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혐한 담론에 보이는 인종주의와 그 특징

        히로타니마미 ( Hirotani Mami ),박용구 ( Park Yong-ko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2

        2010년을 전후 해 일본사회에서 배타적이고 차별적인 발언을 동반한 혐한 데모가 행해지기 시작했다. 그 주장들을 살펴보면 흥미롭게도 과거에 보이던 정치적, 역사적 혐한 감정과는 달리 인종주의(racism)적 성격이 짙게 깔려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혐한 현상을 인종주의적 시각에서 구체적,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런 일본의 혐한 현상을 「생물학적 인종주의」와 「문화적 인종주의」라는 두 가지의 인종의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혐한 담론의 진원지라 할 수 있는 만화·인터넷·인터뷰의 내용분석을 활용하기로 한다. 2000년대부터 인종주의적인 성질을 띠기 시작한 혐한 담론 속에는 「불결하다」,「저능하다」, 「추하다」,「범죄가 많다」와 같이 한민족을 열등시 하는 생물학적 인종주의와「사회 복지 특권을 받고 있다」,「일본 문화를 파괴한다」와 같이 주로 재일코리안을 차별의 대상으로 한 문화적 인종주의가 동시에 보인다. 그런데 생물학적 인종주의 담론의 대부분은 인터넷 상에서 보이고 문화적 인종주의 담론은 만화, 인터넷, 인터뷰 모두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즉, 인터넷이라는 익명성 높은 매체에서는 생물학적 인종주의가 적나라하게 보이는 반면 익명성이 낮은 만화나 인터뷰에서는 생물학적 인종주의는 그다지 보이지 않는 것이다. 인터뷰의 경우에는 오히려 생물학적 인종주의를 부정적으로 여기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구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처럼 일본에서도 두 가지의 인종주의가 공존하는 가운데 공공연한 생물학적 인종주의보다는 문화적 인종주의의 담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ti-Korean protests are being staged in Japan, where protesters make hateful and discriminatory remarks to and about Koreans. This anti-Korean sentiment is now causing problems in terms of fueling racism. In order to address the situation, we first need to understand how racism is expressed in an anti-Korean sentiment. To this end, the article analyzed the contents of cartoons on the Internet and interviews concerning biological racism and cultural racism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acist remarks made by the anti-Korean Japanese. Anti-Korean remarks include biological and cultural racist remarks. The scientific racist remarks include the expressions "dirty," "retarded," "ugly," and "rough" to describe Koreans as inferior to the Japanese. Cultural racist remarks primarily target the Korean-Japanese with claims such as "The Korean-Japanese receive social welfare unfairly" and "They destroy Japanese culture." It turns out that the scientific racist remarks were mostly found on the Internet and not during interviews. Cultural racist remarks were found in cartoons, the Internet, and interviews. Although scientific racist remarks have a strong presence on the Internet because of its anonymity, they are rarely found in other forms of media that are not anonymous. As a result, as is seen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two kinds of racism co-exist in Japan, where scientific racism publicly disappears but the concepts of cultural racism have become relatively widespr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