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new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Application to representative basins and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Kang Minseok,Lee Youngju,Park Changyeol,Yoo Chulsang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2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2018)의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의 하천유역(중문천, 천미천, 한천)에 적용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적용의 결과로서 이들 세 유역의 CN 값이 산정되었으며, 이 값은 기존의 세 가지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제주도에서의 침투, 강우-유출 해석 등에 사용되는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선택된 방법론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 군 분류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에 따른 제주도 대표 유역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결과를 비교한 결과, Lee et al.(2018)의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B군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Hu and Jung(1987)의 분 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C군과 D군이, Jung et al.(1995)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 A군과 C군, 마지막으로 RDA(2007)의 분류 방 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D군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결과와 비교된다. (2) Lee et al.(2018)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주도의 3개 대표 유역에 적용한 결과, 3개 유역 모두 기존 방법에 비해 가장 작은 CN 값이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제주도에서의 강우-유출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한 결과, 제주도 유역의 CN 값은 기존 방법에 의해 추정된 것에 비해 작을 가능성이 크고, 또한 초기 손실은 0.2S 이상의 큰 값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 proposed by Lee et al. (2018) with its application to three river basins (Jungmuncheon, Cheonmicheon, and Hancheon) in Jeju Island. The CN values are estimated as results of this application to these three basins, which is then compared with those estimated by applying the conventional three methods. Additionally,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soil groups of Jesu Island, such as the infiltration and rainfall-runoff analysis, are reviewed to evaluate how the resulting hydrological soil groups vary depending on the adopted classification method..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1) Comparison result of the hydrological soil groups of Jeju Island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shows that the soil group B is dominant in the application of Lee et al. (2018). However, it is hydrological soil groups C and D in the application of Hu and Jung (1987), hydrological soil groups A and C in the application of Jung et al. (1995), and hydrological soil group D in the application of RDA (2007). (2) In all the applications of Lee et al. (2018) to three selected river basins in Jeju Island, the CN valuse are found to be smaller than those by other conventional three methods.. Lastly, (3) The evaluatio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hydrological soil groups analysis in Jeju Island shows that the CN value in the Jeju Island may be smaller than those estimated by conventional three methods, also the initial loss higher than 0.2S.

      •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an endophytic fungus Gaeumannomyces sp. JS0464 from a maritime halophyte Phragmites communis

        Lee, Changyeol,Kim, Soonok,Li, Wei,Bang, Sunghee,Lee, Hanna,Lee, Hyun-Jung,Noh, Eun-Young,Park, Jung-Eun,Bang, Woo Young,Shim, Sang He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7 Journal of antibiotics Vol.70 No.6

        <P>Endophytes, important plant-associated mycobiont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because of their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Even though halophytes have been reported to overcome salt stress via associations with their endophyte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metabolites produced by the endophytes from halophytes. In this study, a dark septate endophytic fungal strain (JS0464), identified as Gaeumannomyces sp. by ITS sequencing, was isolated from the rhizome of a halophyte, Phragmites communis, in Suncheon bay, South Korea. This strain was cultured on a large scale and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Chemical investigations of extracts of JS0464 led to the isolation of two glycosylated dialkylresorcinol derivatives (1-2), an anthraquinone derivative (3) and eight known compounds (4-11), which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analyses incorporating one-dimensional/2D NMR and MS. Nine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nitric oxide reduction activity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icroglia BV-2 cells, seven of which did not impair cell viabi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endophytes from the halophytes could be potential resources for bioactive natural products.</P>

      • KCI등재

        국제적 재난 경감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Lee, ChangYeol,Kim, Taehwa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지구 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로 생활 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과 대비한 IPCC와 UNFCCC를 포함한 많은 국제적 활동이 있다. 또한 UNISDR의 DRR 활동으로 센다이 프레임워크가 2015년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활동 사이에 상호 연계성과 미래 DRR 활동을 위한 우리의 준비와 방향을 제공한다. Global Warming makes the climate change in the earth. Life environment is continuously deteriorated. As a preparation and adaptation of the climate change,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activities including IPCC and UNFCCC. Also Sendai framework is new DRR activity of UNISDR. In this study, we discuss inter-connection of the activities and we check our preparation and guide for the future DRR actitivities.

      • KCI등재

        국가 재난관리자원 통합에 관한 연구

        Changyeol Lee,Taehwan Kim,Giljoo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0 No.2

        재난관리자원이란, 화재, 태풍, 홍수, 붕괴, 침수, 조난, 구호, 위생, 폭발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원이다. 이는 정부 기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 기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대규 모 재난이 발생하면 많은 재난관리자원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자원 관리 시스템이 각 기관 사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기관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시스템 사이 자원 정보를 통합 또는 연계하기 위하여 용어, 분류, 교환 데이터 규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는 표준 규격과 어떻게 시스템 사이 데이터를 연계하고 교환하는지 제시한다.

