwano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09 국제정치연구 Vol.12 No.1

        The Korea-U.S. beef trade negotiations which had held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8 went through tough and conflictual processes and resulted in more favorable outcomes to South Korea which was weaker than the U.S. What made such processes and outcomes in the Korea-U.S. beef trade negoti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the major factors that determined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negotiations by analyzing Korea-U.S. beef trade negotiations with a two-level game approach which emphasizes both domestic factors like "distribution of preferences and coalition among domestic actors," "public opinion" and "domestic political system" and international factors like "distribution of capabilities among states" and "rol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processes of the Korea-U.S. beef trade negotiations had to be tough and conflictual because both Korea and the U.S. maintained small size of "win-sets." That means both states did not have not many things to yield to each other. Since the both states announced beef trade agreement on April 18, 2008 which eliminated any kinds of barrier to import all kinds of American beef which many Korean people worry about safety, many powerful social actors in Korean society began to build coalitions and opposed the full opening of Korea beef market to import American beef, and there had been overwhelming public opinion that opposed opening beef market. Those Korean domestic factors drastically reduced "win-sets" size of Korea and enlarged American "win-sets" size, and eventually helped Korea achieve favorable outcome over the U.S. which utilized favorable balance of power with Korea and ver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s (OIE) about American beef safety to fully open Korean beef market. This case study confirms the arguments of the two-level game approach which emphasizes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factors in determining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Korea-U.S. beef trade negotiations.

      • KCI등재

        2012년 미국대선 오바마민주당후보와 롬니공화당후보의 북한정책 비교연구

        김관옥(Kwanok Kim)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2 국제정치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to define the foreign policy choices that a declining hegemony adopts toward challenging state which undermining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Specifically it attempts to find the foreign polices that next U.S. government adopts toward North Korea which undermines nuclear nonproliferation norm that has supported the U.S. dominating international order. For the purpose, it compares and contrasts the North Korean policies of Obama Candidate of Democratic Party with those of Romney Candidate of Republican Party who run for the 2012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 that Obama Candidate may adopt an offshore balancing strategy which emphasizes arms reduction and burden shifting to allies as well as a selective engagement strategy that stresses strengthening alliance with South Korea and Japan and overwhelming military capabilities to contain and prevent North Korea from undermining existing order. On the contrary, Romney Candidate likely pursues a selective engagement strategy that focuses on enhancement of alliance as well as a global hegemony strategy which emphasizes arms buildup. In that sense, it may anticipate Obama next government may adopt a “Omnidirectional Containment policy with conditional dialogue” since it emphasizes more on the recovery of economy and avoids unnecessary military conflicts with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Romney next administration may pursue “an absolute high-degree containment policy” which includes preemptive attacks toward North Korea to lead it to self-destruction.

      • KCI등재

        미국과 중국의 외교패권경쟁

        김관옥(Kim, Kwano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6 국제정치연구 Vol.19 No.1

        The United States began to adopt a ‘rebalancing foreign policy’ toward China since 2011. It is to check the Chinese growing power not only strengthening its military capabilities in Asia but also by consolidating existing alliance as well as by promoting relations with other Asian states. On the other hand, China declare the ‘New Type of Relations among Major Countries’ as a major Chinese foreign policy toward the U.S. The foreign policy is to make Chinese status equal with the U.S. and to guarantee its own ‘core national interest’ in relations the U.S. Fore the purpose, China began to create such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 SCO, AIIB, NDB as well as ‘One Belt One Road’ strategy. Why the U.S. and China severly compete in diplomatic relations? what factors determine the both states to adopt such foreign policies toward each other? Which theoretical approach more appropriately explain diplomat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nflic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made the Obama administration to identify China as a ‘competitor’ or ‘challenger.’ So the Obama government adopted a ‘rebalancing policy’ toward China based on the identity. In the same vein, China began to pursue a ‘balancing diplomacy’ or ‘the New Type of Relations between Major Countries’ by accepting the ‘superpower’ identity of its own. As constructivism that this paper adopted as a theoretical approach argues, changes of identities for the U.S. and China determined their own national interest and eventually facilitated diplomatic competition between them. Thus, both the U.S. ‘a rebalancing diplomacy’ and China’s a ‘balancing diplomacy’ were generated by changes of identities resulted by interac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Furthermore, the diplomatic competition between them has been severer due to the confrontation of role identity of ‘superpower.’

