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industrialization and the Changes in Occupational Structure in Three East Asian Cities

        Hearan Koo,Yusuke Hayashi,Dingjun Weng,Jingqian Bi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5 No.3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pattern of recent changes in occupational structure across Tokyo, Shanghai, and Seoul. We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1) considering different stages of economy in three countries, do employment structures in Seoul, Tokyo, and Shanghai show different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economic development stage? 2) to what extent are employment structures in the three cities polarizing, or upgrading?, and 3) who fills newly created jobs? Are there any socio-demographic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employment gains? We particularl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industrialization and occupational transform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deindustrialization tends to have similar polarization effects in Tokyo and Seoul, considering the decline in manufacturing workers and concomitant loss of middle income jobs. The job polarization has deepened in Tokyo due to its more mature industrial structure. Seoul has yet to reach the same level of occupational disparity, but shows a sign of polarized upgrading with strong job growth at the top of the occupational hierarchy and weak growth at the bottom. In Shanghai, newly created jobs a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mid to high income ranges, indicating the predominant upgrading in Shanghai’s occupational structure. We find unequal distribution of jobs in all three cities, although disadvantaged groups differ across cities. We end this paper with several concluding remarks.

      • KCI등재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구혜란(Koo Hearan)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2

        일반적으로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과 조직몰입은 정규직에 비해 낮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에서 실제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 연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감정적 조직몰입의 차이를 객관적 고용형태와 고용안정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미국, 일본, 스웨덴과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의 비정규직 노동력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와 1997년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 연령, 학력, 계급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통제했을 때, 한국과 스웨덴에서는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과 조직몰입이 정규직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게 나왔으나 일본과 미국에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 비정규직의 주관적 고용안정성은 비교대상국들 중 가장 낮았고 다른 비교국가들과의 차이도 유의미하였으며 비정규직의 조직몰입도는 미국과 비교하여 낮고 스웨덴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스웨덴을 제외하고는 비정규직이라는 객관적 고용형태와 조직몰입도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며 반면에 모든 국가에서 주관적 고용안정성이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데 유의미하였다. 즉 주관적 고용안정성을 같이 고려하였을 때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상태는 조직몰입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지 못하는 반면 고용안정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nonstandard employees have lower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and lower affective commitment than regular employees in four different countries such as Japan, Swed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 association of work status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lso tested.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onstandard employees is significantly lower in Sweden and South Korea, where nonstandard employees have lower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It also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is associated with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ll four comparing countries, but the association of work statu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found only in Sweden. It suggests tha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is more important than work status in determ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직 자율성의 사회경제적 토대

        구혜란(Hearan Koo)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2

        본고는 전문가집단의 자율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기능론적 접근과 권력중심적 접근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전문직 자율성을 이해하기 위해 보다 비교역사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비교역사적 접근은 전문직과 전문직에 대한 규제를 제도화하는 과정과 형식에 있어서 개별사회가 가지는 차이와 다양성에 주목하며 개사회의 역사적 환경의 변화와 전문직서비스 규제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집단간의 상호관계에 그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 전문직 자율성에 대한 비교역사적 접근은 전문직 자율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우선 전문직 자율성과 그것의 제도화는 전문직과 전문직서비스시장 내부에 국한된 문제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거시적인 사회구조와 사회변화와의 연관하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전문직 자율성의 특정한 형식을 조건짓는 개별사회의 역사적 환경과 변화에 주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전문직의 자율성이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개별사회의 전문직과 국가, 시장과의 관계는 서로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이며 그렇기 때문에 전문직의 자율성을 국가나 시장의 간섭과 서로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전문직 자율성은 하나의 고정불변하는 제도적 형태가 아니라 특정한 사회조건의 변화 안에서 다양한 사회집단들 간의 갈등과 연대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새로 정립되어지는 역사적 산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ing perspectives on the socioeconomic origin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argues that historical and comparative approa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in professional autonomy. Historical approach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the regulating processes in various societies. Historical and comparative approach has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It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of professional autonomy should not be limited to domestic affairs of the professions but tak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wider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society and its relation to the professions. It also suggests that since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autonomy depends on the state actions, there is no clear dichotomy between professional autonomy and state intervention. Finally, it suggests that institutional arrangements of professional autonom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fixed, nor as an unitary set of rules, but instead as consisting of multiple options of regulato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rofessional service market.

      • SSCISCOPUSKCI등재

        Sex and Job Valu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Choi, Moonkyung,Koo, Hearan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2006 Asian Women Vol.22 No.3

        Using data from a national sample of twenty six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question of sex and job valu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Our study finds that there is no clear pattern of sex difference that exists across nations as for the extrinsic and autonomy dimension of job values. However, we do find a clear pattern of sex difference in altruistic dimension of job values, in twenty two out of twenty six countries. What accounts for such sex difference that exists across nations? We show that, at the aggregate level, the degree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sex difference in altruistic dimension of job values. As job and job values reinforce each other, a gendered labor market seems to produce certain sex difference in values. It is important that we seek the origin of such sex difference from the social structural arrangements (gendered differentiation of social roles) rather than from individual factors (dis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