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oing global: The Study Abroad Experiences of Chinese and Korean Students

        Ella Kidd(엘라 키드),Hye-Kyun Kim(김혜균)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일정궤도에 오르고 영어교육을 중시하는 두 나라의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한국인 재학생 2명과 중국 유학생 1명이다. 연구의 목적은 이들이 해외에서 경험한 전반적인 언어 학습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비슷한 문화와 언어학습방식을 공유하지만 제2외국어 준비를 위한 접근방식은 서로 달랐으며, 이와 다르게 그들이 해외에서 공부하도록 동기를 부여한 내적 요인들은 동일했다. 그리고 교실 상황(평가), 사회적 환경(환경)및 학습전략도 서로 달랐다. 본 논문의 방법론은 표본 추출 기술을 이용한 전체론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응답은 사전에 준비된 설문지와 구조화되지 않은 인터뷰에 의해 이루어졌고, 추후에 유도 추론 프로세스에 의해 분석되었다. 세 가지 즉, 책임, 문화, 의사소통의 충돌로 특정하였다. 이번 연구는 참가자들이 모국에서 영어학습에 대한 사전준비를 철저히 하면 할수록 해외에서의 성공에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includes three students’ whose country origin is of a political and economic success, therefore the pursuit to learn English is important. The participants evaluated in this study are two students of Korean descent and one Chinese student. The purpose was to evaluate their overall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outside of their home country. Whil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are similar cultures and learning styles their process towards second language readiness is different. The internal factors (readiness) that motivated them to study abroad were synonymous. However, the classroom situations (assessment), social settings (environment), and strategies used were disparate.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used a holistic approach with a snowball sampling technique. The responses were collected by a prepared questionnaire and unstructured interviews, then later analyzed by the inductive reasoning process. The 3 specific categories identified were despondency, culture and communication conflict.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earlier preparation from their home country play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ir success abroad.

      • KCI등재

        A Journey of an African American’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ing in the Korean Community

        Ella Kidd(엘라 키드),Seonmin Huh(허선민)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의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제 2 언어 학습 경험을 조사하였다. 한국에 많은 다문화 가정들이 있지만,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의 제 2 언어 학습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과거에, 몇 몇 미국 연구자들은 아프리카계 미국 학생들을 학습부진아들로 분석하였지만, 그들의 제 2 언어 학습의 성공적인 사례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질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본 연구자들은 메리라는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학생을 인터뷰하고 관찰조사 하였다. 또한, 메리의 어머니,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을 인터뷰하여, 메리의 한국어 발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 메리의 한국어 화자로서의 노력은 가족, 한국사회, 그리고 친구들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메리는 언어 발달에 있어서 특별한 사회적 조직적 지원들을 경험했음을 또 한 묘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다문화 학습자들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습자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This case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an African American student’s successful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Korea.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ut few research on African American students’ second language learning. In the past, some American researchers have analyzed African American students as academic underachievers for learning and there is a scarcity of research on African American students’ successfully acquiring a second language. With this qualitative research design, the researchers interviewed, and observed an African American girl named Mary. The researchers also interviewed Mary’s mother, teacher, and peers about Mary’s Korean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Mary’s determined efforts to become a fluent Korean speaker with support from family, community and friends. Mary underwent unique social and systematic supports for her language development.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educational implication for multicultural language learners in Korea and the possibility to diminish the common stereotypes of African Americans as underachie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