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ndheld versus Traditional Computer Security Threats and Practices

        Aaron French,Jordan Shropshire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1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1 No.2

        Since the advent of the internet, individual concern for privacy and security has grown in importance. Measures for controlling and minimizing security risks have also increased in use. However, the latest gene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handheld computing devices, ushers in a new wave of security concerns. Viruses and spyware are increasingly targeted toward mobile devices.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user perceptions of security threats to handheld dev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individual awareness and use of security measures for handheld devices. Students enrolled in a major university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were surveyed.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jects are familiar with threats and security measures for traditional computers, but are largely unaware of threats to handheld device securit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educators are discussed.

      • KCI등재

        An Empirical Analysis Evaluating Trust in Friends Versus the Community in the Social Networking Context

        Aaron French(아론 프렌치)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3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와 관련하여 결과 변수들에 신뢰의 2가지 범주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Social Networking Sites, SNS)의 회원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커뮤니티에 대한 신뢰와 친구들에 대한 신뢰 2가지의 명확한 차이를 밝혀내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네트워킹 연구에서 이전에 연구된 개념들에 신뢰의 2가지 범주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SNS에 관한 연구에서 신뢰의 적절한 범주를 확인하는 중요성은 이전에 확립된 모델의 응용을 통해 증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뢰의 2가지 범주를 구별할 필요성을 뒷받침해주고, 향후 SNS 관련 연구를 위한 지침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