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열악한 조명 환경을 위한 자동 크로마키 시스템 구현

        황지순(Ji-Sun Hwang),최승인(Seung-In Choi),하진영(Jin-Young Ha)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객체와 단색배경을 분리하여 새로운 영상을 합성시키는 크로마키 기법은 배경 조명에 따른 제약이 많다. 또한, 배경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그림자가 생기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그래픽에 반영하여 실사와 합성하는 실시간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험으로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배경영상이 정해놓은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바뀌게 하고 PC 마우스나 키보드 대신에 영상을 통하여 간단한 제어를 할 수 있게 하였다. 단색 배경 영상의 검출과 그림자를 제거 후 객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과 합성한다. 또한 손 인식 시스템으로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교육시스템 등에 유용하게 쓰일 수가 있다.

      • KCI등재

        시노그래피에 있어서 유동공간의 유형별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

        황지순 ( Jisoon Hwang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사회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의한 유동적인 공간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유동공간에서의 사용자의 경험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기하학적인 직선과 정적인 모습과 단순하기 보다는 더 자연적인 형태로 나아가 형태의 적용 및 변형을 추구하고 있다. 유동공간에 분석에 있어서는 여러 조형의 담론들 중 들뢰즈의‘타자의 기하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유동공간과 조형언어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동공간에서 나타나는 조형언어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상업 공간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연출요소의 특성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liquid space’서적의 유형별 사례를 통하여 유동공간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문헌 및 자료조사를 통하여 시노그래피와 유동공간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질 들뢰즈의 타자의기하학 철학을 바탕으로 유동공간의 조형언어의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선행 연구 분석으로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유동공간의 유형별 사례의 특성을 분석하여 결과를 정리하고 유형별 유동공간의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결과) 분석 결과 기하학적 공간, 일시적 공간, 극적 공간, 몰입형 공간의 유동공간을 타자의 기하학적 관점으로 조형언어를 도출 할 수 있었다. 탈정형성은 전체 유형 중 기하학적 공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이종결연성은 일시적 공간과 몰입형 공간에, 상호작용성은 극적 공간과 몰입형 공간에서 나타났다. 몰입형 공간에서는 이종결연성과 상호작용성의 특성을 포함하여 자연적인 요소를 사용함과 동시에 타자와 관계에서의 일어나는 사건과 사용자의 참여를 통하여 변화하는 유동공간의 특성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유동공간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하여 새로운 사건을 만들어 참여를 유도한 커뮤니케이션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양화된 공간구조의 형태와 디자인의 형태들이 기하학적 질서에서 액체화된 시간의 계열화가 도입되어 액질 연속체적 공간의 의미를 생성하게 된다. 조형언어의 연출 특성을 이용하여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해 국내 공간에서 유동공간의 유형별 연출 특성의 디자인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society changes, the mobility space structure is emerging, aid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o induce user participation, they are pursuing application and deformation by developing space into a geometric straight line, with a static form, focused on making space more natural instead of seeking mere simplicity. This study analyzed Liquid Spa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eleuze in Title of work (year of publication) on the discourse on formative X. In recognition of th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Liquid Spac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and space in formative language, as well as the orientation of modern commercial space design. (Method) The scope i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Liquid Space through a type of case.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s Other Geometry, the theory of Sinography and Liquid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formative language were discussed through literature and data investigation. Ca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ype of Liquid Spac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present analysis showed that formative language could be through geometric, temporal, dramatic, and immersive spaces, as well as perspective of other geometries. Of all types, unformatted forms appeared prominently in geometrical spaces, interconnection appeared in temporal and immersive spaces, and intercommunication appeared in dramatic and immersive spaces. In an immersive space, natural elements could be used by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onnection and intercommunication.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Space could be known to change through the user’s participation and correlated occurring events. (Conclusions) Liquid Space was able to identify communication that led to participation by creating new events through the users’ movements. Diversified space structures and forms of design are liquidized through geometric order. By the introduction of time systemization, the meaning of a liquid continuum space could be created. It could be used in the design field if it uses th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languag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ference for efforts in expressing th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cases of Liquid Space by type in domestic spaces and in presenting the relevant concepts and future direction for mutual technology and design method.

