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文化史論 収録の「沈清傳」研究 - 「ちくふしまのほんし」と 朝鮮童話集 収録の「沈清傳」との比較を通して

        Hiroto yoshioka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5 No.1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에서는 아버지가 조선동화집 수록 「심청전」의 아버지와 비교하면 결말에서 매우 비참해지는 장면이 존재했다. 또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에서는 아버지와 심청이 결말에 재회했을 때 서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존재했다. 이러한 장면들이 존재함으로써 조선문화사론 수록 「신세이덴」은 결말에서 독자들에게 극적인 느낌을 주는 점과 독자들을 감격하게 하는 점이 조선동화집 수록 「심청전」보다 강화된 작품이라 하겠다. 또한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은 작품 전체를 통해서 <지쿠후시마노혼시>에 비해 효행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았으며 적극적으로 효행의 장려도 하지 않았다. 한편 조선동화집 수록 「심청전」에서는 심청의 효행에 신(神) 적인 존재가 호감을 느끼고 심청을 돕는 내용이 존재함으로써 조선동화집 수록 「심청전」은 효행의 소중함과 위대함을 효과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에는 이러한 내용이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만약 이러한 내용이 있었다면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은 보다 효과적으로 효행의 소중함과 위대함을 강조할 수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두 작품을 읽고 비교해봐도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은 조선동화집 수록 「심청전」에 비하여 적극적으로 효행의 중요함을 강조하지 않았다. 위와 같이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 「지쿠후시마노혼시」, 조선동화집 수록 「심청전」 중에서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이 '효행의 소중함'을 가장 강조하지 않았다.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은 효행의 장려(奨励)를 강하게 하지 않은 이유로, 조선문화사론 수록 「심청전」의 번역자가 한국 '심청전 이야기'의 특징을 '효행을 강하게 장려한 작품'으로 인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At the end of the story, There were scenes where the father who appeared in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was much more miserable than the father who appeared in 「Chinseiden」 in the Book of The Fairy Tales of Chosŏn . Also, at the end of the story, Chinsei is reunited with his father, who appears in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 At that time, there was a scene where both my father and Chinse shed tears. The presence of these scenes at the conclusion makes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more dramatic and inspiring to readers than 「Chinseiden」 in the Book of The Fairy Tales of Chosŏn . Also,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did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compared to 「chikufushimanohonshi」. Also,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did not encourage filial piety more strongly than 「chikufushimanohonshi」. On the other hand, in 「Chinseiden」 in the Book of The Fairy Tales of Chosŏn , divine beings were impressed by Chinsei's filial piety. And a divine person helped Chinsei. The presence of such content effectively emphasizes the importance and greatness of filial piety in 「Chinseiden」 in the Book of The Fairy Tales of Chosŏn . However,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has no such content at all. If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had such content, it would have effectively emphasized the importance and greatness of filial piety In fact, even if you compare the two works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has significantly less encouraging filial piety than 「Chinseiden」 in the Book of The Fairy Tales of Chosŏn. As above, Among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 「chikufushimanohonshi」, and 「Chinseiden」 in the Book of The Fairy Tales of Chosŏn ,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did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the most.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does not strongly ‘encourage filial piet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translator of 「Chinseiden」 in the Book of Joseon Cultural History did not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im Cheongjeon Story’ as ‘a work that strongly encourages filial piety’.

