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열량 제철 부생가스의 순산소 연소 버너 개발

        조한창(Han Chang Cho),홍정구(Jeong Ku Hong),오혁진(Hyuk Jin Oh),조길원(Kil Won Cho) 한국연소학회 2010 KOSCOSYMPOSIUM논문집 Vol.- No.40

        A study was carried out in a bench-scale test furnace to develop the oxyfuel burner with low calorific by-product gas below 700㎉/N㎥. To do this, a bench scale test furnace is improved and the test burners of 300M㎈/h are designed. Oxygen in the burner is discharged through a nozzle in the center of the burner and gas is supplied with its concentric tube. The nozzle rim of oxygen plays a important role to stabilize and hold the flame. From the tests, it is confirmed that using oxygen burner, low calorific by-product gases below 700㎉/N㎥ can be used with stable flame and NOx is emitted below 30ppm at 11% oxygen concentration in exhaust gases.

      • KCI등재

        공간정보 기반의 스마트시티표준을 위한 표준 갭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최원욱(Choi, Won Wook),상기(Hong, Sang Ki),정구(Lee, Jeong K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표준과 스마트시티표준 간의 연계활용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두 표준 간의 표준 갭을 식별하기 위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 프레임워크가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도출하고 개념적 모형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표준 Pool을 수집하여 제안한 표준 갭 분석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스마트시티표준은 개념 정립, 물리적 도시환경 개발·관리·운영 및 참조모델 개발 중심의 표준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정보표준을 기반으로 연계 확장하여 구문/서비스/네트워크/데이터 상호운용성 등 기술구현 중심으로의 스마트시티 표준화 및 관련 분석 방법의 고도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standard gap analysis framework is presented as a methodology to identify the needs of new standards to develop geospatial smart city standard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evant to standard gap analysis, the requirements for the analysis framework are derived and applied for defining the conceptual model of the standard gap analysis framework. The standard pool was collected and applied to the proposed standard gap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smart city standards in the pool were generally oriented on conceptual modeling, develop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hysical urban environment, and reference model development. In addition, by making the linkage to the spatial information standard, the need for smart city standardization and advanced analysis methodology for a technology implementation of syntax/service/network/data interoperability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