      • 자동 크로마키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최승인,황지순,하진영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10 정보통신논문지 Vol.14 No.-

        Chroma-key systems, which separate object from background image and compose new image with separated object over new background image, are widely used in remote education, presentation, and weather forecasting on TV. However chroma-key systems usually require studios with high-end cameras, perfect illumination, and blue screen. We cannot get high quality chroma-key video without such equipments. In this research, we implemented a low cost chroma-key system using PC with webcam, common illumination, and chief bluescreen. Any JPEG images can be used as background image in our system. After detecting monochrome background image, shadows are eliminated, then a target object is segmented from background images. Finally the extracted object is composed over user selected background images. We can set order and time of background images in a text file. Furthermore we can change background images forward and backward using image recognition without keyboard or mouse. Our system can be used as an education system, since human computer interaction is powered by scan color detection to get user hand position.

      • KCI등재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양완희,황지순,전찬수,이세현,Yang, Wan-Hee,Hwang, Ji-Soon,Jeon, Chan-Soo,Lee, Sea-Hyun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0 No.4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에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1.5~2.0% 사용할 때, NT Build 492에 의한 염화물 확산 시험과 ASTM C 1202( KS F 2271)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재령 2일부터 재령 7일까지의 압축강도는 17~42% 향상되었다. 또한 재령 28일에 측정한 염화물 확산 계수는 알칼리 설페이트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36~56% 감소하였으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따른 총통과전하량은 재령 7일은 33~62%, 재령 28일은 31~48%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공극이 더욱 치밀해진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use of ternary blended cement consisting of Portland cement,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and fly ash has been on the rise to improve marine concrete structure's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concrete through NT Build 492-based chloride migration experiments and test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under ASTM C 1202(KS F 2271) when 1.5-2.0% of alkali-sulfate activator (modified alkali sulfate type) was added to the ternary blended cement mixtures (40% ordinary Portland cement + 40% GGBFS + 20% fly ash).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Even though the slump for the plain concrete slightly declin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alkali-sulfate activator, compressive strength from day 2 to day 7 improved by 17-42%. In addition, the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for the plain concrete measured at day 28 decreased by 36-56% depending on the use of alkali-sulfate. Furthermore, total charge passed according to the test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decreased by 33-62% at day 7 and by 31-48% at day 28. As confirmed in previous studies, reactivity in the GGBFS and fly ash improved because of alkali activation. As a result, concrete strength increased due to reduced total porosity.

      • KCI등재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레미콘 적용 시험

        양완희 ( Yang Wan-hee ),황지순 ( Hwang Ji-soon ),이세현 ( Lee Sea-hyu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7 No.1

        시멘트 산업은 대표적인 탄소 배출 산업으로서, 콘크리트에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다량 사용할 경우 시멘트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초기강도의 저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대체량 증대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를 다량 활용한 포틀랜드 혼합 시멘트에 적절한 알칼리 활성화를 통해 혼합 시멘트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안은 시멘트 산업 분야에서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보고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하고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2.0% 사용한 결합재를 적용하여 레미콘(Ready-Mixed Concrete)제조 시설에서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그 기초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으로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고 응결 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이 있었으나, 블리딩이 감소하고 조기 강도가 개선되었으며, 탄산화 저항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 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ement industry is typical carbon-emission industry. If the industrial by-products(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fly ash, etc.) are used a large amount, it might be able to reduce cement consumption and mitigate carbon emissions. In this case, however, decrease of early strength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increase of the amount of substitute.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it would be a good solution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cement industry to improve the performances of mixed cement through proper alkali-activation in Portland blended cement using GGBFS or fly ash. Therefore, this study prepared concrete in ready-mixed concrete manufacturing facilities with an addition of a binder which used 2.0% modified alkali sulfate activator after mixing Portland cement, GGBFS and fly ash in the ratio of 4:4:2 and assessed its basic propertie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The use of modified alkali-sulfate activator slightly reduced slump and shortened setting time. As a result, bleeding capacity decreased while early strength improved. In addition,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carbonation resistance. It appears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experiments and analyses on the related long-term aged specimens.