      • KCI등재

        재난 현장 대응 및 상황 정보 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ChangYeol Lee,TaeHwan Kim,ChangSeong Le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1

        대부분의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의 목표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지휘자의 정확한 상황 판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CCTV, 기상 등으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현장 담당자로부터 현장 상황 정보를 받아서 판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현장 담당자의 세부 임무 관리 및 임무 수행 상황에 대한 관리가 부족하여 현장 대응력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장 임무 수행 능력의 관리와 상황 관리를 통합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모델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Most of the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is focusing in the providing the situational information to support the decision of the commander.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sensing, CCTV, and weather data. Additionally, the reporting from the field agents is an axle of the data. These systems has weak in the field response capacities about the detail mission management to field agents. In this study, we focus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odel for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and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 KCI등재

        국제적 재난 경감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ChangYeol Lee,Taehwan Kim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지구 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로 생활 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과 대비한 IPCC와 UNFCCC를 포함한 많은 국제적 활동이 있다. 또한 UNISDR의 DRR 활동으로 센다이 프레임워크가 2015년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활동 사이에 상호 연계성과 미래 DRR 활동을 위한 우리의 준비와 방향을 제공한다. Global Warming makes the climate change in the earth. Life environment is continuously deteriorated. As a preparation and adaptation of the climate change,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activities including IPCC and UNFCCC. Also Sendai framework is new DRR activity of UNISDR. In this study, we discuss inter-connection of the activities and we check our preparation and guide for the future DRR activities.

      • KCI등재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동원 체계 연구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1 No.3

        It needs a framework to minimizing the damage using the just-time just-resources strategy. But it is not easy to put 'what kinds of resources', 'how many resources', 'from where institutions', and 'how much money for the reimbursement'. So most of the local government depends on the field manager.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conventional system and provides the efficient methodology to the stockpiling and mobilizing against to the disaster. The study does not provide the stockpile amount for the local governments, because the stockpile amounts must consider the local diverse situations. 재난 발생 시 신속히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투입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의 유형과 해당 필요량에 대하여 객관적 정보가 부족하여 현장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자원에 대한 보유기관과 해당 기관과의 응원 요청, 동원과 보상에 대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축과 동원에 대한 기존 체계에 대한 분석과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비축과 동원에 대한 샘플 사례 분석과 가이드라인 수준의 방향성 제시로 한정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실제적인 비축 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각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결정하여야 할 문제이다.

      • KCI등재

        재난 현장 대응 및 상황 정보 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Lee, ChangYeol,Kim, TaeHwan,Lee, ChangSeong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1

        대부분의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의 목표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지휘자의 정확한 상황 판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CCTV, 기상 등으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현장 담당자로부터 현장 상황 정보를 받아서 판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현장 담당자의 세부 임무 관리 및 임무 수행 상황에 대한 관리가 부족하여 현장 대응력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장 임무 수행 능력의 관리와 상황 관리를 통합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모델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Most of the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is focusing in the providing the situational information to support the decision of the commander.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sensing, CCTV, and weather data. Additionally, the reporting from the field agents is an axle of the data. These systems has weak in the field response capacities about the detail mission management to field agents. In this study, we focus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odel for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and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 KCI등재

        국가 재난관리자원 통합에 관한 연구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0 No.2

        재난관리자원이란, 화재, 태풍, 홍수, 붕괴, 침수, 조난, 구호, 위생, 폭발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원이다. 이는 정부 기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 기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많은 재난관리자원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자원 관리 시스템이 각 기관사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기관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시스템 사이 자원 정보를 통합 또는 연계하기 위하여 용어, 분류, 교환 데이터 규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는 표준 규격과 어떻게 시스템 사이 데이터를 연계하고 교환하는지 제시한다. Disaster Resources are the resources used in the disaster fields such as fire, typhoon, flood, collapse, flood damage, distress, relief, sanitary, explosion and so forth. The resources are distributed by the several institutes including governmental agencies,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sectors. When the large scale disaster is occurred, many kinds of the disaster resources are needed. But it is not easy to know where institutes has the needed resources, because the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re all distributed in the each institute. To integrate or connect the resource data among the systems, it need the several kinds of coordinations such as terms, classification, and resource exchange protoco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nd how to connect and exchange the data among the systems.

      • KCI등재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동원 체계 연구

        Changyeol Lee,Taehwan Kim,Giljoo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1 No.3

        재난 발생 시 신속히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투입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의 유형과 해당 필요량에 대하여 객관적 정보가 부족하여 현장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자원에 대한 보유기관과 해당 기관과의 응원 요청, 동원과 보상에 대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축과 동원에 대한 기존 체계에 대한 분석과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비축과 동원에 대한 샘플 사례 분석과 가이드라인 수준의 방향성 제시로 한정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실제적인 비축 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각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결정하여야 할 문제이다 It needs a framework to minimizing the damage using the just-time just-resources strategy. But it is not easy to put ‘what kinds of resources’, ‘how many resources’, ‘from where institutions’, and ‘how much money for the reimbursement’. So most of the local government depends on the field manager.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conventional system and provides the efficient methodology to the stockpiling and mobilizing against to the disaster. The study does not provide the stockpile amount for the local governments, because the stockpile amounts must consider the local diverse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