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金聲振(Kim, Sung-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nd Regime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Huh Kyun's Hanjeongrok, the precursor of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period, which is mainly about artistry and preservation of health. Won Kwengdo, who was a major influence on the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s well as Park Jiwon, Lee Dukmoo, Nam Gongchul also had great interest in the preservation of health. Huh Kyun had suffered from diabetes, which is still an incurable disease. Lee Dukmoo was advised by a doctor to read the books on the preservation of health since he was frequently ill due to eye problems and intemperate surges. Park Jiwon suffered from depression, and Nam Gongchul was so ill that he had to ask doctor's advice on a daily basis. Their history of illness greatly influenced their taste in reading and lifestyle as well. Since short writings are largely related with daily life, it is reasonable for those who were frequently ill or who read many books on the preservation of health to write more on recuperation. For example, Huh Kyun wrote Lim-no-in-yang-saeng-seol(任老人養生說) and Byuk-gok-byun(辟穀辨). Park Jiwon wrote Kim-shin-seon-jeon(金神仙傳). Lee Dukmoo wrote Yi-mok-gu -shim-seo, which is about Moonsaeng, who made an effort to preserve his health and about Kim Honggi,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Kim-shin-seon-jeon. Hanjeongrok, a book mainly about artistry and preservation of health, influenced writers of short pieces during Late Joseon. "Bo-yang-ji" from Lim-won-shib-yuk-ji(林園十六志),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nd preservation of health. Lee Dukmoo wrote comments on each chapter of Poong-sok-go-hyub-jib(楓石鼓篋集), written by Seo Yoogu, who wrote the preface for Lee Dukmoo's Cheong-ryung-guk-ji(蜻蛉國志). Not only Lee Dukmoo and Seo Yoogu were friends, but also the contents of Lim-won-shib-yuk-ji which are inseparable from Yowha, Daewha, and Gansan like Byung-sa and Myung-san-gi. "Su-chin-yang-ro" chapter of "Bo-yang-ji" is aware of Su-chin-yang-ro-seo,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ature excursion.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 and preservation of health, focusing on the influence short writing made on Late Joseon writers and their works. In addition to finding the relationship, this research also aims to find out that these grafted flowers, aesthetic trees and nature excursions are not mere tastes but a style of recuperation by showing examples of Kim Yiman and Shin Jeongha, both active 50 years ahead of Park Jiwon. Byung-sa and Myung-san-gi provided momentum to get excited over Won Kwengdo's literatu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expand the study area of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back to late 17th century writers such as Kim Yiman and Shin Jeongha by showing connections like Byung-sa and Myung-san-gi.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is area. 본 연구는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의 관계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조선후기 소품문의 선편을 잡은 허균이 편찬한 󰡔閑情錄󰡕의 전체적인 흐름은 결국 ‘雅趣’와 ‘養生’으로 귀착될 수 있고, 조선후기 소품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袁宏道 뿐 아니라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소품가인 박지원과 이덕무, 남공철 등도 ‘養生’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이다. 허균은 지금도 난치병에 속하는 소갈증(=당뇨병)으로 고생을 하였고, 이덕무는 안질과 울화증을 포함한 잦은 병치레로 몸이 쇠약해져서 의원으로부터 養生書를 읽을 것을 권유받기도 하였다. 박지원은 우울증을 앓은 바 있고, 남공철은 병이 많아 날마다 의사에게 養生과 益壽의 약에 대해 물어야 할 정도였다. 이들의 病歷이 독서성향과 생활패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품문은 그 무엇보다도 卽生活的인 문학이라 할 수 있으므로 잦은 병치레를 하였거나 양생관련 서적을 많이 읽은 문인들의 시문에 상대적으로 養生 관련 문구가 많을 것임은 불문가지일 것이다. 실제로 허균은 「任老人養生說」 「辟穀辨」을, 박지원은 「金神仙傳」을 지었으며, 이덕무의 『이목구심서』에는 養生에 힘쓴 閔生과 「김신선전」의 주인공인 김홍기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한정록』은 물론 조선후기 소품문을 관류하고 있는 ‘雅趣’와 ‘養生’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면서 조선후기 소품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책으로 『甁史』와 『名山記』를 들 수 있다. 