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mercial Activities of Chinese Merchant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Korea

        Ishikawa Ryota(이시카와료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3 No.-

        자유무역체제에 포섭된 19세기 후반의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인 상인이 활발한 지역내 무역(intra-regional trade)을 전개하였다. 중국인 상인은 1880년대 후반에 조선에도 진출하고 조선이 국제시장에 포섭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이 글에서는 서울대학교에 소장되는 중국인 상인 同順泰의 경영자료를 이용하고, 19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그 상업활동의 구조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동순태의 경영자인 譚傑生은 중국 廣東省 출신이고, 上海ㆍ香港ㆍ日本 등 동아시아 각지에 분포하는 광동성 출신 상인들과 다각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품 매매나 금융, 정보교환 등 여러 측면에서 서로 도와주었다. 이러한 상인간 네트워크는 미성숙한 근대적 인프라스트럭처를 보완하고 광역적인 상업활동을 촉진하였다. 한편 조선 국내에서는 서울을 본거지로 삼아 주변 지방도시에 출장원을 파견하고 수출품을 구입하도록 하였다. 국제상업이 수입초과가 되기 쉬운 동순태에 대해 국내상업에 의한 수출품 조달은 불가결한 활동이었다. 또한 동순태는 서울과 지방도시를 연결하는 조선인 객주의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본점과 출장원 사이에서 긴밀한 정보교환이나 송금을 실현하였다. 중국인 상인이 광역적인 국제상업과 조선 국내상업을 연결시키고 긴밀한 상업활동을 실현하기 위해 조선인 상인의 협조가 필요하였다.

      • KCI등재

        개항기 부산의 일본인 상인과 부산수산회사

        이시카와료타 ( Ishikawa Ryota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본고는 19세기 말 조선 출어 일본어민이 생산한 가공 해산물의 유통기구가 나가사키(長崎) 화상(華商)과 재조서 일본상인 간의 경쟁관계 속에서 형성된 과정을 밝힌다. 1860년에도 막부의 유통 통제가 해체된 후 일본 국내산 해산물의 집산지의 지위를 잃게 된 나가사키 일본상인들은 조선에 출어하는 일본인 어민의 생산물을 독점적으로 집하하고 화상을 통해 상하이 등에 수출했다. 한편 부산 일본상인은 이것에 대항하여 1889년 부산수산회사를 조직하여 출어 어민들의 해산물을 매입하고 중국 천진에 직접 수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수출 시장 정보의 수집 및 송금 시스템 구축에 불안한 상태에서 부산수산회사의 시도는 완전한 성공을 이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부산수산회사 등 재조선 일본인 상인이 매입한 제품은 일본에 있는 화상의 손을 빌려 수출되게 되었고 상호 의존적인 수출구조가 형성되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describes the international distribution system of Korean marine products··· i.e. dried Bicho de Mar, dried shark`s fin. and dried abalone··· from 1870 to 1900. Those commodities were produced on the coast of Korea and consumed mostly in North-China. The analysis tries to locate Korea in the intra-Asian trade network during this period. After the opening of Korea in 1876, marine products began to be exported from Korean treaty ports to Shanghai and other Chinese ports via Nagasaki. These were produced by indigenous Korean fishermen and transacted by Japanese merchants residing at Korean ports and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After the mid-1880`s. Japanese fishermen coming to Korea seasonally increased sharply. They produced marine products too, and carried their products to Nagasaki by themselves, without going through Korean treaty ports. These products were also exported to China by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initiated the 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distribution system of Korean marine products. Japanese merchants at Korean ports were mostly excluded from the trade in the products of Japanese fishermen, although these accounted for a fairly large proportion of Korean marine products. So, as modernistic service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 (regular liners, trade exchange services, business firms, and so on) were gradually set up, Japanese merchants in Korea tried to export Korean marine products directly to Tianjin and other North-Chinese ports by themselves, so to re-organize the distribution system profitably for them. This direct exporting, although interrupted by the Sino-Japanese War, continued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in Nagasaki, the ability of Chinese merchants to collect cargos declined on 1890`s, because Japanese fishermen, who had come seasonally to the Korean coast, began to settle there. Contrarily, the ability of Japanese merchants at Korean ports to collect cargos rose for the same reason. However, some Japanese merchants in Korea did not export marine products to China directly, but rather to Nagasaki. In these cases, Japanese merchants intended to take advantage of Chinese knowhow in marine product transactions, and offered their ability to collect cargos. In conclusion, Korea, after its opening, was included in the trade network of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ducing centers of marine products for shipment to China. Japanese merchants in Korea tried to partake in the trade of these products. In some cases, Japanese merchants were hostile to their Chinese counterparts, but in other cases they were co-operative and inter-supplement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