      • KCI등재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양완희 ( Wan-hee Yang ),황지순 ( Ji-soon Hwang ),전찬수 ( Chan-soo Jeon ),이세현 ( Sea-hyun Le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6 No.4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에 알칼리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1.5~2.0% 사용할 때, NT Build 492에 의한 염화물 확산시험과 ASTM C 1202( KS F 2271)에 의한 염소이온침투 저항성 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재령 2일부터 재령 7일까지의 압축강도는 17~42% 향상되었다. 또한 재령 28일에 측정한 염화물확산 계수는 알칼리 설페이트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36~56% 감소하였으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따른 총통과전하량은 재령 7일은 33~62%, 재령 28일은 31~48%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공극이 더욱 치밀해진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use of ternary blended cement consisting of Portland cement,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and fly ash has been on the rise to improve marine concrete structure’s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concrete through NT Build 492-based chloride migration experiments and test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under ASTM C 1202(KS F 2271) when 1.5-2.0% of alkali-sulfate activator (modified alkali sulfate type) was added to the ternary blended cement mixtures (40% ordinary Portland cement + 40% GGBFS + 20% fly ash).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Even though the slump for the plain concrete slightly declin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alkali-sulfate activator, compressive strength from day 2 to day 7 improved by 17-42%. In addition, the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for the plain concrete measured at day 28 decreased by 36-56% depending on the use of alkali-sulfate. Furthermore, total charge passed according to the test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decreased by 33-62% at day 7 and by 31-48% at day 28. As confirmed in previous studies, reactivity in the GGBFS and fly ash improved because of alkali activation. As a result, concrete strength increased due to reduced total porosity.

      • KCI등재후보

        균열 자기치유 재료 혼입 모르타르의 투수성능 평가

        이웅종(Woong-Jong Lee),황지순(Ji-Soon Hwang),안상욱(Sang-Wook Ahn),이광명(Kwang-Myong Lee)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팽창재-팽윤재-결정성장 촉진제로 구성된 자기치유 재료(SH-PO-0)와 칼슘이온 용출을 촉진하는 인산염계 혼화재(PO)를 첨가한 자기치유 재료(SH-PO-5, 15, 30)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투수성능을 평가하였다. SH-PO-0는 OPC 대비 28일 압축강도는 9% 감소하였지만, 투수량 감소비는 OPC 대비 현저히 낮아, 자기치유 재료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PO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는 감소하고, 초기재령에서 투수성능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적정 PO 치환율은 15% 수준이었다. SH-PO-15는 SH-PO-0 대비 28일 압축강도는 8% 이내에서 감소하였고, 초기 재령에서 투수성능이 더욱 개선되었으나, 장기재령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SEM-EDS분석에 의해 SH-PO-15의 칼슘 이온량이 더 많이 고정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compressive strength and water permeability performance for two types of crack self-healing materials such as SH-PO-0 composed of mineral admixtures(expansive agent, swelling material and crystal growth agent) and SH-PO-(5, 15, 30) blended with SH-PO-0 and phosphate additive(PO) dissolving easily calcium ion, were evaluated.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water flow of SH-PO-0 decreased steeply at the early age although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about 9% at 28 days compared with OPC. The higher PO replacement ratio is, the lower compressive strength and more improved water permeability performance is, and thus, based on such results, adequate PO replacement ratio is 15%. It is also found that the self-healing performance of SH-PO-15 was quite improved at the early ages and however, the performance of SH-PO-15 is similar to one of SH-PO-0 at long-term ages, and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of SH-PO-15 decreased about 8% compared with SH-PO-0. In addition, it is confirmed from the analysis of SEM-EDS that calcium ions of SH-PO-15 were crystallized more than those of SH-PO-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