      • KCI등재

        미중 무역전쟁 연구 : 트럼프정부의 보호무역정책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김관옥(Kim, Kwano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8 국제정치연구 Vol.21 No.1

        As China is strongly resisting the Trump administration`s unprecedented retaliatory trade policy toward China, the trad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goes beyond the level of trade conflict and deteriorated into a `trade war`. Why has the Trump administration initiated a trade war by imposing a large tariff on China? Why has China strongly resisted against the pressure and demand of the U.S., not like Japan did in the past? To what extent does the trade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develop and ultimately turn into a protectionist international trade order?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US-China trade disputes resulted from both the United States` protective trade policy and China`s strong retaliatory measures toward each other were more than just aimed at creating a favorable trade bal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e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showed signs of economic power competition, technological competition and production competition as part of the hegemony competition. In other words, the trade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is a competition to secure superior economic power, which is the condition of the hegemonic power, as the hegemonic stabilization approach argued. The declining U.S. has pushed for a mercantilist trade policy to protect its industries and increase exports in order to regain its dominant economic power, on the other side, China has to secure control over capital, market and technology in order to emerge as a hegemonic power.

      • KCI등재

        트럼프정부의 대중국 안보정책: 바이든정부와의 비교연구

        김관옥(Kim, Kwano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2

        바이든정부는 좀 더 유화적인 대중국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트럼프정부의 대중국안보정책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왜 바이든정부는 트럼프정부와 동일한 정책기조를 유지하는가? 본 연구는 바이든정부의 중국안보정책은 미국의 쇠퇴와 중국의 부상 사이에서 전개되고 있는 미중패권경쟁의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었다고 주장한다. 패권유지는 정당과 개별 정부를 초월하는 미국대외정책의 최종적 목표라는 점에서 중국이 미국패권을 위협하는 한 대중국봉쇄정책은 행정부의 변화와 무관하게 지속된다는 것이다. 연구결과도 본 연구의 주장을 확인하고 있다. 오바마정부 정책을 극단적으로 비판했던 트럼프 전대통령도 오바마정부의 대중국정책 기조를 그대로 계승했으며 트럼프를 인정하지 않았던 바이든대통령도 트럼프정부의 대중국정책을 이어받았다. 즉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전체 미군사력의 60%를 아시아에 배치하는 오바마정부의 ‘재균형정책’을 트럼프정부는 계승해 ‘인도-태평양전략과 쿼드’로 확대 재생산했으며, 바이든정부는 이에 추가적으로 아시아에 강력한 군사력 주둔과 더불어 인권과 민주주의를 통한 중국압박을 강화하는 것이다. 중국봉쇄전략은 정권의 교체와 무관하게 미국 대중국안보정책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미국정부의 중국안보정책은 국내적 요인보다는 중국과의 패권경쟁이라는 국제구조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중국이 급속히 증가된 국력을 바탕으로 군사 및 경제적 수단을 동원해 미국의 패권적 위상과 국익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패권을 유지해야 하는 미국정부는 정권과 무관하게 ‘잠재적 패권 도전국’인 중국을 봉쇄하는 전략을 채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Biden"s foreign security policy toward China is not different from the one of Trump government, although President Biden had criticized Trump"s foreign policy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Why has Biden government maintained same foreign security policy as Trump government"s ‘Indo-Pacific strategy’ toward China. Furthermore, Biden has even been strengthening “the Quad system” that Trump had initiated to contain China. This paper argues that since China"s military and economic power have rapidly grown and exerted its power over the Indo-pacific region, which undermined U.S. national interest in the region, the U.S. governments have adopted containment policy toward China to maintain its hegemonic status and favorable balance of power in the region regardless who charges the U.S.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Biden government’s foreign security policy toward China has succeeded the Trumps government’s policy under the hegemonic competition with challenging China. The research results have confirmed the arguments of this paper that such international factors as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have determined the U.S. government"s security policy toward China regardless who is in power and which party gets the power.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