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점 주의의 공간 위치가 회귀억제에 미치는 영향

        박찬희 ( C. H. Park ),심혜영 ( H. Y. Sim ),홍철운 ( C. U. Hong ),김남균 ( N. G.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01 춘계학술대회 Vol.2001 No.-

        본 연구는 공간상에서 초점 주의의 공간 위치가 인간의 감각 운동 협응에 의한 회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20∼25세 나이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체 제작한 방음 암실에서 실시되었다. 지금까지의 회귀억제는 위치와 시간에 관련된 특이한 현상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의 주의가 집중되어 있는 공간에서는 시간에 관계없이 일어나지 않지만 피험자의 주의가 분산되었을 경우는 한 번 집중된 공간으로 주의를 옮기기가 어려운 회귀억제 현상이 일어났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억제는 조건에 따라서는 자극 제시 간격(SOA)과 무관하며 초짐 주의 공간 위치와 관련된 현상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고령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한 승강식 피난기의 개선방안

        강영석(Y. S. Kang),홍철운(C. U. Hong),한정권(J. K. Han),유미(M Yu),권대규(T. K.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2

        최근 급증하고 있는 고층 건축물은 고령자 및 장애인에게 재난 안전의 사각지대이다. 기존 대피시설의 경우 여전히 비장애인 사용 기준에 맞추어져 있어 피난 약자인 고령자나 장애인의 사용은 거의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피난 약자가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승강식 피난기에 대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승강식 피난기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본 기구에 대한 사용 경험이 없고, 심혈관계,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65세 이상 고령자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만족도 평가를 위해 Quest 2.0을 응용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피험자에게 승강식 피난기를 실제로 사용하게 한 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 항목(10항목)의 전체 평균은 3.76으로, 7개의 항목에서 ‘보통’ 이상의 긍정적 피드백을 보였다. 피험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족도 항목은 “사용자의 안전성”, “규격”, “이동속도” 순으로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와 피험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한 개선 방안으로 기구의 추가적인 안전장치인 안전 하네스, 안전벨트 등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부여하거나, 피난구의 확장을 통해 충분한 너비를 제공한다면 안전성에 대한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의견들을 반영하고 유니버설디자인과 감성공학적으로 접근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Recently, High-rised-buildings are increased that is blind spots in disaster situations. In the case of existing evacuation facilities, the use of the elderly or the disabled is almost impossible because the applicability of the non-disabled is tailored to the criteria for us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usability evaluation for the elderly on the start of Elevator typed Evacuation Instrument developed to efficiently evacuate the vulnerable, and we wante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hrough this. The subjects consisted of 12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had no experience in using the device and had no cardiovascular or musculoskeletal disorder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pplying Quest 2.0 for satisfaction evaluation, and conducted the evaluation after allowing subjects to use Elevator typed Evacuation Instrument. As a result, the overall mean of the satisfaction item (10 items) was 3.76, with more than "normal" positive feedback from seven items. The subjects" most important satisfaction items were answered in order of "user safety", "specification", and "speed of movement". As an improvement measur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feedback from the subjects were reflected. Additional safeguards of the instrument can be added to the safety harness, seat belts, etc. to give users safety, or to provide sufficient width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shelter. Reflecting these opinions, we inten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in a way that enhances safety by approaching universal design and emotional engineering.

      • KCI등재

        반복 대피 훈련 시 생체 신호 분석을 통한 승강식 피난기의 안전성 평가

        강영석(Y. S. Kang),홍철운(C. U. Hong),한정권(J. K. Han),유미(M Yu),권대규(T. K.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재실자의 능동 탈출이 가능하도록 개발 중인 승강식 피난기 시작품의 반복 사용 시 생체신호인 근전도, 족저 압력, 심박수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승강식 피난기 사용 경험이 없는 20대 건강한 성인 10명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였다. 심박수는 심리적 요인의 전후 비교를 위하여 분석되었으며, 하지 주요 근육의 근전도(EMG) 및 좌우 족압은 반복 사용이 미치는 육체적 요인에 대한 평가를 위해 분석되었다. 실험 결과, 근전도는 전체적으로 반복 사용에 따라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특히 오른쪽 전경골근에서는 가장 크게 근 활성이 일어났다. 또한 족저 압력의 경우도 반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 좌우 균형은 점차 왼쪽으로 기울어져 나타났다. 심박수의 경우 승강식 피난기 사용 전에 비해 첫 탑승에서 크게 증가 되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되어 나타났다. 사용이 반복될 수록 적응하여 긴장도가 낮아졌고, 심박수와 근 활성도, 족저 압력 또한 전체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승강식 피난기를 이용한 반복 대피 훈련이 불안감과 같은 심리적인 부하 요소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피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n the human bod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biosignals such as electromyography(EMG), plantar pressure, and heart rate when repeatedly using a prototype elevating evacuation device that is being developed to enable active evacuation of occupants. The biometric signals of 10 healthy adults in their 20s who had no experience in using Elevator Typed Evacuation were measured. The heart rate was measured to compare psychological anxiety before and after, and EMG and left and right foot pressure of the lower extremitie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eated use. Experimen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myocardiography overall with repeated use, especially in the right anterior tibial muscle. In addition, the foot pressure was reduc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petition, and the left and right balance gradually tilted to the left. The hear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first using, but then gradually decreased.As the use was repeated, the tension decreased due to adaptation, and the heart rate, muscle activity, and foot pressure were also interpreted as decreasing overall. Repeated evacuation drills eliminate psychological load factors such as anxiety, helping users take safe evacuation actions.