      • KCI등재
      • KCI등재

        説経節『さんせう太夫』の考察 - 説経節『阿弥陀胸割』との比較を通して

        吉岡浩人(Yoshioka Hirot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셋쿄부시에는 『산쇼 다유』, 『아미다노 무네와리』, 『마쓰라 장자』,『모쿠렌키(目連記)』 등의 효행 이야기가 있다. 『산쇼 다유』와 『아미다노 무네와리』는 어린 누나와 남동생이 죄인인 부모를 행복하게 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서 최종적으로 부모를 행복하게 하는 효행 이야기로 유사성이 있고, 더욱이 두 작품의 누나는 희생적인 행동을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산쇼 다유』, 『아미다노 무네와리』, 『마쓰라 장자』,『모쿠렌키(目連記)』)를 비교해서 읽어 보면 『산쇼 다유』에서만 효행을 장려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셋쿄부시 『산쇼 다유』와 셋쿄부시 『아미다노 무네와리』와의 비교를 통해서 『산쇼 다유』의 문학적 특성에 대해서 밝히려 했다. 특히 셋쿄부시 『산쇼 다유』의 특이한 문학적 의미(『아미다노 무네와리』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를 간결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쇼 다유』의 작가층은 『아미다노 무네와리』의 작가층에 비해 보다 피지배계층(노예, 천민 등)을 대상으로 작품을 창작했다고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작가층은 피지배계층이 지배계층에게 품은 강한 원한을 지배계층이 잔학한 벌을 받음으로써 해방시키려 했다. 그 결과 『산쇼 다유』는 효를 장려하는 이야기가 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효심 소유자인 쯔시 王이 하늘이 정한 윤리(원수에게 자비를 베푸는 것)를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었지만, 그것에 따르지 않고 도를 넘은 잔학한 복수(아이에게 아버지의 목을 톱질하게 하고 아버지를 죽인 것)를 철저히 했는데, 만약 하늘(신적(神的)인 존재 등)이 쯔시 王의 효심을 좋게 여겨 기적을 일어나게 하는 수법으로 효도를 장려한 경우, 향수자층은 위화감(하늘을 감동시킬 효자가 그런 잔학한 복수를 할 수 있을까)을 느끼기 때문이다. 2. 『산쇼 다유』는 『아미다노 무네와리』에는 없는 여성을 경시하는 의식과 가문을 재흥시키기 위해서 여성이 희생되어도 어쩔 수 없다는 의식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의식을 작가층이 갖고 있었다고 짐작되므로, 그 영향으로 안쥬는 가문을 재흥시키기 위해서 희생이 되고 불행하고 비참한 죽임을 당했으며, 게다가 아무런 대가도 없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아미다노 무네와리』의 여성 향수자층에 비해 『산쇼 다유』의 여성 향수자층에 있어서 효심 강화와 가문 번영을 바라는 마음 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Sekkyo-bushi’s “Story of filial piety” includes 『Sansho-Dayu』 and 『Amida’s Riven Breast』 and 『rich person of Matsura(上方版)』 and 『mokurenki(目連記)』. Among them, especially 『Sansho-Dayu』 and 『Amida’s Riven Breast』 have a lot in common. In the previous research, there was no paper that investigated the meaning(‘Relevance to cruelty’, ‘Educational Meaning of Women’s Sacrifice’) of the characteristics of filial piety included in Sekkyo-bushi 『Sansho-Dayu』. This paper focuses on that. So this paper compared Sekkyo-bushi 『Sansho-Dayu』 and Sekkyo-bushi 『Amida’s Riven Breast』. The literary meaning of Sekkyo-bushi 『Sansho-Dayu』 has been organized as follows(Sekkyo-bushi 『Amida’s Riven Breast』 has no such features). 1 ‘The performer(author)’ of 『Sansho-Dayu』 created the work for more ‘audience(reader) of status like slaves(audience(Reader) of slave)’ than ‘the performer(author)’ of 『Amida’s Riven Breast』. Therefore, ‘the performer(author)’ created the work so that the rulers would be subject to cruel punishment. ‘audience(reader) of status like slaves(audience(reader) of slave)’ saw it and released the resentment of the rulers. As a result, 『Sansho-Dayu』 could not talk about encouraging filial piety. Because Tsushio(owner of filial piety) understood heavenly ethics, but did not obey heavenly ethics and thoroughly carried out cruel revenge. This is because if ‘God(Presence, such as God)’ favors Tsushio’s filial piety and encourages filial piety in a way that causes miracles, ‘the audience(reader)’ will feel uncomfortable(Can a filial person who is impressed by ‘God(Presence, such as God)’ be able to take cruel revenge?). 2 『Sansho-Dayu』 had a ‘consciousness to downplay women’. Also, 『Sansho-Dayu』 had the ‘consciousness that she was unavoidable even if a woman was sacrific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house’.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consciousnesses are the ideas of ‘the performer(author)’. Due to the influence of this ‘the performer’s idea(author’s idea)’, Anju was sacrificed and di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house. That had a negative effect on ‘female audience(reader)’ of 『Sansho-Dayu』 compared to ‘female audience(reader)’ of 『Amida’s Riven Breast』 for ‘Strengthening filial p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heart to wish the prosperity of the house’.

