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열화학적 전환공정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기술 및 전망

        Gayatri Udaysinh Ingale,박소담(Sodam Park),방병열(Byungryeul Bang),정수화(Soohwa Jeong),오승진(Seungjin Oh),이현승(Hyunseung Rhee),정효재(Hyojae Jeong),박동호(Dongho Park),이은도(Uendo Lee) 한국열환경공학회 2020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0 No.춘계

        지구온난화문제와 더불어 COVID-19 사태로 인해 에너지산업 전반에 재편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주요 국가들은 수소경제 주도권 확보를 통해 코로나로 인한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저탄소 경제구조로의 전환을 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최근 EU는 2030년까지 1,400억 유로 규모의 수소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하였고, 미국도 2050년 7,500억 달러 규모 수소경제 조성 목표를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 발표 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수소산업 육성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연간 13만 톤 규모의 수소 수요가 2030년 194만 톤, 2050년 526만 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 로드맵에 따르면 현재 부생수소 및 추출수소에 전량 의존하고 있는 수소 생산 방식을 2040년 전체수요의 70%이상을 이산화탄소 발생이 없는 그린수소로 전환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시스템이 대표적인 그린수소 생산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나 수전해 기술의 성숙도와 재생에너지 보급 전망을 고려하면 중단기적으로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열화학적 전환 공정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은 가장 효과적인 방안의 하나이다. 열화학적 전환공정을 통한 그린수소생산 기술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수소자원인 탄화수소와 물에서 CO2-free 조건으로 탄소를 제거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다양한 기술적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바이오매스 가스화, 바이오가스 개질, 열화학적 사이클 활용 수분해 기술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은 CCUS 기술과 연계되어 화석연료를 대상으로 한 블루수소 및 청록수소 생산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열화학적 전환공정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해 소개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