      • KCI등재

        슬링과 음파진동자극을 이용한 운동이 하지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현지(H. J. Woo),홍철운(C. U. Hong),유미(M. Yu),권대규(T. K.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0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슬링운동 조건에 따른 불가리아 스플릿 스쿼트 시 하지 근육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20 명의 성인 남성 피험자 (연령: 25.95 ± 2.42 세, 키: 172.59 ± 5.56 cm, 체중: 77.74 ± 10.82 kg)가 참가하였으며 이들은 불가리안 스플릿 스쿼트(BS), 슬링을 이용한 불가리아 스플릿 스쿼트(BS-SLING), 슬링과 전신진동을 이용한 불가리아 스플릿 스쿼트(BS-4Hz, BS-30Hz)를 무작위로 각 조건마다 5회씩 수행하였다.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중둔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근육에서 슬링과 진동을 제공한 조건에서의 운동 시 근육의 활성화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30Hz의 진동을 제공한 조건에서 가장 큰 활성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불가리아 스플릿 스쿼트 동안 30Hz의 전신진동과 결합한 슬링운동이 하지 근육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ing and vibration on the activation of lower limb muscles during bulgarian split squat. Twenty male subjects (age: 25.95 ± 2.42 years old, height: 172.59 ± 5.56 cm, weight: 77.74 ± 10.82 kg)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randomly performed bulgarian split squat(BS), bulgarian split squat using sling(BS-SLING) and Bulgarian split squat using sling and whole body vibration(BS-4Hz, BS-30Hz). During exercise, the activation of the gluteus medius, biceps femoris,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muscle activation was increased during exercise conditions that provided vibration in all muscles. In particular, the greatest activation appeared in the condition of providing a vibration of 30 Hz. So, it was found that sling exercise combined with the whole body vibration of 30 Hz during the bulgarian split squa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ower limb muscle activity.

      • KCI등재

        동적 하네스 체중지지율에 따른 일상생활 동작 시 인체영향평가

        송성미(S. M. Song),유창호(C. H. Yu),김경(K. Kim),김재준(J. J. Kim),송원경(W. K. Song),홍철운(C. U. Hong),권대규(T. K.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다자유도 동적 하네스 시스템을 개발하고 동적 하네스 체중지지에 따른 인체 영향평가를 하고자 한다. 건강한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평지보행, 앉기, 서기 계단 오르기, 계단 내려오기 5가지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였다. 일상생활 동작 수행 시 각 피험자 체중의 0%, 30%, 50%에서의 근육 활성도와 족압 분포를 측정하였다. 근육 측정부위는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외측비복근이다. 하네스 체중지지율 증가에 따라 족압의 평균값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지보행에서는 체중지지율 증가에 따른 전족부의 압력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비복근과 대퇴이두근의 활성 감소를 보였다. 앉기 동작에서는 후족부의 족저 압력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체중지지율에 따라 전경골근의 근육 활성이 감소하였다. 계단 내려오기 동작에서는 체중지지율 증가에 따라 전족부의 압력이 크게 감소하였고 대퇴직근의 활성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의자에서 일어나기동작과 계단 오르기 동작에서는 동적 하네스 체중지지효과가 미비하였으며 이는 속도가 건강한 성인 남성의 동작 수행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measured human body signals in order to verify a active harness system that we developed for gait and balance training.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validated by tests with 20 healthy male subjects. They conducted motion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Normal Walking, Stand-to-sit, Sit-to-Stand, Stair Walking Up, and Stair Walking Down) according to body weight support rates (0%, 30%, 50% of subjects’ body weight).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e harness system is verified by using the results of foot pressure distribution. In normal walking, the decrease of fore-foot pressure, lateral soleus muscle and biceps femoris muscle were remarkable. The result of stand-to-sit results motion indicated that the rear-foot pressure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activities exceptionally decreased according to body weight support. The stair walking down show the marked drop of fore-foot pressure and rectus femoris muscle activities. The sit-to-stand stair walking up activities were inadequate about the effect of body weight support because the velocity of body weight support system was slower than male’s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