      • KCI등재

        셋쿄부시 <아미다노 무네와리(阿彌陀胸割)> 연구 - 셋쿄부시 <마쓰라쵸자[まつら長じや(上方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요시오카히로토 ( Yoshioka Hirot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7

        셋쿄부시 <마쓰라쵸자[まつら長じや(上方版)]>는 셋쿄부시 <아미다노 무네와리(阿彌陀胸割)>에 비해 상대적(相對的)으로 소녀가 돌아가신 부모에 대한 효의 모순성(矛盾性)이 아주 강하게 나타나 있는데 반해, <아미다노 무네와리>는 돌아가신 부모를 향한 효행의 모순성이 없고 논리적(論理的)인 작품이었다. 또한 <마쓰라쵸자>는 살아계신 부모님에 대한 효도와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한 효도를 모두 강조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었다. 반면, <아미다노 무네와리>에서는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한 효도만을 강조한 작품이었다. 그리고 <아미다노 무네와리>의 어린 소녀는 돌아가신 부모를 성불(成佛)하게 했다는 관점에서 돌아가신 부모(양친)에 대한 효도를 완전히 이룬 인물로 평가되며, 그 점에서 <아미다노 무네와리>는 <마쓰라쵸자>에 비해 [향수 자(享受者)]에 대한 효·신앙의 교육에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는 작품이었다. 또한 <마쓰라쵸자>의 소녀는 초월적인 특별한 인물(신성(神聖)을 소유)이었던데 반해 <아미다노 무네와리>의 소녀는 효심 이외의 초월성(超越性)을 소유하지 않았다. 이는 초월성을 갖지 못한 보통 사람이라도 효도를 실행하면 기적(奇蹟)이 일어나거나 불벌(佛罰)을 받아 죽은 부모도 성불할 수 있음을 말해 주고 있었다. 실제로 향수자는 대부분이 초월성을 갖고 있지 않은 보통 사람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효도를 장려(獎勵)하고 의욕을 갖게 하는 데 있어서, <마쓰라쵸자>에 비해 <아미다노 무네와리>가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아미다노 무네와리>는 <마쓰라쵸자>에 비해 [설경절적 요소(說經節的 要素)]를 보다 적게 내포하고 있는 작품이었으나 특히 <아미다노 무네와리>는 <마쓰라쵸자>에 비해 작품에 나타나는 유랑민적인 성질이 약해진 작품이었다. 마지막으로 문학사적 관점에서의 <아미다노 무네와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아미다노 무네와리>에서 <마쓰라쵸자>에 비해 유랑민적인 성질이 약해진 것은 도시극장의 향수층의 취향에 더 맞는 성질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아미다노 무네와리>에 있는 ‘누구나(불벌을 받은 죄인의 자식·보통인) 소녀처럼 죽은 부모에 대한 효도(菩提)를 실행하면, 기적이 일어나거나 불벌을 받고 죽은 부모조차도 성불시킬 수 있다는 메시지’, 및 ‘소녀의 죽은 부모에 대한 효의 모순성이 없고 형제자매가 서로 도와 효도(성불)하는 이야기의 내용’은 <마쓰라쵸자>에 비해 당시의 일반 서민(자녀교육을 생각하는 도시의 향수층)의 취향에 더 맞는 성질이라고 볼 수 있었다. Sekkyo-bushi < richperson of Matsura > was a work that emphasized that it should be ‘filial piety’ to a living parent and a deceased parent. On the other hand, Sekkyo-bushi < Amida's Riven Breast > was a work that emphasized only the ‘filial piety’ of a deceased parent. And the girl of < Amida's Riven Breast > made ‘Jobutsu’ deceased parents. From this point of view, he is a man who has perfectly accomplished the ‘filial piety’ for deceased parents. That's why < Amida's Riven Breast > was more effective in ‘Education of filial piety and education of faith’ audience than < richperson