『林園十六志』의 일부인 「葆養志」 역시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의 관계를 살핌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덕무는 『임원십육지』를 저술한 서유구의 『楓石鼓篋集』의 각편에 評語를 썼고 서유구는 이덕무의 『蜻蛉國志』에 서문을 쓰기도 했다. 이덕무와 서유구가 개인적인 친분을 가지고 있었을 뿐 아니라, 『林園十六志』의 내용 그 자체도 『甁史』와 『名山記』처럼 澆花와 對花, 그리고 看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葆養志」의 ‘壽親養老’라는 篇章은 『壽親養老書』를 의식한 것인데, 이 책은 山水遊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헌이 조선후기 소품가들에게 미친 영향 또는 이들 문헌에 대한 조선후기 소품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소품문과 양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별도로 박지원등에 비해 반세기 이전에 활동했던 김이만과 신정하의 예를 통해, 『甁史』와 『名山記』가 袁宏道의 문학에 심취하는 경로가 되었으며, 接花와 藝木, 그리고 명산의 탐방이 단순한 기호가 아닌 일종의 養生法이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甁史』와 『名山記』를 고리로 해서 조선후기 소품문의 연구영역을 김이만과 신정하처럼 17세기 후반의 문인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된 것은 본 연구의 중요한 의미로 여겨지며, 이 부분은 후속연구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 KCI등재

        鶴皐 金履萬의 「山史」 硏究

        Kim, Sung Jin(金聲振)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遊記散文인 鶴皐 金履萬의 「山史」가 이루어진 배경과 그 의미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김이만은 山水癖이 있어 백두산에서 호남의 월출산까지 전국 각지의 명승을 두루 다녔는데, 「山史」는 그의 산수유람 기록이다. 「山史」의 自序에도 있는 것처럼, 김이만은 『名山記』를 읽고 느낀 바 있어 수십 년 동안의 유람을 회상하면서 「山史」를 집필하였다. 「山史」를 각 條文 속의 字句와 그의 官歷를 비교 분석한 결과, 「山史」 56개조는 집필자인 김이만이 平安都事와 咸鏡都事 및 務安縣監 재임시 임지 주변의 명승을 다녀온 것이 대부분이었고, 그 외에는 대체로 제천에 귀향해 있으면서 주변 명승을 유람한 것을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山史」의 집필 배경과 서술방식, 그리고 그 내용을 살피는 과정을 통해 「山史」가 조선후기 문인들의 臥遊의 주된 대상이 되었던 袁宏道의 산수유기의 영향 하에 이루어졌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렇듯이 17세기 초에 이루어진 「山史」가 晩明 公安派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이루어졌다는 것은 문학사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사실이다. 김이만이 스스로 밝혔듯이, 「山史」는 『天下名山記』등을 통한 와유를 기초로 해서 스스로 명승을 찾아가는 眞遊를 실행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겨 다시 臥遊와 養生의 방편으로 삼은 사례였다. 「山史」에는 김이만이 유람에 참고하였을 만한 시문과 산수유람에 동행했던 사람들이 밝혀져 있어, 이들의 상호연관성을 통해 조선후기 지식인사회의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던 것도 본 연구가 갖는 의의 가운데 하나이다. This study is on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Sansa」, that is the History of Mountains of Kim Yiman, Hakgo, which was a typical prose of travel sketch in the late Chosun Dynasty. Kim Yiman, who had a disposition of roving around mountains and waters, travelled from Mt. Baekdu to Mt. Wolchul, the Honam district, visiting celebrated places of natural beauty. 「Sansa」 was his record of travelling around mountains and waters. As shown in the prologue, Kim Yiman wrote 「Sansa」 under the inspiration of 『Myungsangi』, that is, A Record of Noted Mountains, looking back over his decades' journey. From a comparative analysis on its phrases of each heading and his official history, fifty-six headings were mostly related to travelling scenic attractions around his post during his service as Pyeongan-Dosa, Hamkyeong-Dosa and Mooan- Hyeongam, and most of other headings were written about picturesque sites around his hometown, Jecheon after his returning home. In the study of its background, writing style and contents, 「Sansa」 was foun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Won Goyngdo's 'Sansooyugi', that is, A Record of Travelling around Mountains and Waters, which was in the main interest of wayoo, that is, literary mens' exploring picture books of scenic attractio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wa a significant fact that 「Sansa」, which was written in the 17th century, was directly influenced by Gongan Sect in the late Ming Dynasty. As Kim Yiman stated, 「Sansa」 was a literary product of visiting noted places in person on the basis of exploring picture books such as 『Chunhamyungsangi』, that is, A Journey Record of Highly Noted Mountains, and it came to serve as an object of wayoo and a means of dignified life, in return.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racing the literary society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his supposed references to literary works and travelling companions mentioned in 「Sansa」.

