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지역 출토 월요청자 및 관련 문제

        李軍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본문은 한국 백제 유적에서 출토된 중국 조기 월요 청자를 통해, 그 연대와 분포지역, 기종, 용도 등 여러 방면을 고찰하였고, 중국 조기 월요 청자가 백제로 유입하게 된 방식과 해상 노선 등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시에 변산반도와 죽막동 유적을 둘러싸는 해항노선상의 주요 위치와 그 역할에 대해 상세히 논하였다. 한국 백제지역에서 중국 六朝시기 100여 점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그 중 중국 조기 월요 청자에 속하는 개체를 총 합한 수는 24점(편)이고, 주로 백제 한성시대의 수도 한성(현 서울), 그리고 웅진(현 공주), 사비(현 부여)의 세 수도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의 토성유적, 생활유적, 고분과 제사유적 등에서 출토되었다. 그 중 한성에서 가장 출토가 많이 되었고, 월요 청자는 대부분 東晉의 것이며, 수도가 존재한 시기와 부합한다.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조기 월요 청자는 주로 浙江宁绍平原, 上虞曹娥江 중류 지역과 慈溪上林湖, 古银锭湖区域의 것이다. 조기 월요 청자의 종류를 살펴보면, 완, 발, 관, 호, 호기, 벼루, 양 형기 등이고, 출토 기물의 기능으로 말하자면, 주로 식기, 盛贮器(불교그릇), 차구, 문방용구, 위생기구와 장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출토 기물의 다양성은 당시 漢문화를 특징으로 한 중국 생활 방식과 풍습이 백제로 전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화 전파의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은 한자와 서예 예술을 주 내용으로 하는 漢문화 전파와 중국 차 문화의 전파이다. 백제로 유입된 조기 월요 청자는 반드시 해외 교역 상품과 조공품으로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해야 하고, 당시 양국 관방과 민간의 왕래와 연관이 있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조기 월요 청자는 아래 4가지 방식으로 백제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관방 교역이 양국 교류의 주도적 역할을 하여 양국 사신과 수행원의 왕래가 빈번하였다. 조공기간에 수도 建康에서 지낸 백제 사신들이 청자 그릇을 구입해 돌아갔을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 또한 동진의 권세 가문이 백제의 사신을 응대 했을 때 준 선물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는 東晉 사신이 백제로 갔을 때, 최신 유행하는 예물로서 백제의 관련 인사에게 선물로 주었을 가능성도 있다동진시기 백제 승려들이 중국으로 가서 구법을 하였다. 또한, 중국 남방 도성 建康과 백제로 승려들이 빈번하게 오고 갔으며, 동시에 중국 일상 용품의 도자기를 몸에 지니고 백제로 들어왔을 것이다. 한국에서 발견된 중국도자기 중 제사용품이 이를 증명한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한국에 현존하는 백제 사찰과 무령왕, 성왕왕릉 등의 유적들은 南朝 형식과 비슷한데, 이는 중국에서 여러 번 능숙한 공인들을 파견하여 기술을 전파하였고 장인 기술자들이 백제를 왕래할 때 일상생활 용품 자기를 휴대하였다. 낙랑, 대방군의 유민과 당시 중국 遼東 등 내지에서 남하한 漢人 유민들이 한반도로 유입되었고, 황해남도 신천군과 주변을 중심지역으로 漢人 거주구역이 형성되었다. 이 지역에 중국 三國時期부터 東晉 전기까지 속하는 월요 청자가 발견되었는데, 유민들이 정착하며 남긴 물건이다. 東晉-南朝시기 기존의 해상 노선이 막혀 백제와 중국 남방 사이에 한성, 웅진과 사비 등 지역을 출발지로 하는 새로운 노선을 개척했다. 한강 혹은 금강 하류를 지나면 강화만과 군산만에 다다른다. 이어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고 황해를 건... By analyzing the dynasties, geographical presence, types of ware and functions, as well as the historical records of both China and South Korea,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dium, approaches and shipping routes of Yue Kiln Celadon Porcelain into Baekje, meanwhile illustrating the important role of Beonsan Peninsula and Jumakdong site on the shipping routes. More than 100 pieces of porcelain wares have been unearthed in Baekje, of which 24 are Yue Kiln Celadon Porcelain. Most of the porcelain is found in the then capital Seoul (today’s Seoul), and the city walls, residence sites, ancient tombs and worshiping sites in the neighborhood of Seoul, Woongjin (today’s Kongju), and Sabi (today’s Buyeo). Seoul witnessed the largest amount of porcelain unearthed. The dynasties of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roughly coincide with the existence of dynasties in history.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unearthed in Baekjae are mainly produced in Ningshao Plain of Zhejiang Province, in the middle reaches of Cao’e River of Shangyu City, Shanglin Lake and Guyindian Lake in Cixi City. A variety of different wares are found, including bowls, jars, pots, urinals, ink stones, sheep-shaped containers, etc. As regard to functions, there are table wares, storage containers, tea sets, stationeries, sanitary wares, decorative wares, etc. The diversity of the wares shows that the Chinese culture, living style and customs had get across to Baekje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e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and the Chinese tea culture. The import of Yue Kiln Celadon Porcelain into Baekje should be a result of the frequent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the two sides,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instead of via trade or as gifts from the Chinese government.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there might be four approaches. The period has witnessed frequently two-way flows of diplomatic envoys and attaches. The envoys from Baekje might have bought celadon porcelain wares or received as gifts from their Chinese counterparts during their visit in China and brought them back home. Likewise, Chinese envoys in East Jin Dynasty might have brought porcelain wares to Baekje as gifts to local people. In East Jin Dynasty, a lot of monks from Baekje travelled to China to learn Buddhist doctrines. During their journeys, they also brought the porcelain wares they used in China back to Baekje. This view is evidenced by some Chinese porcelain unearthed in South Korea proven to be worshiping wares. The existing Baekje Temple and the tombs of King Muryeong and Seong in South Korea are similar with the tomb styles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The above-mentioned fact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China had sent skilled craftsmen for many times to Baekje to teach local counterparts, and they might have taken porcelain ware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with them. The former residents in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and in East and West Liao Kingdom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us formed a Han neighborhood with HwangHaeNamDo Shincheon Gun at its core.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dating to Three Kingdoms Period till early East Jin Dynasty discovered in this area could be left by those immigrants. In East Jin Dynasty, as the traditional shipping route was blocked, a new shipping route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part of China was explored, starting from Seoul, Woongjin and Sabi, traveling along Han River and Geum River and then flowing into Ganghwa Bay or Kunsan Bay, and all the way southward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nd across the Yellow Sea to reach the mouth of Yangtze River to Jiankang. In the late East Jin Dynasty, another “North-to-South” route was established via Shandong Peninsula, across the Yellow Sea, to the Ganghwa Bay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its unique maritime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location, Beonsan Peninsula had become an ideal stop-over and transfer 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