of Matsura >. Still more The girl of < richperson of Matsura > was a transcendental special person (possessing a holiness). On the other hand, The girl of < Amida's Riven Breast > was not a transcendental special person (excluding filial piety). In < Amida's Riven Breast > this meant(◇) the following. ◇ Even if you are an ordinary person who does not have transcendence, if you execute ‘filial piety’, strange will happen. ◇ Even if you are deceased parents after receiving ‘Buddha's punishment’ you can ‘Jobutsu’. By the way, most of the audiences of < Amida's Riven Breast > and < richperson of Matsura > were Common people who do not possess Transcendence. Therefore < Amida's Riven Breast > had more effective in the following points(◇) than < richperson of Matsura >. ◇ The point to encourage Common people ‘filial piety’. ◇ The point to make Common people have Motivation. Besides that, < Amida's Riven Breast > was a work that contained less ‘Elements like Sekkyo-bushi possess(說經節的要素)’ than < richperson of Matsura >. Especially < Amida's Riven Breast > was a work weakened by ‘Nature like Wandering people have(漂泊民的性質)’ which appears in the work compared to < richperson of Matsura >. Finally when viewed from a literary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significance of < Amida's Riven Breast >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 Amida's Riven Breast > had weakened ‘Nature like Wandering people have(漂泊民的性質)’ compared to < richperson of Matsura >. This was a more fulfilling nature to the desires of urban theater enjoyers. And there was the following message in < Amida's Riven Breast >. ① Anyone who carries out ‘filial piety’ against a deceased parent like a girl experiences a miracle. ② If anyone conducts ‘filial piety’ against a deceased parent like a girl, even a deceased parents who receives ‘Buddha's punishment’ can do ‘Jobutsu’. Also < Amida's Riven Breast > had the following features. ③ A girl 's ‘filial piety’ against deceased parent can not find a contradiction. ④ Brothers and sisters help each other and accomplish their ‘filial piety’. And < richperson of Matsura > does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①, ②, ③, ④ above in < Amida's Riven Breast >. And ①, ②, ③, ④ were characteristics that were fulfilled by the wish of the general public at the time.