      • KCI등재

        『瑣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金聲振(Kim Su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This paper analyzed the living style of the yangban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in view of 『Shoaemirok』 , written by Oh Heemoon(1539~1613). 『Shoaemirok』 depicted the trivial and troublesome routine aspects realistically and sincerely, which were experienced in taking refuge during Japanese invasion from the 2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hunjo, that is, 1591 A.D. to his 34th year, that is, 1601 A.D. The true value of 『Shoaemirok』 lay in its literary style, even though it could be regarded as too demotic and simple.<BR>  Different food cultures in different periods were not only the constitution of daily lives itself but also their whole body itself, considering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living styles in the premodern times. However, it has not been easy to find much literature which recorded the food culture specifically. From this point of view, 『Shoaemirok』 was the best material for tracing our past living style.<BR>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construct and make inquiries into multifarious lives in view of the food and entertainment culture, and to complement or straighten some imperfections which could be found in previous studies. 『Shoaemirok』 mentioned almost all kinds of diets, but this paper dealt with what is called our traditional foods among them, such as Kimchi, soybean sauce, pickled seafood, tofu, noodle, and roasted fish or meat.<BR>  『Shoaemirok』 was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n itself, as this study reconstructed its records into several frames and sought their meanings. Moreover, the Oh Heemoon family was brought into focus and was analyzed from the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anges in some traditional foods including Kimchi and the living aspects of the yangb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본 논문은 吳希文(1539~1613)이 기록한 『?尾錄』을 통해 조선중기 양반가의 생활상을 살펴본 것이다. 『?尾錄』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선조24년(1591)부터 선조34년(1601년)까지의 생활을 기록한 것으로, 극히 일상적이고 번다한 생활상을 진솔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尾錄』의 글쓰기 방식은 종래의 문장관으로 보면 극히 통속적이고 쇄소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이것이 곧 『?尾錄』의 진정한 가치이다.<BR>  근세 이전 생활상의 복원을 염두에 둘 경우, 각 시대마다의 음식문화는 일상의 골격인 동시에 몸체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음식문화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문헌은 그리 흔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식생활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는 『?尾錄』은 과거 생활상의 복원을 위해 더없이 좋은 자료이다.<BR>  본 논문은 『?尾錄』에 담겨져 있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천착하며, 기존의 관련 연구 가운데 다소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조금이나마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된 것이다.<BR>  『?尾錄』에는 거의 날마다 먹거리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그 가운데 김치와 醬醯, 두부와 국수처럼 이미 우리의 전통음식으로 굳어진 것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BR>  본 연구는 『?尾錄』의 기록을 몇 개의 틀로 재구성해서 그 의미를 찾는 것이므로, 『?尾錄』의 기록 그 자체가 주된 討究의 대상이었다. 또한 가급적 오희문 일가에 초점을 맞추어 놓고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김치를 포함한 각종 전통음식의 변천사나 조선후기 양반들의 삶의 모습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公無渡河歌>의 作者와 創作空間에 대한 文獻的 硏究

        金聲振(Kim Su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6 No.-

