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ponsible Hermeneutics

        Craig G. Bartholomew(크레이그 G. 바돌로뮤)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2

        이 글은 이제 우리가 하나님께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우리에게 주셨다는 성경해석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때가 무르익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을 ‘책임질 수 있는(response-able) 해석학’ 으로 부르고자 한다. 역사를 되돌아 볼 때, 역사비평학은 이와 같은 해석학에 손상을 입혔으므로, 이제 ‘책임질 수 있는 해석학’으로 신학적인 해석의 르네상스를 다시 열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하게 한다. 특히 이 글은 신학과 철학의 역할에 대하여 특히 초점을 가지고 Kevin Vanhoozer, N. T. Wright, Francis Watson, 그리고 Herman Dooyeweerd의 사상과 씨름하면서, ‘책임질 수 있는 해석학’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ime is ripe for us to develop a biblical hermeneutic that takes our God-given capacity to respond to God seriously, what I call a response-able hermeneutic. In the context of the damaging effects of historical criticism on such a hermeneutic and the new possibilities opened up by the renaissance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is article focuses in particular on the role of theology and philosophy in such a responsible hermeneutic through an engagement with the works of Kevin Vanhoozer, N. T. Wright, Francis Watson and Herman Dooyeweerd. It is argued that insights from rigorous Christian work in philosophy, theology and exegesis will be required for a responsible hermeneutic for today.

      • KCI등재

        The Tenth Commandment, René Girard, And the Good Neighborhood of Hebrew Wisdom

        Craig G. Bartholomew(크레이그 바돌로뮤)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2

        이 논문은 십계명의 열 번째 계명과 잠언서의 지혜 사이에 공존하는 욕망(desire)과 관계되는 부분의 연구를 통해 구약의 지혜서에서 나타난 욕망의 역할을 탐구한다. 열 번째 계명이 십계명의 정신(ethos)중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는 것과 잠언서는 소위 “갈망의 학파”(a school of desire)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필자는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모방적 욕망”(mimetic desire)의 영향력 있는 이론에 근거하여 잠언서가 소위 “욕망”을 제한하고 규제하려는 관심에 있어서 특히 오늘날에 흔히 인식되는 것보다 더 큰 사회적인 중요성이 있다는 것을 주장하려 한다. 아울러 이 고찰은 십계명과 구약의 지혜서가 공유하는 가치 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role of desire in OT wisdom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ommon ground in desire between the tenth commandment and wisdom in Proverbs. It argues that the tenth commandment is of central importance to the ethos of the Decalogue as a whole and that Proverbs is similarly a school of desire. Following the seminal work of René Girard on mimetic desire, I propose that Proverbs’ concern to constrain and direct desire is of far great societal importance, not least for today, than is often recognized. In the process, light is cast on the system of values that the Ten Commandments and OT wisdom share in com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