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맥크론 다이얼(McCarron-Dial)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비교

        황상희(Sang-Hui Hwang),유은영(Eun-Young Yoo),정민예(Min-Ye Jung),이충휘(Chung-Hw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표준점수와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직업수준 표준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으로 진단 받은 남녀 총 127명(정신지체인 87명, 전반적 발달장애인 40명)에게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발달장애인이 정신지체인보다 직업수준 표준점수가 높았고, 각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도 높았다. 둘째,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에서 지능지수는 각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 직업수준 표준접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직업수준 표준접수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신지체체인은 언어공간인지요인, 감각요인, 운동요인 순이고, 전반적 발달장애인은 언어공간인지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 접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직업수준 표준접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에 영향을 마치는 변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직업 및 직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of the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MDS) in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MR) and adul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and to ascertain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o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Eighty seven adults with MR and forty adults with PDD were evaluated with M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are higher in adults with PDD than MR. Second. In adults with l\1R and PDD. intelligence quotient(I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and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Third. I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of MDS in adults with MR, VSC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nd the second most significant one was sensory factor. The least significant variable was motor factor. VSC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of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in adults with PDD. The abov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of MDS in adults with l\1R and PDD, and different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s o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those significant variables of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for the intervention of adults with MR and PD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황상희(Hwang, Sang-Hu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 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 업무를 수행하 고 있는 작업치료사 138명이었고, 2011년 10월 13일부터 11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은 평균 2.12(범위: 0-6),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64(범위: 1-4)이 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56(범위: 1-5)이었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1일 치료시간, 토요 근무, 적성,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 수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종교였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작업치료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작업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als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on thei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138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erform occupational therapy. From October 13th till November 2nd, 2011,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mean score of burn-out was 2.12(range: 0-6), and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ere 2.64(range: 1-4) and 3.56(range: 1-5).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hours per day, duty to work on Saturdays, aptitude and religion. Third,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Fourth, chief variables affecting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reli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and improve the services of their occupational therapy qualitatively by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self-concept.

      • KCI등재

        지역사회 아동의 Korean-Age and Stage Questionnaire 타당도와 효용성 연구

        이성아(Lee, Seong-A),황상희(Hwang, Sang-Hu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지연 선별검사 중 부모-보고형 검사인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의 타당도와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선별검사에 동의한 229명 아동의 부모들과 유전적 질환 혹은 선천적 발달 지연이 보고되지 않은 3~5세 아동들이었다. 연구결과 K-ASQ 는 민감도 0.41%, 특이도 0.76%, 과다의뢰율 0.14%, 과소의뢰율 0.21%이였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은 지연 발달에서는 K-ASQ 0.70%, 정상발달 예측율은 K-ASQ 0.77%로 나타났다. K-ASQ의 타당도는 정상아동을 정상으로 선별하는 특이도가 민감도보다 높았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에서도 K-ASQ는 70% 이상으로 임상에서 아동 발달 선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 as a screening tool for detecting developmental delay of preschool child in community. Informed consents from parents of 229 children were received for the process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229 parents and the children of three to five years old who did not have reported genetic diseases or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 of this study, validity were calculated for the K-ASQ sensitivity 0.41%, specificity 0.76%, hyper-referral 0.14%, hypo-referral 0.21%. Predictive value of delayed development were K-ASQ 0.70% and that of normal development were K-ASQ 0.77%. K-ASQ can be feasibly used in the setting of health clinic and be the highly predictive criteria for delayed development and normal development.

      • KCI등재

        가정폭력노출아동의 사진활동작업 경험

        강희숙 ( Hee Sook Kang ),황상희 ( Sang Hui Hwang ),진관훈 ( Gwan Hun Jin ),문영주 ( Young Joo Mo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5 No.-

        본 연구는 사진활동작업 개입을 통해 쉼터에 거주한 가정폭력노출아동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A시 쉼터에 거주한 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부터 11월까지 프로그램 진행과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100개의 의미 있는 진술, 23개의 의미 구성, 10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묶음으로 도출되었으며, 그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낯선 곳에서 둥지 틀기>, <떠올리기조차 두려운 아빠, 그래도 보고 싶은 아빠>, <과거의 행복했던 순간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엄마는 언제나 나의 수호천사>, <나의 꿈, 나의 희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는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거주 아동에 대한 스트레스관리에 중점을 두고, 자녀동반가족에 대한 가족상담의 체계화와 추가적인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intervention of photographic activity with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using Colla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ere corrected from 5 children living at shelter from October to November, 200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er participants` statement, 100 meaningful statements, 23 meaning units, 10 themes, and 5 theme clusters were elicited. 5 theme clusters were <sheltering in a strange place>, <dreadful father ever to reflect yet to miss>, <I wish I could return to my happy time in my life>, <mother is guarding angel of mine forever>, <my dream and my hope>. Social welfare`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cessity of stress management of children living at shelter, family counselling and extra-economy support of families with children.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작업환경, 휴식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윤태형(Yoon, Tae-Hyung),차태현(Cha, Tae-Hyun),황상희(Hwang, Sang-Hu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휴식, 컴퓨터 작업 환경과 근골격계 증상과 위험비을 알아보 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K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685부를 최종회수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컴퓨터 사용시 통증부위는 허리, 어깨, 목의 통증을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통증부위 별 통증유무에 따른 작업자세 및 환경평가점수의 차이는 통증이 없는 사람이 통증이 있는 사람에 비해 유의하게 높 았다. 통증부위와 작업환경과 음의 상관이 보인 것은 책상(어깨), 의자(목, 어깨, 허리, 무릎, 발목/발), 모니터(어깨, 허 리), 키보드(목, 어깨, 엉덩이/허벅지, 발목/발) 등의 결과가 나타났다.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위험비(odds ratio)는 목은 모니터, 무릎과 발목/발은 의자의 환경이 좋을수록 통증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터 작 업환경과 근골격계 증상이 관련성이 있으며 컴퓨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 작업환경을 개선해줌으로써 근골격 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research to look into rest, computer work environment and muscle and bone symptom of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area. With high school students in K area as the object the questionnaires of self-writing type were distributed and the final 685 copies were collected and materi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differences between work posture and environment evaluation score following whether or not of pain existing of the each part of pain, the score of the persons who do not have p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persons who have pain.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 of pain and work environment was in desk(shoulder), chair(neck, shoulder, back, and ankle/foot), monitor(shoulder, back) keyboard (neck, shoulder, and ankle/foot) appeared as the result. Controling monitor and chair environment is help to alleviate neck pain and ankle/foot pain respectively. Therefore, computer work environment and bone and muscle symptom have relations and as the use of computer increases, prevention program which can relieve muscle and bone symptom by improving computer work environment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