        본고는 <公無渡河歌>의 ‘朝鮮津卒霍里子高’와 ‘渡河’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통해 여전히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이 노래의 작자와 창작공간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공무도하가>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작자의 국적 문제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쟁점은 고문헌은 물론 근래의 연구에서 노래가사로서의 <공무도하가>와 음악으로서의 <공후인>을 구분하지 않은 데 기인하는 바 크다. 시가로서의 <공무도하가>를 처음 기록한 崔豹의 『古今注』에서는 <箜篌引>은 여옥이 지은 것이고 <공무도하가>는 白首狂夫의 아내가 지었다고 밝혔는데도, <箜篌引>은 朝鮮津卒 霍里子高의 처 麗玉이 지은 것이라는 첫 문구에 끌려 <공무도하가>의 작자를 麗玉으로 단정한 것이다. <공무도하가>는 창작 추정 시기와 문헌수록 시기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있다. 이럴 경우, 채록 당시의 문화지리적 환경을 살펴보는 것이 긴요하다. ‘朝鮮津卒’이나 ‘渡河’의 ‘河’ 역시 그러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朝鮮津卒霍里子高’ 특히 ‘霍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도 그동안 학설이 분분했으나, 본고에서는 『萬姓統譜』 『欽定續通志』 등의 고문헌에 수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霍里는 ‘霍氏의 마을’이고 ‘霍里子高’는 그 마을에 사는 古朝鮮 사람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公無渡河歌> 등장인물들의 국적과 <공무도하가>의 창작공간을 확정함에 있어 ‘渡河’의 河의 성격을 구명하는 것이 절대적 전제조건인 바, 본고에서는 <공무도하가>의 河는 大同江이 아니라 遼西지역의 朝鮮河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河를 대동강으로 보았던 조선후기 실학자들과 이에 근거하여 <공무도하가>의 河를 대동강으로 확정적으로 보거나 또는 판단을 보류한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것이다. 河가 遼西지역에 있던 朝鮮河라는 사실은 霍里子高 부부와 白首狂夫 부부의 국적 및 <공무도하가>의 국적을 확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단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writer and creative space of <Kongmudohaga> in the light of two keywords, ‘Chosunjinjol’ ‘Kwakrijago’ and ‘doha’, as their identification has been at a standstill. There were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including the writer’s nationality related to <Kongmudohaga>. These issues were raised largely because <Kongmudohaga> as lyrics and <Konghuin> as music were not definitely distinguished in recent studies as well as in ancient writings. Even though Choe Pyo’s 『Kogeumju』, recording <Kongmudohaga> as lyrics for the first time, showed that <Konghuin> was written by Yeo-ok and that <Kongmudohaga> was written by a white-haired mad man’s wife, the writer of <Kongmudohaga> was often concluded to be Yeo-ok because of its first phrase where <Konghuin> was written by Yeo-ok, the wife of Chosunjinjol Kwakrijago.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presumed writing time and the literature-recording time of <Kongmudohaga>.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in its recording time. Chosunjinjol or ‘ha’ of ‘doha’ should be approached in the same viewpoint, as well. There have been several views particularly about ‘Kwakri’ of ‘Chosunjinjol Kwakrijago’. This study showed that Kwakri was a last name and Kwakrijago was from Gojoseon, Korea’s first kingdom, on the basis of materials recorded in ancient literature such as 『Manjeongtongbo』, 『Heumjeongsoktongji』 and so on. As ‘ha’ of ‘doha’ should be identified as an absolute precondition in confirming the nationality of characters and the creative space of <Kongmudohaga>, this study revealed that ‘ha’ of <Kongmudohaga> was not the Taedong River, but the Chosunha in the region of Liaoxi. This revelation overthrew the conventional theories which reached the same conclusion under the influence of pragmatis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o concluded ‘ha’ of <Kongmudohaga> to be the Taedong River, or which reserved its identification. The fact that ‘ha’ was the Chosunha in the region of Liaoxi provided a critical clue in identifying the nationalities of Kwakrijago and his wife, of the white-haired mad man and his wife, and of <Kongmudohaga>.

