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在城에 대하여

        이정룡 한국지명학회 2019 지명학 Vol.31 No.-

        Silla’s Jaeseong[在城] is the borrowed character which is recorded Wolseong’s nickname known as a royal castle. Wolseong is said to have been made in 22(101) years of Pasa kingdom which is the fifth king of Silla. There is Lee Byeongdo(1931) as a previous linguistic view for Silla’s Jaeseong[在城]. In this view, Goryeo’s Jaeseong[在城] was reconstructed to ‘*gyeon-seong’ and was understood to ‘a castle where a king lives’, furthermore he said the same for Silla’s Jaeseong[在城]. This view is quoted in many views as if it were common theory. Borrowed-character’s value of Jae[在] proved to be ‘*gyeo~*gyeon’ in Goryeo period, and it is possible that the meaning of ‘*gyeon-seong’ can be perceived as ‘a castle where a king lives’ by metonymy. Although I can agree to the previous view on Goryeo’s Jaeseong[在城], because Silla’s Jaeseong[在城] has a different uniqueness than Goryeo’s Jaeseong[在城] I has a view that Silla’s Jaeseong[在城] sh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with Goryeo’s Jaeseong[在城]. Uniqueness of Silla’s Jaeseong[在城] is Wolseong’s nickname which is built as a royal castle. In other words, it is that a name for the royal castle was symbolized as Jaeseong[在城] of Silla. Because of this, this study reconstructs Borrowed-character’s value of Silla’s Jaeseong[在城] into ‘*isjas~*isɔjas’ to fit the uniqueness of Silla’s Jaeseong[在城], and seeks an understanding that ‘*isjas~*isɔjas’ is the normal noun which means a royal castle. To seek this understanding, I identify ‘*isda~*isida’ in Wooden Tablets and Kalhangsa’s pagoda-record of Silla, as a borrowed-character’s value of Jae[在]. Accordingly on this reconstruct ‘*isjas~*isɔjas’ which means a royal castle as a normal noun, confirm that ‘*isda~*isida’ is a cognate relation with *isgɔn’ or ‘*isgɔm~*isɔgɔm’ which is referred to as a ruler(king). In accordance with these arguments, what is formed as a normal noun on the basis of ‘*is~*isɔ’ referred to as a ruler(king) is ‘*isjas~*isɔjas’, and it is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that ‘*isjas~*isɔjas’ is recorded as Jaeseong[在城]. 신라 在城은 신라의 왕성으로 알려져 있는 月城의 별칭을 기록한 차자표기다. 月城은 신라 5대 왕인 婆娑王 22(101)년에 축성되었다고 한다. 월성의 별칭을 기록한 신라 在城에 대한 언어적 선견으로서 李丙燾(1931)가 있다. 선견에서 고려의 在城은 ‘견城’으로 읽히는 것이며 ‘임금이 계시는 城’이라 이해하였고, 나아가 신라 在城도 이와 같은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 견해가 마치 통설로 받아 드려져 신라 在城에 대한 언어적 이해에 인용되기도 한다. 고려 시대에 在의 차자 가치가 ‘*겨~*견’으로 밝혀지고, 고려 在城이 ‘임금이 계시는 城’이라는 환유적 인식이 가능하므로 선견은 설득력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고려 在城에 대한 이와 같은 선견에 동의할 여지가 많아 보이나 신라 在城은 고려 在城과 달리 이해되어야 할 독자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신라 在城은 그 독자성에 따라 차자 가치가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관점이다. 월성의 별칭을 기록한 신라 在城의 독자성은 처음부터 왕성을 뜻하는 말로써 기록된 것이라는 점이다. 즉 왕성을 뜻하는 어떤 말이 在城으로 표상되었던 것이고, 그 어떤 말은 在城의 표기 가치에 따라 ‘*잇잣~*이ᄉᆞ잣’으로 재구되는 것이며, ‘*잇잣~*이ᄉᆞ잣’은 왕성을 뜻하는 보통 명사로 이해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在가 신라 시대에 ‘*잇다~*이시다’로도 새겨졌다는 사실이 신라의 목간과 「갈항사탑기」등에서 파악되고, 왕성으로 지어진 月城이 보통 명사 ‘*잇잣~*이ᄉᆞ잣’으로도 불리어 在城으로 기록되었다는 논증과, 이와 같이 불렸다는 것이 지배자(왕)를 지칭한 ‘*잇ᄀᆞᆫ’ 및 ‘*잇ᄀᆞᆷ~*이ᄉᆞᄀᆞᆷ’과 동근어 관계라는 언어적 인식 등에 의해 납득된다. 요컨대, 월성이 신라의 왕성으로 만들어진 실체라서 고유칭(月城) 외에 당시의 지배자(왕)를 지칭하던 ‘*잇~*이ᄉᆞ’를 기반으로 조어되어 보통 명사로 불린 것이 ‘*잇잣~*이ᄉᆞ잣’이었으며, 이것이 在城으로 표기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 본고의 논지다.

