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D TREE ANIMATION FOR OUTDOOR SCENE

        Ranhee Lee,Kyunam Lee,Imchul Kang,Chilwoo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한국멀티미디어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07 No.-

        Many researchers who concentrated on developing 3D (3-dimensional) indoor and character animation methods are interested in 3D outdoor environment because computer hardware has become more powerful. Especially, they are putting their effort into the implementation of realistic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research about 3D natural environment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compared to indoor and character animation research. We propose a method for 3D tree animation interacting with the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direction and magnitude, etc. The rotation angles of each segment and branch are calculated using attributes of segments and branches with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wind per frame. As a result, we could make 3D tree animation using accumulated rotation angle of each segment in real-time. We propose simple mathematical solution for 3D tree animation. It improves rendering speed and can be a useful part of 3D outdoor scene. The proposed result is applied to real-time 3D contents like games, VR simulations that have an outdoor background. Also, it makes a high quality content by producing a realistic background using 3D tree animation.

      • 가상수중환경에서 가변적 해류에 대한 캐릭터의 적응적 움직임 생성

        김종한(Chonghan Kim),강임철(Imchul Kang),김병기(Byungki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0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0 No.2

        가상세계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대한 척도는 그 공간상에서의 캐릭터의 행동이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가상공간의 물리적 환경 구성 요소의 변화에 얼마나 잘 대응하며 표현되어 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가상공간의 물리적 환경 구성 요소가 현실세계를 반영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캐릭터나 오브젝트에게 보다 정밀하게 영향을 주어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여 시각적 만족도를 높인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수중환경에서 오브젝트나 캐릭터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소인 해류(Sea Current)나 서지(Surge)를 생성하는 모듈을 설계, 구현한다. 또한 수심에 따라 방향과 힘의 크기를 변화시켜 수중 객체와 수중환경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유체 역학적 구조를 설계한다. 이는 가상수중공간에서 사용자가 스킨 스쿠버를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인 Virtual Scuba를 구현하는데 중요한 물리적 환경요소이다. 이 해류 생성 시뮬레이션 기술은 수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위기상황에 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나 캐릭터에 상호작용함으로써 몰입도를 증대시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군집모형의 모핑을 이용한 해양 생물의 군집 형태 패턴 생성

        김종한(Chonghan Kim),김은석(Eunseok Kim),강임철(Imchul Kang),김병기(Byungki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2

        가상세계에서 시각적 몰입감의 극대화를 위해 가상객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군집형 객체에 대한 연구는 생물 종과 움직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되고 특히 국내 해양생물 종의 군집행동에 대한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위한 방법으로 수작업에 의존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시간과 비용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크다. 본 논문은 해양 생물 객체의 움직임과 속도에 따라 군집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몰핑 기법을 적용한다. 전체적인 군집형태의 변화를 객체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군집모형인 BMO(Base Morrphing Object)라는 가상의 객체를 만들고 이를 변형시켜 원형, 선형, 분산 형태의 군집형태의 패턴을 자유롭게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해양생물객체의 군집행동을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실시간 렌더링되는 가상세계 및 다양한 콘텐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