      • KCI등재

        <竹生島弁財天御本地>再考 - <まつら長じや(上方版)>との比較を中心に-

        요시오카히로토 ( Yoshioka Hirot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5

        <竹生島弁財天御本地>は<上方版>に比べて‘成佛(神になる)を願う意識’が强く表われていた。 特に<竹生島弁財天御本地>ではたくさんの登場人物が成佛(神になる)することから座頭達は自分達も含め數多くの者の成佛(神になる)を願ったと判斷できた。 また<竹生島弁財天御本地>には<上方版>に比べて因果應報が出る回數(幸福ㆍ不幸になる因果應報全部)と不幸になる因果應報が出る回數が多いことと、異界からの因綠が原因で因果應報がなされていることから、座頭達は因果應報の存在を確信し、不幸になる因果應報は時空を越えて明確に繫がっているものと考えていたと判斷できた。 それらのことから察して一般人より困難な点が多い盲人である座頭達は成(神になる)と不幸になる因果應報からの解放を强く願っていたことが分かった。また佛法的敎訓の中に‘來世の幸福を最重要として行なうことが大切’という內容がある。 この內容は座頭達の不幸になる因果應報からの解放の方法を示しているものと考えられた。 それで不幸になる因果應報からの解放の手段として座頭達は佛敎的な善行を實踐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 それが13種類の多樣な佛法的敎訓(佛敎的善行)を具體的に享受者達に傳え敎育しようとしたことである。またそれが‘自分達が成佛すること(不幸になる因果應報の終り)’と連結していたのである。 In < Chikubushima benzaiten gohonji >, ‘Consciousness in hope of Jobutsu’ strongly emerged in comparison with < richperson of Matsura >. In particular Many characters do Jobutsu in < Chikubushima benzaiten gohonji >. Because it was so, Zato prayed for Jobutsu of many people including oneself. In addition, < Chikubushima benzaiten gohonji > has a lot of number of times that ‘punitive justice’ is over in comparison with < richperson of Matsura >. And < Chikubushima benzaiten gohonji > has a lot of number of times that ‘punitive justice which became unhappy’ is over in comparison with < richperson of Matsura >. And ‘punitive justice’ is established for ‘oneself to one's fate’ of ‘punitive justice’. Based on these factors, Zato was convinced of existence of ‘punitive justice’. In addition, Zato thought that ‘punitive justice which became unhappy’ was connected definitely across space-time. I think from the above-mentioned fact and understand next. Zato, which is more difficult than usual, strongly hoped to release the freedom from Jobutsu and ‘punitive justice which became unhappy’. And so Zato was going to practice ‘Buddhist-like good deeds’ as the means. Namely, Zato tried to teach audience various ‘Buddhist-like good deeds’ concretely.

      • KCI등재

        <法妙童子>研究 - <さよひめ>との比較を通して-

        요시오카히로토 ( Yoshioka Hirot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호우묘두우지(法妙童子)>에는 <사요히메(さよひめ)>에 비해 부모와의 깊은 정(情)관계에서 발로(發露)한 정성(精誠)을 다한 효행 장면들이 더 많이 있으므로, 호우묘두우지의 효행은 사요히메의 효행에 비해 독자들에게 더 감동을 주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다. 또한 <호우묘두우지(法妙童子)>에는 <사요히메(さよひめ)>에 비해 효행 장려와 의욕을 갖게 하는 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요소를 더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효행 이야기라는 관점에서 <호우묘두우지(法妙童子)>는 논리적으로 의문이 생기지 않는 작품이었다. 그러한 점들에서 <호우묘두우지(法妙童子)>는 <사요히메(さよひめ)>에 비해 더 본격적인 효행 이야기의 명작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호우묘두우지(法妙童子)>의 작자는 주요 독자로서 소년을 염두에 두고 살아계신 부모의 효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특히 집안의 번영(繁榮)을 간절히 바라는 근세사회의 가장(家長)들이 호감을 갖기 쉬운 내용으로 작품을 창작했다고 볼 수 있었다. < Houmyoudouji > has more scenes exposed from a deep relationship with parents than < Sayohime >. In addition, < Houmyoudouji > has more scenes of filial piety with a spirit than < Sayohime >. From these facts Houmyoudouji's filial piety has a more touching effect on the reader than Sayohime's filial piety. < Houmyoudouji > can discover more effective elements in encouraging and motivating filial piety than < Sayohime >. And < Houmyoudouji > was a piece that logically does not raise any questions as a story of filial piety. From those points, < Houmyoudouji > is considered to be a masterpiece of more authentic filial talk than < Sayohime >. And, the author of < Houmyoudouji > made the work with the boy as a reader. And, The author of Houmyoudouji also mentions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of living parents. Also, the author of < Houmyoudouji > seems to have created a work that is easy to be liked by patriarch of early-modern societies, who strongly desires the prosperity of the hou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