      • 借字 表記 「美 , 好」에 對하여

        이정룡 한국지명학회 2005 지명학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orrowed-character quality of 「美」 and 「好」.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美ㆍ好」 is used 「美川王 一云 好壤王」 in the 15 Koguryeo king-name. In relation to this record, Chang Se-Gyeong(1990) studied on 「美ㆍ好」, He suggest 「*cuhɐn」 to the mean-reading character of 「美ㆍ好」. The other opinion does not appear, perhaps to be rare the items related with 「美ㆍ好」. I preferentially recognize 「美ㆍ好」 to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 then will attempt to revel what is the idiom of borrowed character 「美ㆍ好」, using of place name data. 「美川王」 and 「好壤王」 is from the place name - 「美川」 and 「好壤」. I want to aware the generated-meaning of 「美川」 and 「好壤」, and will be make efforts in order to ensure the adequacy on my opinion by the generated-meaning of 「美川」 and 「好壤」. According to the item of 『三國史記I』, 「美川王」 is named by 「好壤王」. If 「美川王」 and 「好壤王」 is the same type in naming, it mean that 「美川王」 must be the equivalence relation with 「好壤王」 on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 The case that two borrowed-characters is able to name equally, is in mean-reading 「美」 and 「好」. The based data which 「美」 is the same type with 「好」 in mean-reading, is that Kogorye-people 「好童」 is named as handsome-men(顔容美麗 王甚愛之 故名好童). That which is named by 「好童」 for a handsome- men(美麗), establish 「美」 and 「好」 to the equivalence relation. In middle Koran, the mean-reading morph of 「美」 is 「아」(a-rɐm). According to this, 「아」(美) is having a morphologic condition which is retrod to 「*~*」(*ɐrɐ~ɐr). In addition to this, 「嘉」 which is equivalence with 「美」 in meaning, is described to be 「*~*」 on ancient place-names. it is known that 「美」 is use to mean-reading morph - 「*~*」. This point is verifiable the being of 「*~*」 in old-age Koran, And including the equal meaning category, 「良」 is read to 「알」 into Korean-idiom. Through inference such this, it is understood that the mean-reading morph of 「好」 is 「알」 as Korean-idiom a long time ago. And 「美ㆍ好」 into 「美川王」 and 「好壤王」 is able to reconstitute as 「*~*」 in the basis of 「아」(美). In advance we able to read 「美川王」 and 「好壤王」 as 「*-왕」(*ɐrɐ-nɐ king) or 「*-왕」(*ɐr-nɐ king). Lee Byeong-Seon(1988) and Chon So-Young(1990) is insisted on a 「大ㆍ長ㆍ首」(a meaning of the highest grade) on generative-meaning of the old place-name of 「*~*」-type. I agree to their opinion, I was able to prove such a generative-meaning through a title of main villages and a religious place in ancient times. In result of this study, It is defined that 「美川王」 and 「好壤王」 is named by borrowed chinese character equally and I am able to demonstrate that the borrowed-character quality of 「美川王」 and 「好壤王」 is a mean-reading character - 「*~*」, and so a place name of 「美川」 and 「好壤」 to be. Able to read by 「*~*」 type, it will be inferred that the generative-meaning of 「美川王」 and 「好壤王」ㆍ「美川」 and 「好壤」 is 「大ㆍ長ㆍ首」(a meaning of the highest grade).

      • ‘西’의 고유어 고찰

        이정룡 한국지명학회 2000 지명학 Vol.4 No.-

        ‘西’의 고유어를 확인하기 위하여, ‘西’가 借字된 古地名을 분석․검토한 후 ‘西’의 상관성 형태를 확인하였고, 그 쓰임을 통해서 상관성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들 상관성 형태와 의미가 언어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형태소를 검증하고 논증하였다. 고지명을 통하여 확인된 ‘西’의 상관성 형태는 ‘*pVrV~*pVr’과 ‘*kVrV~*kVr’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자의 형태가 ‘西’의 고유 형태로 채택되었다. 고지명에서 확인된 상관성 형태 ‘*kVrV~*kVr’를 ‘西’의 고유어 형태로 볼 형태적․의미적 요소가 검증되지 않았다. 상관성 의미로서는 ‘漸暗’이라는 상태적 의미를 검증할 수 있었는데, ‘西’의 상태적 의미 ‘漸暗’은 ‘東’의 상태적 의미 ‘黎明’과 對를 이루고 있었으며, ‘西’의 상태적 의미 ‘漸暗’은 日消라는 日行의 상태에서 비롯된 것임을 논증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西’의 고유 형태소는 ‘*~*’(西, 盲, 漸暗, 暗)로 재구하였다. 알타이語에서 ‘pVrV’(西, 右, 日消, 盲)의 형태가 폭넓게 확인되는데, 이것은 ‘西’의 고유어를 ‘*~*’로 재구한 것에 대하여 傍證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