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미꽃의 향기정도에 따른 주요성분 및 꽃잎 세포의 미세구조

        이영순(Young-Soon Lee),이윤혜(Yun-Hae Lee),임성희(Seung-Hee Lim),박건환(Gun-Hwan Park),최숙영(Sunk-Young Choi),홍혜정(Hae-Jung Hong),고정애(Jeong-Ae Ko)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5

        장미 꽃의 향기정도에 따른 주요성분과 향기발산 위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기정도는 약한 품종(‘필립’과 ‘비너스베리’), 중간 선발계통(‘GR07-135’) 및 강한 품종(‘허니블루’) 3수준으로 구분되었다. 품종과 선발계통 별 주요 향기성분은 ‘필립’은 3,5-dimethoxytoluene(DMT)와 benzene,1,3,5-trimethoxy 성분이었으며, ‘비너스 베리’는 megastigma-4,6(Z),8(E)-triene 성분이었고, ‘GR07-135’는 DMT, benzene,1-ethenyl-4-methoxy 및 phenylethylalcohol 성분이었으며, ‘허니블루’는 germacrene-D와 DMT 성분이 었다. 향축면 표피세포는 원추형의 유두상 돌기 모양이 있었고 배축면 표피세포는 편평한 모양이었다. 3품종과 1선발계통 모두 두꺼운 세포벽이 있었고, ‘허니블루’를 제외한 2품종과 1선발계통은 왁스로 덮인 큐티클층이 있었다. 향축면 표피세포에 ‘필립’은 전분립이, ‘비너스베리’는 오스미움 소체가, ‘GR07-135’은 전분립, 색소체 및 액포가, ‘허니블루’는 색소체낭, 색소체 및 액포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방향성 장미 꽃 향기의 주요성분은 품종에 따라 달랐으며, 생성과 발산은 유두돌기가 있는 향축면 표피 세포내의 색소체와 액포가 관련되어 있었다. Principle component and emission local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cent intensity of rose flower. Scent intensity in cultivars and bred-line of Rosa hybrida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light (‘Feel Lip’, ‘Venus Berry’), medium (‘GR07-135’), strong (‘Honey Blue’).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ltivars and selected line; 3,5-dimethoxytoluene (DMT), benzene, 1,3,5-trimethoxy (‘Feel Lip’), megastigma-4,6(Z),8(E)-triene (‘Venus Berry’), DMT, benzene,1-ethenyl-4-methoxyand, phenylethylalcohol (‘GR07-135’) and germacrene-D, DMT (‘Honey Blue’). The adaxial epidermal cells were conical papillate shape, whereas the abaxial epidermal cells were flat shape. The adaxial epidermal cells of 3 cultivars and 1 selected line were surrounded by thick cell wall and covered by waxy cuticle of 2 cultivars and 1 selected line (except ‘Honey Blue’). The adaxial epidermal cells contained starches in ‘Feel Lip’, osmiophlic droplets in ‘Venus Berry’, starchs, plastids, vacuoles in ‘GR07-135’ and plastoglobules, plastids, vacuoles in ‘Honey Blue’. Based on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plastids and vacuoles in adaxial epidermal cells with conical papillate shape are associated production and emission of volatile compounds in scent R. hybri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