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마을에서 도시로, 또다시?: 메타데이터로 보는 현실사회와 가상공간의 아날로지, 그리고 예술가의 자세

        오니시 히로시(Onishi Hiroshi)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과 교육 Vol.20 No.2

        It is often said that the first impression is most important. If this is so then can it not also be said that metadata is the shadow of the human experience? During the 1960s, Japan experienced a high growth period in her economy. Many young people born and raised in small villages left for larger cities like Osaka and Tokyo. These young people were disgusted by the dense human relationships and lack of privacy experienced in these villages and left for a place where no one knew them or their metadata. It was not just for economic freedom, but also a form of escape from people who knew them and their meta data well. In The Gutenberg Galaxy(1962), Marshall McLuhan states that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media the world will become one village, the global village. At that time this was only a prediction, but now,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SNS, it has become a reality. Every day we post our own images and videos of our experiences(our metadata) to the Internet. Now, anyone can have access to our metadata. Uploaded images and videos retain timestamps and even physical location and it is this that hackers use to gain access to and expose a person’s opinions and consumption behaviour. This situation is somewhat similar to what villages experienced during the age of high growth in Japan. Will this generation also go from the global village to a new city in modern tim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necessary for artists and teachers of art education to exemplify ways to improve society through the use of The Arts. Therefore, in the era of metadata, what should artists and those involved in teaching art do? “메타 데이터”에 관련된 사회문제는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현실 사회와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메타 데이터”의 본질에 시선을 두고 보면 디지털기술이나 인터넷이 발달하기 이전부터 인간은 동일한 문제와 마주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메타 데이터에 의해 기인하는 사회문제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는 점을 밝히고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예술가의 활동들을 소개하려 한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로부터의 깨달음이 인터넷 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 더 나아가 현대의 예술가와 교육자들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글의 연구 대상의 하나는 1960년대의 일본 사회이다. 그 시대의 일본이 안고 있던 과제와 현재 인터넷 사회가 안고 있는 “메타 데이터”에 관련된 과제를 마르크스주의 비평가 매클루언의 글로벌 빌리지라고 하는 개념을 원용하여 연결해 보았다. 또 하나의 연구 대상은 동아시아의 전통예술이 키워온 가치 창조의 구조, 그리고 60년대에서 80년대에 이르기까지 당시의 사회문제를 고민하며 다루었던 예술가들의 움직임이다. 특히 백남준이 만년에 작업한 위성 아트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과제해결의 견해를 도출했다. 그리고 예술가로서 교육자로서 자기 자신의 작업에 대한 고찰을 부가했다. 그러한 연구의 결과, 60년대의 일본 그리고 80년대의 전 세계가 안고 있는 문제와 현대의 인터넷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는 공통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정보”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의 존재나 자유로운 연결을 압박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술적 지견과 실천에 의해 정보를 다시 사람들의 손에 돌려놓는 것, 다시 말하면 정보의 민주화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을 예술교육에도 응용하여 다음 세대를 책임질 젊은이와 어린이들의 눈을 열어주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