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재의 용기’로서 정지용의 신학적 사유 고찰 ― 「슬픈偶像」과 「삽사리」, 「溫井」을 중심으로

        金貞秀 ( Kim Jeong-s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1 No.-

        본고는 「슬픈偶像」과 「삽사리」, 「溫井」 등을 재해석함으로써 후기 시의 바탕에 놓인 정지용의 신학적 사유와 그 가치를 가늠하고자 한다. 이 시 세 편의 공통된 시적 소재는 ‘나―그대’의 관계(사랑)이다. 이를 중심으로 「슬픈偶像」에서는 ‘신/인간’의 관계에 대한 탄식 어린 물음이, 「삽사리」와 「溫井」에서는 그러한 물음에 대한 자답(自答)으로서 정지용의 신학적 사유가 개진된다. 이 세 편의 시에는 절대자와의 거리감을 신앙(관계)의 일부로 수용하고자 하는 존재의 용기에 대한 사유가 깃들어 있다. 신의 부재로 경험되는 고난의 순간이야말로 절대적 믿음을 깨닫는 계기이며, 신앙은 신과 자아의 ‘거리감’을 상호귀속적 관계(사랑)의 본질로서 끌어안았을 때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이 신학적 사유 속에서 시인의 신앙은 신이 나를 구원해줄 것이라는 확신이 아니라 신이 부재하는 상황 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담히 순종하는 태도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value theological reasoning of Jiyong Jeong, which is shown in his later poetry by reinterpreting "Seulpeun Usang (sad idol)", "Sapsari" and "Onjeong (Hot spring well)". The main subject matter of these three poems is the relationship (love) between you and 'me'. "Seulpeun Usang (sad idol)" furiously expresses internal conflict of the poet against the Absolute through the shape of the 'sleeping God' and the motive of unrest 'drifter' who wanders. Although it praises the God at a first glance, it contains a so-called theodicy question that is raised from fundamental skepticism about the faith. The poem expresses double-valued feeling (praise and sigh at the same time) toward the Absolute. In the process, faith and skepticism shows their contradictory co-existence as found in the Book of Job. This authentic feature of the poem inevitably leads think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and the self. The poems in which Jeong's theological thinking is actively formed are "Sapsari" and "Onjeong (Hot spring well)". The important element in 'Sapsari'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apsari and you', which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in a different form. The relationship contains the poet's thinking about the courage to be that attempts to accept the distance with the Absolute as a part of faith. In the poem, faith is shown in the form of plain obedience 'in spite of' the circumstance that the God seems not to exist, rather than confidence of salvation by the G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and the self' that started to be formed by such faith (attitude) is more clearly presented in 'Onjeong (Hot spring well)'. The poem indicates that the unreduceable distance between the God and the self does not conflict with 'co-existence'. Rather, it could be the base of 'co-existence'. It is in the moment of hardship, which could be experienced by 'absence of the God', that people realize the absolute faith. The real faith could be obtain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God and the self is embraced as the nature of the mutual attractive relationship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