      • KCI등재

        記錄文에 대한 想像的 接近의 일례 - 장영실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金聲振(Kim Sung-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기록문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하는 방법론의 한 실례로써 제시된 것이다. 08’ 하계학술대회의 기획주제 〈18세기를 바라보는 눈:『?齋亂藁』〉에 대한 기조강연을 한 것인데, 논문 형식으로 재구성하였다.<BR>  『이재난고』과 같은 사적 기록이든,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공적 기록이든, 기록은 본질적으로 찬술자의 개인적 시각이나 시대상황 때문에 중요한 사실들이 고의로 누락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해서, 없는 사실을 꾸며내는 것이 아니라 분명히 실재했을 것이지만 누락되었을 사실을 연구자의 상상력으로 補添해보자는 것이 본 연구의 의도이다.<BR>  본 연구에서는 그 상상적 접근의 예로서 장영실 관련 기록을 들어보았다. 『세종실록』에서 장영실의 부친을 굳이 明이 아닌 ‘元의 蘇杭州 사람’이라고 한 이유에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明의 건국 이후 은거하고 있던 元 치하의 기술 관료를 조선 조정에서 몰래 빼돌려 데려왔을 가능성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이를 논증하고자 하였다.<BR>  『태조실록』에서 화약제조술을 알려준 것으로 기록된 ‘江南에서 온 어떤 상인 한 사람’이 가마절훼사건이 있던 세종 24년에 개수된 『고려사』에서는 ‘元나라 염초공 李元’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것, 明나라 조정이 江南을 왕래하는 조선측 상인의 ‘교역을 빙자한’ 정탐행위를 문제 삼으면서 예로부터 조선이 ‘무수한 工匠을 매수해왔다’는 사실을 문제 삼았던 것, 세종이 금은 제련술을 익히기 위해 중국인 金璽에게 기생을 아내로 삼게 하면서까지 호의를 베푼 것과 칼 만드는 기술자를 유치하기 위해 왜통사 윤인소를 보내 내이포에서 비렁뱅이 생활을 하고 있던 也馬沙其를 설득해서 귀화시킨 것, 그리고 일본의 소개로 回回人 都老를 귀화시킨 것 등이 앞의 추정을 뒷받침해줄 것으로 보는 주된 단서들이다.<BR>  이른바 ‘가마절훼사건’이야말로 연구자의 상상적인 접근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당대 최고의 과학기술자가 가마를 견고하게 만들지 못했다는 것도 의아한 일이거니와, 의금부와 사헌부에서 조순생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강력하게 주장했는데도 세종이 조순생의 죄를 묻지 말라고 명했다는 점도 의아한 일이었기 때문이다.<BR>  본 연구에서는 이 사건에 어떤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이와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보았다. 실록 기록자가 장영실의 부친을 굳이 明이 아닌 ‘元의 蘇杭州人’이라 명시한 점, 중국인 金璽의 ‘자취를 숨길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중국으로 보내야 했던 점, 귀화인인 上護軍 金月下의 아들 金富가 한양에 머물러 살기를 청하자 의정부에 명해서 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 조정에서 소환을 명한다면’이라는 말을 썼던 점, 세종이 왜통사까지 보내 귀화시킨 也馬沙其를 일본측에서 다시 보내달라고 공식 요청한 점, 가마절훼사건이 있기 3년 전에 의정부에서 낸 의견에 따라 귀화인 본인과 그의 친아들은 모두 向化人(=귀화인)으로 일컫기로 결정한 점 등이 그것이다.<BR>  본 연구자는 가마절훼사건에 앞서, 조정에서 向化人(=귀화인) 본인과 그 친아들은 향화인이라 일컫는다고 결정함으로써, 妓生의 所生이며 官奴였던 장영실은 ‘元의 蘇杭人’이 아닌 ‘妓女’의 아들이며 따라서 귀화인이 아니라고 할 근거를 만들어놓았던 사실에 특히 주목하였다. 가마절훼사건의 배경이 어떠하든, 세종은 이 사건을 이용해서 장영실의 기술에 허점이 많았다는 것을 대내외에 널리 알림으로써 장영실을 세인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함과 동시에 중국측으로부터의 소환 요청을 사전에 차단하려 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던 것이다. 이것이 곧 상상력으로 장영실 관련 기록을 재조명해본 결과 도출해낸 補添의 핵심적 내용이기도 하다.   This study is suggested as an example of how to approach toward documentary literature. It was introduced before as the keynote lecture on the topic of 2008 Summer Research Meeting, “the vision toward the 18th century-Ijenango.”<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make up unfounded stories but to imaginatively complement the facts which could have been omitted, based on a presupposition that almost all records, whether they are personal documents such as Ijenango or public documents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could have a possibility of some important facts being omitted deliberately on account of the recorder"s personal opinion or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BR>  This study takes records about Chang Youngsil as an object of an imaginative approach. There may be some other reasons why Chang"s father was recorded as a person from Sohang-ju of Yuan, not of Ming. Above all, this study is to take a serious view of and demonstrate a possibility that Chosun Dynasty took away an engineering specialist of the Yuan Dynasty who went into retreat escaping from the reign of the Ming Dynasty.<BR>  The main clues to support this speculation are found in some following records. The Annals of King Taejo recorded that an merchant from Kangnam informed abou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gunpowder, but he was referred to as Yi Won, a Yuan official in charge of gunpowder in the Annals of Koryo, which was rearranged in the 24th year of King Sejong, when the incident of palanquin breakdown happened. The Ming Dynasty blamed Chosun for her merchants" espionage on the pretext of trade in Kangnam and for her long history of buying a number of artisans. King Sejong showed a goodwill to Kim Sae, a Chinese by sending him even a gisaeng to be his wife in order to acquire the skill of smelting gold and silver. He sent Yun Inso, a Japanese interpreter, to persuade Yamasagi, a beggar in the port of Nae-yi into being naturalized in Chosun to gain over an artisan of making swords. He also naturalized Doro, a Muslim, who Japan introduced to Chosun.<BR>  The so-called palanquin breakdown incident is a typical case which requires a researcher"s imaginative approach. It was unusual that the best scientist and engineer did not make a sturdy palanquin and King Sejong ordered not to inquire into the case of Cho Soonsaeng, whose involvement in the incident was suspected and strongly argued by Eugum-bu, the department of Interrogation and Sahun-bu, the department of Inspection.<BR>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ome following records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the incident was involved in some political conspiracy.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dentified Chang Youngsil"s father as a person from Sohang of Yuan, not of Ming. Chosun had to return Kim Sae as she could not hide his track any longer. Chosun government mentioned the words “If Ming government should order his return,” when Kim Bu asked to stay in Hanyang, whose father was Kim Wolha, a naturalized Sangho-gun in Chosun, whose rank was equivalent to the third high in the government. Japan made an official request that Chosun should return Yamasagi, who King Sejong had sent a Japanese interpreter for his naturalization. Chosun decided that naturalized people and their sons should be called naturalized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opinion suggested by Uejong-bu, the executive department, three years before the incident of palanquin breakdown.<BR>  This study takes note of the fact that Chang Youngsil was deliberately referred to as a son of a gisaeng, not as a person from Sohang of Yuan, which meant that he was no longer a naturalized person but an official slave, with the decision that naturalized people and their sons should be called naturalized people before the incident of palanquin breakdown. It is speculated that King Sejong tried to cut off the worldly 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